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초등학생의 비만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홍강식
Issued Date
2008
Abstract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5·6학년 4,0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건강진단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연구 대상자 중 남자는 52.5%, 여자는 47.5%였고, 도시지역 거주 아동은 48.8%, 농촌지역 거주아동 51.2%였다. 아동들의 비만 여부는 정상 아동이 91.9%, 비만 아동은 8.1%으며, 아동들의 인터넷 중독 수준은 ‘정상’이 57.3%, ‘중독 경증’은 41.5%, ‘중독 중증’은 1.2%로 조사되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비만여부와 유의한 관련을 보인 변수로는 성별, 지역, 학년, 야식 여부, 선호식품, 아동이 인식하고 있는 어머니의 체형, 수면시간, 운동시간, 미디어 사용시간, 인터넷 중독수준 등 이었다(p<0.05). 하루 평균 미디어 사용 시간은 1사분위에서보다 4사분위에서 비만 위험율이 높았으며(교차비=1.507, 95% 신뢰구간=1.070-2.124), 인터넷 중독 수준은 정상수준 아동보다 중독수준 아동의 경우 교차비가 1.288(95% 신뢰구간=1.003-1.654)였다.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비만 위험 교차비는 0.713(95% 신뢰구간=0.548-0.927)였고, 4학년인 경우보다 6학년인 경우 교차비가 2.246(95% 신뢰구간=1.616-3.122)였다. 어머니의 체형이 말랐다고 인식하는 아동보다 뚱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 아동들의 교차비는 1.887(95% 신뢰구간=1.176-3.030)였다. 저녁 시간 후 잠자기 전에 야식을 먹지 않는 아동에 비해 야식을 자주 먹는 아동의 교차비는 0.530(95% 신뢰구간=0.413-0.682)였으며, 인스턴트류를 선호하는 아동보다 선호식품이 어육류인 경우 교차비가 0.666(95% 신뢰구간=0.469-0.945), 가공음료류인 경우에는 교차비가 0.614(95% 신뢰구간=0.445-0.849)였다.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이 길수록 비만율이 낮았는데 8시간 미만인 경우보다 8~9시간 사이의 비만 아동이 적었고(교차비=0.656, 95% 신뢰구간=0.485-0.888), 9시간 이상인 경우 비만 위험율은 더욱 낮았다(교차비=0.586, 95% 신뢰구간=0.434-0.791).
이상의 연구 결과 초등학생에 있어 비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인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인터넷 중독수준이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초등학생들의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올바른 인터넷 사용에 대한 적절한 규제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is study analysed the questionnaire and data on physical examination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obesity, targeting 4,01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of 4, 5, and 6,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52.5% of boy students, 47.5% of girl students, 48.8% living in urban area, and 51.2% living in rural area. 91.9% of the subjects had normal weight and 8.1% were obese. For the Internet addiction, 57.3% of the subjects were normal, 41.5% had mild addiction, and 1.2% had severe addiction.
As a result of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obesity were age, areas, school year, a midnight meal, preferred food, mothers' body figures perceived by subjects, sleeping hours, hours of exercise, hours of media access, Internet addiction levels(p<0.05). The subjects with the mean hours of media access in upper quartile rather than lower quartile had higher risk of obesity(OR=1.507, 95% confidence interval=1.070-2.124). The odd ratio of the subjects who had addiction was 1.288(95% confidence interval=1.003-1.654). The odd ratio in obesity of the girl subjects 0.713(95% confidence interval=0.548-0.927), and that of the subjects in grade 6 rather than in grade 4 was 2.246(95% confidence interval=1.616-3.122). The odd ratio of the subjects who perceived their mothers are obese rather than lean was 1.887(95% confidence interval=1.176-3.030). In comparison with the subjects who had never night meals before going to bed, the odd ratio of the subjects who had frequent nigh meals was 0.530(95% confidence interval=0.413-0.682). That of the subjects who preferred fish and meat was 0.666(95% confidence interval=0.469-0.945), and that of those who preferred processed drinks odd ratio was 0.614(95% confidence interval=0.445-0.849). The longer mean sleeping hours, the lower obesity. The subjects who slept for eight and nine hours had less obesity than those who slept less than eight hours(OR=0.656, 95% confidence interval=0.485-0.888), and those who slept more than nine hours had much lower risk of obesity(OR=0.586, 95% confidence interval=0.434-0.791).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obesity though effects of other variables that may affect obe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ontroll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roper management and education on right use of the Internet network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obe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 WORD : Internet Addiction, Obesi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ternative Title
The Association of Obesity with Internet Addiction among So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ternative Author(s)
Hong Kang Sig
Affiliation
일반대학원 의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이철갑
Awarded Date
2009-02
Table Of Contents
표목차 iii

ABSTRACT ⅳ

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연구방법 4
제 1 절 연구 대상 4
제 2 절 자료 수집 방법 4
제 3 절 자료 분석 방법 8

제 3 장 연구결과 9
제 1 절 연구대상자의 특성 9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
2. 연구대상상자의 생활습관 관련 특성 11
3.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관련 특성 13
4. 연구대상자의 인터넷 이용 실태 관련 특성 14
5. 연구대상자의 사회·심리적 특성 17
제 2 절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비만여부와의 관련성 18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비만여부와의 관련성 18
2. 생활습관 관련 특성과 비만여부와의 관련성 20
3. 식습관 관련 특성과 비만여부와의 관련성 22
4. 인터넷 이용 실태 관련 특성과 비만여부와의 관련성 23
5. 사회·심리적 특성과 비만여부와의 관련성 26
제 3 절 초등학교 아동의 인터넷 중독과 비만 관련 요인 27


제 4 장 고 찰 30

제 5 장 요약 및 결론 37

참고 문헌 39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홍강식. (2008). 초등학생의 비만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10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84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