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윌리암 포크너의 As I Lay Dying에 나타난 심리적 소외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포카렐 램찬드라
Issued Date
2009
Abstract
국문초록
윌리암 포크너의 As I Lay Dying에 나타난
심리적 소외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지도교수: 임경규
포카렐 램찬드라


본 논문은 미국 모더니즘의 거장 윌리암 포크너의 소설 As I Lay Dying에 나타난 심리적 소외 현상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소설 속의 각 인물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소외와 소통의 단절을 20세기 초 미국 남부 사회의 붕괴와 근대성의 확산의 결과임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본 소설은 여주인공 애디 번드런(Addie Bundren)의 장례식을 위한 여행 과정을 극화한 것으로, 총 50여개의 작은 장으로 구별되어 있으며, 각 장의 서술자 역시 각기 다르다. 서술 형식 역시 각 서술자마다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독자들은 한번도 전체 사건에 대한 객관적 보고를 듣지 못하고, 오로지 개별 화자들이 애디의 장례식에 대하여 말하는 것과 그들이 장례식에 대처하는 방식만을 볼 수 있을 뿐이다. 이런 형식적 문제는 소설 속에서 각 인물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소외와 고립, 의사소통의 부재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각 인물들이 경험하는 소외의 중심에는 애디가 존재하며, 그녀는미국의 근대적 여성성을 대표한다. 그녀와 그녀 가족과의 관계는 각 인물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소외의 원천으로써, 각 인물들은 그녀의 장례식 여행을 통하여 나름의 방식으로 그 소외를 극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애디의 장례식을 위한 여행은 사실 각 개별 인물들에게는 본원적 소외를 극복하고 “자기”를 찾는 여행으로 변화된다. 물론 이 극복을 위한 여행의 과정이 결코 평탄하지만은 않다. 달(Darl)은 정신병원으로 보내지고, 주월(Jewel)은 자신의 소중한 말을 상실하게 된다.
개별 인물들이 경험하고 있는 소외는 비단 엄마인 애디로 인한 것만은 아니다. 특히 당시 미국 남부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특수성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는데, 이는 번드런 가족이 겪었던 심리적 소외가 거의 모든 남부 하층민들이 겪어야 했던 정신적 공황을 표현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 Title
Psychological Alienation in William Faulkner's As I Lay Dying
Alternative Author(s)
Ramchandra Pokharel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임경규
Awarded Date
2010-02
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

Table of Content i
Abstract ii
Introduction 1
Chapter I:
As I Lay Dying and Alienation: A Critical History 3
1. William Faulkner’s Life and Literature 3
2. The Plot of As I Lay Dying 5
3. Critical History 7
Chapter II
Philosophical Concept of Alienation 12
1. History of the Concept of the Alienation 12 2. Fredrick Hegel 13
3. Karl Marx 14
4. Later Development 15
Chapter III
Alienation in As I Lay Dying 18
1. Individual Characters and Alienation 18
2. Alienation and Family Relationship 25
3. Alienated Addie and the Birth of her Children 35
IV. Conclusion 39
Works Cited 4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포카렐 램찬드라. (2009). 윌리암 포크너의 As I Lay Dying에 나타난 심리적 소외에 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56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947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1-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