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쯔쯔가무시병 환자에서 성별 및 원인균의 유전자형에 따른 가피 형성 부위

Metadata Downloads
Author(s)
장미선
Issued Date
2009
Abstract
쯔쯔가무시병은 Orientia tsutsugamushi의 감염으로 발생하고, 출혈성 신증후군, 렙토스피라증과 함께 우리나라의 가을철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급성열성질환이다. 쯔쯔가무시병의 진단 중 가장 결정적인 소견중 하나인 가피가 흔히 발견되는 부위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쯔쯔가무시병 환자의 성별 및 쯔쯔가무시병의 유전자형에 따른 가피형성 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4년 9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급성열성질환으로 조선대학교 병원을 포함한 총 10개의 병원에 내원했던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중 쯔쯔가무시병의 확진 진단법인 IFA 결과 급성기 항체가와 회복기의 항체가가 4배 이상 상승하거나, 56-kDa Gene Nested PCR 결과 양성으로 나오고 가피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던 506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가피가 흔히 확인되는 부위로 남성은 배꼽아래 30cm이내 복부, 서혜부(53명, 28.2%)에 여성은 전방흉부, 액와부(109명, 34.3%)에 가장 흔하게 확인되었고, 그 다음으로 남성은 하지(45명, 23.9%), 여성은 배꼽아래 30cm이내 복부, 서혜부(79명, 24.8%)였다. 그러나, 쯔쯔가무시병의 유전자형에 따라 남성과 여성에게서의 가피형성의 위치 차이나 농촌, 도시 거주 지역에 따른 가피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쯔쯔가무시병 환자의 성별에 따른 가피호발부위에는 차이가 있었고, 이에 가피위치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어 쯔쯔가무시병을 빠르게 진단 할 수 있을 것이다.|Background : The scrub typhus is caused by the infection of the Orientia tsutsugamushi. It is the representative acute febrile disease that is generated like the ha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and leptospirosis for the autumn season in Korea. Eschar formation and its characterizing position are very important for the diagnosis of the diseas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forming eschar and the gender of the scrub typhus patients or O. tsutsugamushi genotypes.

Material and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506 adult patients aged over than 18 yrs old with acute febrile diseases of recent onset and visited Chosu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September 2004 and December 2008, and confirmed diagnosis of scrub typhus with a four-fold or greater increase in antibody titers measured by IFA or positivity for the 56 kDa antigen in a nested PCR assay.

Result : Total 506 patients were reported in between 2004 and 2008 having eschar, of which 188 were male patients and 318 were female patients. According to gender, commonly identified positions of eschar were inguinal and abdomen which is 30 cm below the umbilicus region for male (53 patients, 28.2%) followed by lower limb (45 patients, 23.9%). Similarly in female patients position of eschar in an anterior chest and axillary region (109 patients, 34.3%) was followed by inguinal and abdomen which is 30 cm below the umbilicus for female ( 79 patients, 24.8%). In addition, no significance difference was found in genotype and eschar formation in scrub typhus patients.

Conclusion : There is difference in position of eschar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Thus, this fact will be helpful to find an eschar and to diagnose early scrub typhus patients.
Alternative Title
The Eschar Distribution According to Gender and Orientia tsutsugamushi Genotypes of Scrub typhus Patient
Alternative Author(s)
Jang mi s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김동민
Awarded Date
2010-02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연구방법 = 3
1. 연구 대상 = 3
2. 연구 방법 = 3
A. 면역형광법(IFA) = 3
B. Orientia tsutsugamushi DNA 추출 = 4
C. 56KDa Gene Nested PCR 및 염기서열분석 = 4
D. 환자의 특성 및 가피 분포 위치 = 5
3. 통계방법 = 5
Ⅲ. 결과 = 6
1. 대상 환자의 특징 = 6
2. 성별에 따른 가피 위치의 차이 = 6
3. 쯔쯔가무시병의 유전자형에 따른 가피 위치의 차이 = 7
4. 거주 지역에 따른 가피 위치의 차이 = 7
Ⅳ.고찰 = 8
Ⅴ. 요약 및 결론 = 12
Ⅵ. 감사의 말씀 = 13
Ⅶ. 참고문헌 = 1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장미선. (2009). 쯔쯔가무시병 환자에서 성별 및 원인균의 유전자형에 따른 가피 형성 부위.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6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9597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Parmacy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1-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