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Inhibitory Mechanism of Nicorandil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Rat Adrenal Medulla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은숙
Issued Date
2006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흰쥐 적출관류 부신을 이용하여 ATP 민감성 칼륨 (KATP) 채널 개방약인 nicorandil이 콜린성 흥분 및 막탈분극에 의한 catecholamine (CA)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고 그 작용의 본태를 규명코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Nicorandil (0.3 ~ 3.0 mM)을 부신정맥 내로 90 분간 주입하였을 때, acetylcholine (ACh, 5.32 mM), 직접 막탈분극을 일으키는 고농도의 K+ (56 mM), 선택적인 니코틴 수용체 작동제인 DMPP (100 μM), 선택적인 M1-무스카린 수용체 작동제인 McN-A-343 (100 μM), 디히드로피리딘계 L형 칼슘통로 개방약인 Bay-K-8644 (10 μM) 및 세포질내 Ca2+-ATPase를 억제하여 유리칼슘을 증가시키는 약물인 cyclopiazonic acid (10 μM)에 의한 CA 분비작용이 비교적 용량 및 시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러나 비특이성 KATP 차단약인 glibenclamide (1.0 mM)은 위 약물의 CA 분비작용을 오히려 유의하게 증강시켰다. 흥미롭게도, nicorandil (1.0 mM) 과 glibenclamide (1.0 mM)을 90분간 동시 처치하였을 때 ACh, 고농도의 K+, DMPP, McN-A-343, Bay-K-8644 및 cyclopiazonic acid 의 CA 분비효과가 nicorandil 단독처치 시 나타나는 효과에 비하여 대조치의 상당한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또 다른 KATP 통로 개방약인 pinacidil (1.0 mM) 존재 하에서도 ACh, 고농도의 K+, DMPP, McN-A-343, Bay-K-8644 및 cyclopiazonic acid에 의한 CA 분비작용은 뚜렷이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nicorandil은 흰쥐 적출 관류부신에서 콜린성 (니코틴 및 무스카린) 수용체 흥분작용과 막탈분극에 의한 CA 분비효과를 억제하는 반면, glibenclamide는 이들 분비작용을 오히려 증강시키며, 이러한 nicorandil의 억제작용은 흰쥐의 부신 수질 크롬친화세포에서 KATP 및 small conductance Ca2+-activated K (SKca) 통로의 활성화를 통하여 세포외칼슘 유입 및 세포질내 칼슘 유리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작용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nicorandil 민감성 KATP 및 SKca 통로가 흰쥐 부신수질의 CA 분비작용을 조절하는데 억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흰쥐 부신수질에서 니코란딜의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에 대한 억제기전
Alternative Author(s)
Lee, eun-Sook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임동윤
Awarded Date
2006-02
Table Of Contents
KOREAN ABSTRACT = 10
I. INTRODUCTION = 13
II. MATERIALS AND METHODS = 16
Experimental Procedure = 16
Perfusion of Adrenal Gland = 16
Drug Administration = 17
Collection of Perfusate = 17
Measurement of Catecholamines = 18
Statistical Analysis = 19
Drugs and Their Sources = 19
II. RESULTS = 20
Effect of nicorandil on CA release evoked by ACh, high K+, DMPP and McN A 343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ula = 20
Effect of nicorandil on CA release evoked by Bay K 8644 and cyclopiazonic acid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ula = 21
Effect of nicorandil plus glibenclamide on CA release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 A 343, BAY K 8644 and cyclopiazonic acid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s = 24
Effect of pinacidil on CA release evoked by ACh, excess K+, DMPP, McN A 343, Bay K 8644 and cyclopiazonic acid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a = 25
IV. DISCUSSION = 27
V. SUMMARY = 38
REFERENCES = 4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은숙. (2006). Inhibitory Mechanism of Nicorandil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Rat Adrenal Medulla.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04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270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5-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