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동사와 부사의 사건구조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혜경
Issued Date
2011
Abstract
본 논문은 복합동사와 부사를 중심으로 이들 표현이 나타내는 사건구조와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형식적으로 기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어의 복합동사는 두 개 이상의 동사가 병립하여 쓰인다는 점에서 이들이 나타내는 사건구조는 더욱 복잡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부사가 사건구조에 간여하는 경우 이들 동사와 부사가 나타내는 사건구조는 더욱 복잡한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보다 명료하고 간결하게 기술하기 위해서 아원자 의미론을 의미 기술의 틀로 삼아 영어와 국어의 사건구조와 이들의 상호관계를 기술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동사가 나타내는 의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사의 사건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임을 감안할 때, 아원자 의미론의 기술방안을 따른다면 모든 동사는 적어도 두 개의 사건구조로 해체분석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동사는 상위 VP와 하위 VP로 구분되며, 상위 VP는 사건의 과정을 나타내고 하위 VP는 핵심사건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위VP와 하위VP는 영어에 있어서는 어휘에 따라 해체분석에 의하여 명료하게 구분되지만 국어에 있어서는 이른바 복합동사의 구조로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영어의 give와 같은 동사는 이들 동사가 수반하는 목적어에 따라 hold 또는 pick up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상위VP와 give something to someone과 같은 하위VP 즉 핵심사건으로 해체되며, 국어에서는 [집다 + 주다]의 결합표현인 [집어주다]로 실현된다.
이렇듯 영어의 동사는 어휘해체 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상위VP와 하위VP 해석이 가능한 것은 이들 동사가 취하는 목적어나 부사에 따라 달라지지만, 국어에서는 이러한 어휘해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목적어에 따라 복합동사의 표층적 표현이 달라진다.
또한 부사가 사건구조에 간여하는 경우 가운데 향화자 부사, 화역부사, 반환부사, 태도부사, 측정부사 등의 사건구조는 이들의 의미적 특성에 따라 사건구조가 달라진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예컨대 영역부사의 사건구조는 CR(d, c*)로 기술할 수 있으며, 화역 d와 초건의 집합 c*라는 맥락에서 영역부사는 사건과 관련된 표현임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부사가 중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문법성과 비문법성을 토대로 하여 이들 부사의 사건구조 사이의 충돌 및 상호 호혜관계를 밝힘으로써 부사의 사건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논의한 동사는 국어의 복합동사에 국한된 사건구조의 기술이었다. 특히 국어의 사슬동사의 경우는 사건구조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띌 것으로 생각되며, 부사 역시 더 많은 부사가 갖는 사건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둘 수밖에 없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event Structures of complex verbs and adverbs in English and Korean and to represent their meanings by logical form. However, the event structures of Korean complex verbs are very complicate because they have a juxtapositional structure of verbs. In addition to this, the adverbs also take part in the event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verbs. so the whole event structures of the predicate are more complicate. In order to simplify the formal representation for those expressions we take the subatomic semantics as the descriptive device.
The event structure of the verbs or the adverbs could be analysed as two subparts. The one is upper VP and the other is low VP by the lexical decomposition. The former represents the process of the event and the latter represents the core event. However, the subparts of the event in Korean verb could be represented as multiple structures because Korean has the serial or complex verb structure such as V1 + V2 in a simple VP. For instance, English verb "give" can be decomposed as "hold" and "pick up" with respect to the objects that the verb goes with. On the other hand, Korean complex verb such as [Gip-a-ju-da; pick it up and give it to someone] consists of two verbs such as "pick" and "give". It means that Korean complex verb structures represents the substructures of the decomposed the verb of English.
We also argue that the Korean adverbs also represent the different e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mantic characters of the adverbs such as speaker-oriented adverbs, domain adverbs, restitutive adverbs, manner adverbs, and measure adverbs. For instance the event structure of the domain adverb can be represented as CR(d, c*), where CR(d, c*) is a contextual restriction on conditions c*, in terms of the domain d.
Finally when those adverbs appear together in a sentence sometimes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ose adverb. We also argue that those grammatical or ungrammatical expressions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t event structures of the adverbs.
However, we focused on the event structure of Korean complex verbs and some adverbs, but we have to expand the denotation for the serial verbs and the other adverbs in future.
Alternative Title
Event structures of the verbs and the adverbs
Alternative Author(s)
Lee, Hye-G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이영헌
Awarded Date
2011-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사건구조 의미표시의 문제점 11

2.1 신-Davidson의 의미기술 17
2.2 의미역에 의한 의미표시 19

제 3 장 동사의 사건구조 23

3.1 수여동사의 사건구조 26
3.2 복합동사의 사건구조 34

제 4 장 사건구조와 상 43

제 5 장 부사의 사건구조 50

5.1 영역부사 55
5.2 반환부사어 57
5.3 태도부사 62
5.4 측정부사 66
5.5 부사의 상호관계 69

제 6 장 결 론 74

참고문헌 7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이혜경. (2011). 동사와 부사의 사건구조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12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92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8-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