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공공디자인 옥외광고물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옥외광고물 간판 정비사업 내용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신상식
Issued Date
2013
Abstract
오늘날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활용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들의 공공디자인 정책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근본적인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보다는, 대부분 하드웨어의 양적인 부분에 치우쳐 불필요한 시설들을 과도하게 양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비록 예전보다는 더 큰 관심을 가지고 공공디자인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들이 시행되고는 있으나, 아직도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방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가시적이고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공공디자인 분야 중 옥외광고물인 간판을 정비하기 위해 현재 많은 지자체들이 간판관련 개선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에 있다. 옥외광고물 간판은 지역의 상징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지역기반의 개발정책으로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렇게 지역에 알맞은 적절한 옥외광고물의 간판 이미지 전략은, 지역브랜드 가치 상승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간판은 상가의 이미지와 매출 그리고 상권에 영향을 크게 줄 수 있는 매개체이기 때문에, 조형적 요소와 시각적 표현에 의한 디자인 전략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하지만, 획일적으로 추진되어 온 간판개선사업은 지역의 특성을 살리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간판디자인의 기준마저 획일화되어 지역의 특성조차 나타내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외광고물 간판 산업을 하나의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간판개선사업에 대한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 그리고 간판 디자인 요소분석을 통한 이미지 전략을 모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럽과 미국, 일본 등 해외의 간판이미지 전략과 지역마케팅을 사례를 알아보았다. 또한 성공적인 간판개선사업을 이루어낸 국내 지자체의 사례와, 특히 광주·전남의 간판개선사업 사례를 함께 조사해 간판과 관련된 정책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간판의 감성적 조형 요소, 시각적 문화 요소와 연계한 간판디자인의 요소별 전략 방안도 함께 모색하였다.
시민들이 생각하는 아름다운 간판을 위한 시각적인 이미지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옥외광고물이 가지는 미적요소와 그 가치를 알아보고자 크게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첫째, 현재 옥외광고물 간판에 대해 느끼는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보았다. 둘째, 현재 간판디자인의 문제점에 대해 생각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셋째, 아름다운 간판디자인을 위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시각적 요소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10대부터 50대까지 광주·전남에 거주하는 시민을 표본으로 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지자체의 간판개선사업과 간판디자인에 관한 문제점을 각각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옥외광고산업과 간판개선사업의 발전방향, 그리고 간판 디자인 요소의 분석을 통한 이미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광주·전남의 간판개선사업이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시각적 디자인 표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옥외광고물의 간판개선사업은 아름다운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지역의 브랜드가치와 주민소득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개인의 상권과 관련되어 있는 이러한 사업은 관 주도가 아닌 주민 스스로의 참여로 이루어져야 성공적으로 진행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옥외광고산업이 지역과 밀착된 특화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고, 차별화된 간판디자인은 우리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을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Development policy of the urban design of the municip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residents , and placed blow vitality to the city , are deployed in very diverse . The design of the public , a large ripple effect on citizens in particular .

South Korea Looking at the case of urban development that evolved into modern era , while the production material , has been made ​​to fill the place of the city with mass production of unnecessary facilities . This minimizes the installation of public facilities has given trouble in walking , the distance between the building and to form an harmony with development , with integrated design , we have established the facilities side , such as a disorderly Sign comfortable in it i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town with a space .

In recent years , a clean image is in the competitiveness of urban design . Became part of the sky of the city , are those full of people's activities , where it is empty , citizens can have a view of the landscape .

The streets of cities , buildings and bizarre form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design , there is no resistance , childish outdoor advertising materials are arranged . In addition, the mall was benchmarking the advertising thereof , the building is filled commercial facility superficial is increasing . Public these facilities , to throw a serious question of identity and level , and the position of the city by geographic location of the public design .
Big of statelessness which have adhered to the building by institutionalized outdoor advertisement method , standardization , through standardization , outdoor advertising of various compromis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 in a hurry the development of a comfortable environment flashy illegal advertising color have . It is possible that as one of the street urban development project in the city that has been improved, and evaluated as effective policies for the promotion of regional development .

Outdoor advertisement billboards help improve business , and the active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 will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 the outcome will vary based on the professional guidance . For activation , in order to build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 , and efforts strategy of outdoor advertising of some reasonable even though it is overall image of the city Taken together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is way it must be directed continuously .

Rather than end up detailed item that forms the basic design , the problem of the shape and color of the sign design is the most important content to put the competitiveness of the design . The design competitive , and those designed always to be determined only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ople who use it , rather than theory alone form simply the dynamic action of the visual recognition process of human I will be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cess of visual recognition of sign , tried all kinds for the molding characteristics stand out , such as in the sense should be mobilized the shape and color of the design .

Thus, it is done Urban Design Commission , public design committee , outdoor advertisement committee , facilities environment of the facility itself , moved the focus of its meaning , deliberations on signs development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 context more it is efforts must be made to build the image of the city speaking, have to build an environment that can go leading the city brand and made ​​changes of direction in the billboard image synthesis integrated essential from those of individual independent does not .

Therefore, in this study , as an alternative for outdoor advertisement activation , Survey outdoor advertisement signage improvement project is one of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of Gwangju Jeonnam area analysis and sign development cases of local, national and eco to present elements and visual art elements sensibility and direction for improving the problem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 to train sign competitive industries was put , to lead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city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purpose to be as close to the design of such sig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Outdoor Advertisement of Public Design
Alternative Author(s)
Shin, Sang Sik
Department
디자인대학원 시각디자인학전공
Advisor
김남훈
Awarded Date
2014-02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공공디자인의 일반적 고찰 8
제2절 옥외광고물 현황 및 이해 15
제3절 간판디자인의 개요 30

제3장 옥외광고물 간판디자인 분석 및 소비자조사
제1절 옥외광고물 간판디자인 사례 분석 34
제2절 소비자 설문조사 및 분석 69

제4장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제1절 간판디자인의 문제점 80
제2절 디자인 개선 방안 82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86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8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신상식. (2013). 공공디자인 옥외광고물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옥외광고물 간판 정비사업 내용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8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212
Appears in Collections: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4-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