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치매노인의 공격행동이 간호제공자의 소진감과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채현미
Issued Date
2007
Abstract
ABSTRACT

Impacts of Aggressive Behaviors of Demented Elderly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aregivers


Chae, Hyun Mi
Advisor : Prof. Kim, Jin-Sun, RN, Ph. D.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Aggressive behaviors in dementia elderly is a frequent and complex problem. It often occurs towards caregivers who provide direct care to the demented elderly.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s of aggressive behaviors of demented elderly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aregivers.
Participants were 120 caregivers in 7 institutions.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omeswho provide care for demented elderly factors
-ⅳ-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aggressive behaviors were verbal aggressive behaviors followed by physical and sexual aggressive behaviors. The most frequently used coping strategies were positive coping strategies followed by passive, negative coping strategies. Younger caregivers and caregivers who have no previous experience of demented elderly were lower self-efficacy to manage aggressive behaviors than their counterparts.
Caregivers in this study experienced burnout while taking care of demented elderly and 43.2% reported turnover intention. The predictors of caregivers' burnout were self-efficacy, negative coping strategies, age and these variables accounted 34% of variance for caregivers' burnout. The caregivers who reported the higher level of burnout experienced the higher level of turnover intention.
Caregivers should be informed about desirable coping strategies to manage aggressive behaviors of demented elderly. Strategies to identify and to remove trigger factors of aggressive behaviors of demented elderly are need to b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evaluated to prevent or eliminate burnout of caregivers who care for demented elderly.
Alternative Author(s)
Chae Hyun M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사과정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warded Date
2008-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ⅳ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1
B. 용어의 정의 3


Ⅱ. 문헌고찰 5
A. 공격행동 5
B. 대처행동 7
C. 자기효능감 8
D. 소진감 9

Ⅲ. 연구방법 10
A. 연구대상자 10
B. 연구도구 10
C.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12
D. 자료분석방법 12
E. 연구의 제한점 13

Ⅳ. 연구결과 14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14
B. 연구대상자의 직종관련 특성 14
C. 연구대상자가 경험한 영역별 공격행동정도 17
D. 연구대상자의 치매환자 공격행동에 대처행동정도 17
E. 연구대상자의 치매환자 공격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20
F. 연구대상자의 소진감 20
G. 연구대상자의 이직의사 22
H.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처행동 사용정도의 차이22
I. 대상자의 직종관련특성에 따른 대처행동사용정도의 차이23
J.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격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차이24
K. 직종관련 특성에 따른 고역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차이25
L.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감의 차이 26
M. 직종관련 특성에 따른 소진감의 차이 27
N.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사의 차이 28
O. 직종관련 특성에 따른 이직의사의 차이 28
P. 소진감, 이직의사와 제변수간의 상관 30
Q. 대상자의 소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R. 대상자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


Ⅴ. 논의 34


Ⅵ. 결론 및 제언 37
1.결론 37
2.제언 38

참고문헌 39

설문지 43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5
표 2. 연구대상자의 직종관련 특성16
표 3. 연구대상자가 경험한 영역별 공격행동정도18
표 4. 연구대상자의 치매환자 공격행동에 대처행동정도19
표 5. 연구대상자의 치매환자 공격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20
표 6. 연구대상자의 소진감 21
표 7. 연구대상자의 이직의사 22
표 8.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처행동 사용정도의 차이23
표 9. 대상자의 직종관련특성에 따른 대처행동 사용정도의
차이24
표 10.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격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차이25
표 11. 직종관련특성에 따른 공격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차이26
표 1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감의 차이 27
표 13. 직종관련 특성에 따른 소진감의 차이 28
표 1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사의 차이 29
표 15. 직종관련 특성에 따른 이직의사의 차이 30
표 16. 소진감, 이직의사와 제변수간의 상관관계 31
표 17. 대상자의 소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표 18. 대상자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사과정
Citation
채현미. (2007). 치매노인의 공격행동이 간호제공자의 소진감과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718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6366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2-19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