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드 쿠닝의 회화에 나타난 선의 모호한 표현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민명화
Issued Date
2006
Abstract
현대회화에서의 선(線)은 사물간의 구분과 형태재현을 위한 윤곽으로 존재했던 과거와는 달리, 작가의 내적표현(內的表現)의 행위성과 독창성의 효과적인 수단을 위한 중요한 표현언어(表現言語)로 인식되었다. 이는 내면세계의 표현과 무의식적인 행동표현의 수단으로서 선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이다.
회화에서의 선에 대한 기원은 원시 선사시대 외형적인 모습을 그리려는 욕망에서 시작되어 이집트, 그리스, 그리고 동양의 전통 회화 등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인상주의 이후 19세기 후반에 들어와 표현주의와 입체주의를 거치면서 사실적 묘사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어 내적 필연성에 의한 현대적 의미의 선이 나타나게 되고,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에 이르면서부터 선은 단지 대상 표현의 수단에 그치지 않고 선 그 자체만으로도 회화적 의미를 갖게 된다. 꿈, 무의식의 세계를 자동기술적인 선으로 표현하였고, 액션페인팅이나 앵포르멜에서 선의 자발성과 표현성이 더욱 심화(深化)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선의 자율성(自律性)은 내재(內在)된 인간정신(人間精神)의 표출로서 독자적이며 새로운 의미로 화면을 이루게 되었다.
특히 칸딘스키는 인간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선은 색과 더불어 필수적 요소라 정의하면서 선에 대한 법칙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고, 클레, 미로 그리고 몬드리안과 같은 작가들은 선을 그들의 작품을 통해 개성적으로 구성해 나갔다.
본 논문은 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선에 초점을 두고자 한 것은, 선이 지니고 있는 본질 존재로서의 상징적 의미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내면세계의 표현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드 쿠닝(Willem de Kooning, 1904-1997)의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좀 더 발전적인 본인 작품 창작 과정을 전개하고자 함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윌렘 드 쿠닝은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작가이며 구상성을 띤 추상 표현으로 독특한 회화 영역을 구축한 액션 페인팅(Action Painting)의 대표적인 화가이다. 네델란드에서 어린 시절 받은 미술교육은 미국에서 작품 활동의 배경이 되었다. 이런 배경은 그의 회화에서 창조의 원천이 된다. 드 쿠닝이 미국 현대 미술에의 기여라는 측면에 있어서 다른 작가들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동시대의 작가들에 비해 연구가 미비한 것은 무엇보다 그의 양식 전개의 복잡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현대 회화가 추상과 구상으로 구별되고 있지만, 드 쿠닝의 작업들은 어느 한 경향으로 적용해서 분리시켜 평가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두 경향은 그가 작업하는 행위와 주제 속에서 통합되기 때문이다. 그는 한 가지 양식에서 다른 한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되어 나가는 직선적 변화라기보다는 작품 활동 초기부터 끊임없이 추상과 구상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많은 비평가들과 대중들은 추상표현주의적인 관점에서 드 쿠닝의 초기 작품이 인체를 묘사하며 추상과 구상 사이를 끊임없이 넘나드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점이 다른 추상표현주의 작가들과 구별되는 드 쿠닝 만의 독창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근거가 되고 있다는 것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드 쿠닝의 다양한 작품과 회화 창작 태도, 그의 작업에서 어떻게 추상과 구상을 공존시키면서 독특한 선의 조형적 특성을 지닌 작품세계를 펼쳐 나갔으며, 선의 모호한 표현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인의 작품에 나타난 선은 인간의 내면의식과 외부세계와의 만남이란 상황에서 서로 대립하는 갈등의식이 시작된다고 보는데, 이런 외부적 상황에 대응하는 자아의 모습을 작품에서 선으로 응축시켜 드러내고 개인이 느끼고 있는 내면적 갈등의 산물을 회화공간에 표출(表出)된 선으로 해석하여 인간 내면의 근원적인 해답의 실마리를 얻고자 하였다.|Line contemporary painting has been recognized as the important expressive language for achieving effective means of behavior and originality of an artist's internal expression unlike the past practice that line existed as framework for discrimination between things and their reproduction. I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ine as a menas for expressing internal world and unconscious behavior.
Origin of line in painting was begun from desire for depicting external appearance in the primitive age and was also found in traditional painting of Egypt, Greece and the Orient, line of modern sense was appeared by internal necessity beyond limitation of real depiction through expressionism and cubism in the late period of the 19th century and line itself had the pictorial meaning not to remain the means of expressing object by Wassily Kandinsky (1866~1944). World of dream and unconsciousness was expressed with descriptive line and spontaneity and expressionism of line were deepened more in action painting or informel. Autonomy of line is the expression of man's immanent spirit and makes canvas of independent and new significance.
In particular, Kandinsky defined line as an essential factor with color in expressin man's internal world and suggested laws of line systematically and artists such as Paul Klee, Funducio Joan Miro and Piet Mondrian composed line through their works.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ine and focused on line in order to renew understanding of expressing internal world through reinterpretation of symbolic meaning as an essential existence and develop researcher's creative process through analysis of line shown in the works of Willem de Kooning (1904-1997).
Willem de Kooning is abstract expressionism artist of America and typical artist of action painting which built unique painting area with abstract expression. His art education in childhood in Netherlands became the background of his art activities in America. Such a background became the source of creation of his painting. Although he was not behind other artists in the side of his contribution to American contemporary art, the lack of researches on his art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artists was in complexity of developing his art style.
Although contemporary painting was divided into abstract and representational painting in general, de Kooning's works cannot be evaluated by applying them to a trend because these two trends were incorporated into his work and theme. He showed both abstract and representational styles rather than linear changes since his early works. Many critics and people criticized his frequent uses of abstract and representational expression style to depict human body in his early works But, it was interesting that it was the foundation of explaining his originality discriminated from other abstract expressionism artis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obscure expression of line in his works showing coexistence of abstract and representational expression styles and his various painting attitudes and views.
In addition, the lines shown in researcher's works consider that conflict was started from meeting of man's internal consciousness with external world and the research wanted to find out the cue of essential solution of man's internal world by expressing by-product of internal conflict as line expressed on painting space.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Obscure Expression of Lines in Willem de Kooning's Painting
Alternative Author(s)
Min, Myeong-Hwa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순수미술학과
Advisor
진원장
Awarded Date
2006-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추상표현주의 = 4
B. 선의 회화적 분석 = 7
C. 모호함 = 12
Ⅲ. 드 쿠닝 예술의 형성 = 16
A. 드 쿠닝의 성장 과정 = 16
B. 드 쿠닝의 추상표현주의 = 18
C. 드 쿠닝 작품에 나타난 선의 모호한 표현 = 21
Ⅳ. 드 쿠닝의 미술사적 의의 = 35
Ⅴ. 결론 = 37
참고문헌 = 39
참고도판 = 4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민명화. (2006). 드 쿠닝의 회화에 나타난 선의 모호한 표현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13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288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9-0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