CHOSUN

광주 아시아 차(茶)문화 축제의 활성화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수진
Issued Date
2011
Abstract
21세기는 지방화, 정보화, 세계화 시대로 국가의 문화산업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지방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방정부의 재정확충을 위한 전략으로 문화관광산업은 각광받는 문화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문화관광산업은 21세기의 주요한 산업으로 정보, 환경 산업과 더불어 3대 국가 전략 사업으로 육성되고 있다. 앞으로 문화관광산업은 지속적으로 개발이 가능한 청정산업 중 하나로 세계와 문화교류를 통해 국제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관광지역 개발은 지역주민의 소득 증대와 고용창출, 국민복지 기여, 지역 간 불균형 해소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문화관광산업이 국가경제를 회복시키는 국가기간산업, 고부가가치산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지방 특성화와 관련하여 육성되고 있는 것이 바로 축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발전과 아시아문화중심도시의 성공을 위해 차 문화교류 형성을 축제를 통해 이루고자 아시아 차 문화 축제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 시대의 문화는 그 시대의 산업, 교육, 종교, 나아가 정부의 노력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에서 아시아 차 문화의 중심역할을 이행함으로써 차 문화의 중심 역할을 주도 하고 아시아 차 문화 교류의 어울림 마당을 창조하고 나아가 전 세계 차 문화를 체험하면서 친목과 만남을 공유함으로써 세계 속에 한국의 차 산업과 차 문화를 선도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광주 아시아 차 문화 축제 활성화 방안은 전시(산업/문화), 관광, 체험, 학술, 홍보, 네트워크 전반에 관한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가 아시아 차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무등산 ‘춘설차‘의 브랜드 가치를 극대화하여 한국의 녹차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며 한국 차 문화의 발전과 더불어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성공에 큰 역할을 할 수 있길 바란다. 나아가 아시아뿐만이 아닌 전 세계 차 문화의 상호 교류확대 등을 위한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후속적으로 따라야 할 것이다.|In the century of 21st, the era of loc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globalism, we nee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to meet current trends. In particular, the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has come into the limelight as a strategy to secure the financial resources of local governments. The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which is a main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nurtured as one of the three national strategic industries along with th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dustri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globalism through cultural exchanges with the world as one of the clean industries which can be continuously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place of tourism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crease of income, create more jobs, create national welfare, and redress the imbalance between areas. Thus, as the awareness that the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is a national key industry and a value-added industry is expanded, it is something that has to been nurtured in respect to the specialization of local are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necessity of the Asian tea culture festival and specific methods for the exchange of tea culture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areas and the success of the Asian cultural hub. The culture of the era is affected by industry, education, religion and even government efforts. When the Gwangju Asian cultural hub works as a leader for Asian tea culture, it creates harmony through the exchange of tea culture and shares the tea cultures of the world, the foundation for the Korean tea industry and culture will be established.
The study presented methods to activate the Gwangju Asian tea culture festival in the aspects of exhibitions(industry and culture), tourism, experience, academic activity, publicity, promotion, and networking.
Based on the study, it hoped that the Gwangju Asian cultural hub will be a center for Asian tea culture and it will maximize the brand value of 'Chunseolcha' in Mt. Mudeung, Korean green tea(Nokcha) is globally recognized and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uccess of the Gwangju Asian cultural hub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 culture.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more specific and organized research should be carried for the expanded exchanges with tea cultures to the world also Asia.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Method of Revitalizing Gwangju Asian Tea Culture Festival
Alternative Author(s)
Lee,Su j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국제차문화학과
Advisor
황병하
Awarded Date
2012-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1
제2절 연구의 목적 4
제3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7

제2장 축제의 개념과 유형 9
제1절 축제의 개념과 의의 9
제2절 축제의 유형 12
제3절 한국과 세계의 축제 문화 비교 16

제3장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과 축제 19
제1절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의 현황 19
제2절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과 축제 21
제3절 광주의 축제 현황 24

제4장 차(茶)문화 축제 27
제1절 차 문화와 축제 27
제2절 한국 차 문화 축제의 현황 29
1. 박람회 형식의 차 문화 축제 30
가. 서울 국제차문화대전(티월드 페스티벌) 30
나. 대구 세계차문화축제 37
다. 부산 국제 차·공예 박람회 38
2. 문화관광 형식의 차 문화 축제 41
가. 보성 다향제 41
나. 하동 야생차문화축제 47
제3절 중국과 일본 차 문화 축제의 현황 53
1. 중국 차 문화 축제 53
2. 일본 차 문화 축제 55
제4절 아시아 차 문화 축제의 비교 분석 59

제5장 광주 아시아 차 문화 축제 활성화 방안 64
제1절 광주 차 문화와 축제 현황 64
1. 의재 허백련과 춘설차 64
2. 춘설차 문화체험 68
3. 광주 국제茶문화전시회 72
제2절 광주 차 문화 축제의 필요성 74
제3절 광주 아시아 차 문화 축제 활성화 방안 77
1. 아시아 차 문화 축제의 필요성 77
2. 광주 아시아 차 문화 축제 활성화 방안 80

제6장 결론 92

참고문헌 9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이수진. (2011). 광주 아시아 차(茶)문화 축제의 활성화 방안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29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5663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2-0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