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디자인컨설팅기업의 특성 및 디자인컨설팅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탐색적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임효선
Issued Date
2006
Abstract
21세기는 디자인컨설팅의 르네상스라고 불리워질 만큼 디자인컨설팅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선진국이라 일컬어지는 미국, 독일 및 일본 등에서 최근 단순한 형태의 디자인전문회사가 아닌 종합적인 관점의 디자인컨설팅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상들을 통해 증명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향후 현재 존재하고 있는 디자인전문회사들이 디자인컨설팅회사로의 변화가 이루어질 것이며 또한 그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디자인전문회사들이 진정한‘디자인컨설팅’기업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은 산업체의 디자인 인식부족이나 디자인업계의 방법론부재보다 더욱 근본적으로 산업체와 디자인컨설팅기업의 관계정립에 대한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전문회사와 디자인컨설팅기업과의 차이를 규명하여 디자인회사들이 디자인컨설팅기업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시대 변화의 요구에 따른 학문적 영역은 계속 확대되고 세분화 될 것이다. 그 중 하나로 디자인 컨설팅에 대해 적용 가능한 집중된 연구를 시도 하여 디자인컨설팅을 하고 자하는 기업들에게 디자인컨설팅 프로세스의 필수 지침서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기존의 사례연구와 이론연구를 바탕으로“디자인컨설팅”과정에 필요한 단계를 연구하여 디자인컨설팅의 프로세스를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step1. 몰입화단계(commitment step), step.2. 감사단계(audit step), step3. 조정단계(adjustment step), step4. 제품포트폴리오분석단계(product portfolio analysis step), step5. 디자인소스탐색단계(design source search step), step6. 디자인전략구축단계(design strategy building step), step7. 디자인실현단계(design realization step) 및 step8. 사후관리단계(follow-up step)로 제시하였다.|21st century is known as the renaissance of design consulting since its importance has been increasing through recent history. This trend has been proven by the competitive environment that not only the number of professional design companies, but also comprehensive design consulting firms is increasing. Therefore, current design professional companies in South Korea will also be transformed into design consulting firms and the need for these transformations will be on the rise.
Professional design companies cannot fill the role of authentic design consulting firms at this point. This lack of authenticity does not manifest from manufacturer’s lack of appreciation of design or the methodologies executed by the design industry, but rather the perceived unimportance in forming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ers and design consultation. Therefore, this experiment clarifies the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 design companies and design consulting firms, thereby suggesting the basic framework that design companies can apply in order to transform into consulting firms.
Academic areas in design will be expanded and segmented because of the nee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n applicable methodology and guidebook for prospective design professionals that wish to consult.
Furthermore, this paper experiments the essential steps to elucidate the design consulting process based on case studies and theory studies: step 1 Commitment, step 2 Audit, step 3 Adjustment, step 4 Product portfolio analysis, step 5 Design source search, step 6 Design strategy building, step 7 Design realization and step 8 Follow-up.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esign Consulting Corporations and Design Consulting Process
Alternative Author(s)
Lim, Hyo-se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제품실내디자인학과
Advisor
이진렬
Awarded Date
2007-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 2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의 목적 = 3
제3절 연구의 구성 = 4
제2장 디자인컨설팅의 개념과 필요성 = 6
제1절 디자인컨설팅의 개념 = 6
1. 디자인전문회사와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차이 = 8
2. 디자인컨설팅의 절차 = 10
제2절 디자인컨설팅의 위치 = 11
제3절 국내·외 디자인컨설팅산업의 현황 = 14
1. 국내 디자인컨설팅산업의 현황 = 14
2. 국외 디자인컨설팅산업의 현황 = 17
1) 일본 = 17
2) 영국 = 18
3) 미국 = 20
제4절 디자인컨설팅기업으로의 변화의 필요성 = 22
제3장 디자인컨설팅실현의 전제조건 = 26
제1절 디자인컨설팅실현의 어려움 = 26
제2절 디자인컨설팅실현의 전제조건 = 28
제4장 디자인컨설팅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 32
제1절 국내·외 디자인컨설팅산업의 구조 = 32
제2절 국내·외 디자인컨설팅 사례 = 36
1. 국내 디자인 컨설팅 사례 = 36
1) 디자인 홈닥터 사업 = 36
2) 경기 디자인 스튜디오 디자인컨설팅 지원 = 37
3) KT협력사 중소기업 디자인 컨설팅 지원 = 37
4) 이노디자인의 레인콤사 MP3플레이어 디자인 컨설팅 사례 = 37
2. 국외 디자인 컨설팅 사례 = 39
1) Wolff Olins의 오렌지텔레콤 디자인컨설팅사례 = 39
2) Ziba Design의 움프쿠아 뱅크(Umpqua Bank) 디자인컨설팅 = 42
3) 탠저린의 브리티시항공(BA) 비즈니스클래스 좌석 디자인컨설팅 사례 = 44
4) IDEO 디자인컨설팅 사례 (카트, PDA, 병원) = 45
제3절 디자인컨설팅 프로세스 구축의 이론적 고찰 = 53
제5장 디자인컨설팅 프로세스 = 56
제1절 STEP 1. 몰입화 단계 = 56
제2절 STEP 2. 감사 단계 = 63
1. 내부감사단계 = 63
1) Corporate-Brand fit = 63
2) Corporate-Organization fit = 64
3) Corporate-Innovation fit = 65
2. 외부감사단계 = 67
1) Corporate-Consumer fit = 67
2) Brand-Consumer fit = 68
3) Brand Positioning = 69
제3절 STEP 3. 조정 단계 = 70
1. 내부조정단계 = 71
2. 외부조정단계 = 74
제4절 STEP 4. 제품포트폴리오 분석단계 = 77
제5절 STEP 5. 디자인 Source 탐색단계 = 80
1. 기존제품 개선 = 81
1) 기업 Identity를 위한 디자인 = 81
(1) Semantic Differential Test (의미분별척도법) = 82
(2) Design communication Test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테스트) = 83
(3) 기업-제품 연상테스트(Blind Testing) = 83
2) 차별화를 위한 디자인 = 84
(1) Usability Perception(사용성 인지) = 84
(2) Attraction Testing(매력도 테스트) = 85
3) 다각화디자인 = 86
2. 신제품 개발 = 88
1) 소비자 욕구의 반영 = 88
(1) 에쓰노그래픽 연구 (Ethnographic studies) = 90
(2) 소비자행동연구 (Behavial studies) = 91
2) 기술적 발전의 반영 = 95
3) 환경적 변화의 반영 = 97
(1) 사회/문화적 환경 = 97
(2) 법적/정치적 환경 = 99
(3) 자연적 환경 = 100
제6절 STEP 6. 디자인전략 구축단계 = 104
1. Project direction = 104
2. STP전략 = 105
1) 라이프스타일 척도의 활용 = 106
2) 군집분석 = 113
3) 동질성분석 = 114
4) 다차원척도법(MDS) = 114
3. Concept planning & testing = 116
1) F.G.I (Focus Group Interview) = 118
2) C.L.T (Central Location Test) = 118
3) H.U.T (Home Using Test) = 118
4) Gang Survey = 119
5) Criterion-Concept Test = 119
제7절 STEP 7. 디자인 실현단계 = 120
1. 디자인개발 = 120
2. 제약조건 조정 = 123
1) 성과목표와의 제약 = 124
2) 인간공학적 제약 = 125
3) 생산과 비용제약 = 125
4) 규정적, 법규제약 = 126
5) 마케팅 프로그램제약 = 126
6) 디자이너의 제약 = 127
3. 평가 = 127
제8절 STEP 8. 사후관리단계 = 132
제6장 결론 = 137
제1절 연구의 시사점 = 137
1. 디자인컨설팅의 전제조건 = 137
2. 디자인컨설팅 기업의 특성 = 138
3. 디자인컨설팅 프로세스 = 139
제2절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 140
참고문헌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임효선. (2006). 디자인컨설팅기업의 특성 및 디자인컨설팅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탐색적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59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399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9-0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