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AdperTM Easy Bond의 적용방식이 인산으로 처리된 상아질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혜정
Issued Date
2011
Abstract
이 연구는 상아질 표면에 AdperTM Easy Bond를 적용하기 전에 상아질 표면을 인산으로 부식처리한 후, 상아질의 표면상태에 따라 접착제의 적용방식 (문지르면서 적용 또는 적용 후 방치)이 상아질 접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35개의 발거된 대구치의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1.2 mm의 두께의 절편을 제작하여 무작위로 5개의 군에 배정하였다. 시편은 상아질 표면에 AdperTM Easy Bond를 제조회사의 설명서에 따라 적용한 대조군과 32% 인산으로 상아질 표면을 처리한 후 AdperTM Easy Bond를 적용하는 4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1군과 실험 2군은 습윤 상아질에 접착제를 각각 문지르면서 적용하거나 적용 후 방치하였고, 실험 3군과 실험 4군은 건조 상아질에 접착제를 각각 문지르면서 적용하거나 적용 후 방치하였다. 각 군의 상아질 표면에 Tygon tube를 이용하여 Z 350을 접착하고 24시간동안 증류수에 보관하였다. 각 군의 시편은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측정된 각 시편의 파절양상은 저배율의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one-way ANOVA와 Tukey post-hoc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복합레진과 상아질 계면을 관찰하기 위해 5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이용하였으며, 결합강도 측정 시와 같이 5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절단된 상아질 표면을 처리한 후 복합레진을 축조하고 시편을 제작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각 군의 결합강도와 현미경적인 소견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대조군과 실험 1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실험 2군, 실험 3군 및 실험 4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2.실험 1군과 실험 2군은 복합레진-상아질의 계면에서 긴밀한 접착을 이루었고, 깔때기 모양의 짧은 레진테그와 망상구조를 이룬 긴 레진테그가 관찰되었다.
3.실험 3군과 4군은 복합레진-상아질의 계면에서 간극이 관찰되었고, 깔때기 모양의 짧은 레진테그가 관찰되었다.
4.대조군과 실험 1군, 실험 2군은 혼합성 파절이 높은 빈도 (60-70%)로 관찰되었고, 실험 3군은 접착성 파절과 혼합성 파절이 동일한 빈도 (45%)로 관찰되었으며, 실험 4군은 접착성 파절이 높은 빈도(60%)로 관찰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AdperTM Easy Bond를 적용하기 전에 상아질을 인산으로 처리한 경우, 습윤 상아질에서는 접착제를 문지르면서 적용하는 방식이 상아질과 복합레진의 결합강도와 접합도를 향상시켰지만, 건조 상아질에서는 적용방식에 따른 영향이 없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gitation or noagitation of AdperTM Easy Bond on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μSBS) to pre-etched dentin.
Thirty five extracted human molar teeth were exposed the occlusal dentinal surfaces and ground with 600 silicon carbide papers.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agitation (A) or non-agitation (NA) of AdperTM Easy Bond (3M ESPE Dental Products, Seefeld, Germany)on pre-etched moist (MD) or dry dentin (DD). Control group : AdperTM Easy Bond was applied on dentin surfaces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 Group1:MD+A, Group2:MD + NA, Group3:DD+A, Group4:DD+NA. Filtek Z 350 (3M ESPE Dental Products) were adapted to dentin surfaces of each group using Tygon tubes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 U.S.A.).
The samples were subjected to μSBS testing 24 hours after bonding.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a one-way ANOVA and Tukey post hoc test (p=0.05). In addition, scanning microscopic evaluation was made on fractured specimens after μSBS testing and the resin-dentin interfa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μSBS of control group and group 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2, group 3, and group 4 ( p < 0.05).
2.Group 1 and group 2 showed close adaptation, funnel-shaped short resin tags and networks of long resin tags at the interface of composite and dentin.
3.Group 3 and group 4 showed gaps and funnel-shaped short resin tags at the interface of composite and dentin
4.Control group, group 1 and group 2 showed mixed failures (60-70%), group 3 was showed adhesive (45%) and mixed failures (45%), group 4 showed adhesive failure (60%).

It was concluded that agitation of AdperTM Easy Bond on pre- etched moist dentin improved the bond strength and adaptation of resin, but agitation or non-agitation on pre-etched dry dentin was not affected .
Alternative Title
Influence of agitation or non-agitation on bond strength of AdperTM Easy Bond to pre-etched dentin
Alternative Author(s)
Kim Hae-J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dvisor
조영곤
Awarded Date
2011-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iv

Ⅰ. 서 론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3

Ⅲ. 실험결과 8

Ⅳ. 총괄 및 고찰 10

Ⅴ. 결 론 14

참고문헌 16

사진부도 21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김혜정. (2011). AdperTM Easy Bond의 적용방식이 인산으로 처리된 상아질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07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84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8-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