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지유 에탄올 추출물이 실험적으로 유도된 흰쥐의 위염 및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河辰沃
Issued Date
2004
Abstract
본 실험에서는 흰쥐에 다양한 궤양 유발방법을 이용하여 급성위염 및 위궤양을 유발하고 지유 에탄올 추출물 200 mg/kg(SOL) 및 지유 에탄올 추출물 400 mg/kg(SOH)을 투여하여 급성위염 및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지유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n-butanol과 H2O로 계통분획하고 농축하여 in vitro에서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ethyl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지유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HCl-ethanol 위 손상에서 식염수 투여 대조군(CON)에 비하여 각각 17.66%, 21.71%의 항궤양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의 유의성은 볼 수 없었다. 대조 약물 cimetidine 투여군(CMT)에서는 47.26%의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Indomethacin유발 위궤양에서,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투여 용량에 관계없이 SOL과 SOH 모두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볼 수 있었으며 CMT는 58.26%의 우수한 방어 효과를 나타내었다. Shay 위궤양에서, SOL, SOH 모두 CON과 비교하여 약 45% 정도의 궤양감소율은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효과는 아니었다. 지유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을 때 pH는 상승하였지만 CMT 보다 뚜렷한 효과는 없었다. 위액분비량과 위산분비량의 경우 CMT 만큼 우수하지는 않았지만 CON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Pepsin 활성도에서는 CON과 비교 하였을 때 SOL, SOH 및 CMT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수침·구속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궤양의 경우 SOL에서는 CON에 비하여 궤양의 깊이는 얕았지만 출혈을 동반한 궤양이 관찰되었고 유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그러나 SOH과 CMT에서는 점상출혈이 다소 존재하였으나 각각 48.45%, 65.39%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보여주었다. Cysteamine 유발 십이지장궤양에서는 CMT가 53.91%의 유의한 궤양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SOL, SOH에서는 42.41%, 35.60% 정도의 억제율을 나타냈다.|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against experimentally 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and gastric ulcers were evaluated in rat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control(CON), drug based on the size of lesion(CMT), ethanol extract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200 mg/kg(SOL) administered group and ethanol extract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400 mg/kg(SOH) administered group. In the prophylactic study, ethanol extract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was administered group reduced gastric lesion in HCl-ethanol induced gastritis, indomethacin induced ulcer, shay's ulcer, water immersion stress and cysteamine induced ulcer with compared the CON. Effect of SO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 statistically. The SOL, SOH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astric mucosal membrane lesions induced by indomethacin which is used for the examination of cellular protective actions, as compared to the CON. We could not find serious difference from pylorus ligation induced gastric mucosal membrane lesions. SOL did not show significant inhibitory action on water immersion induced gastric ulcers but SOH, CMT was effective. And in case of cysteamine group , SOL abolished significantly the gastric lesions induced by cysteamine as compared to the CON.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extract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can used as both prevention and treatment against experimentally 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and ulcer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on Experimentally-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and Gastric Ulcers in Rats
Alternative Author(s)
Ha, Jin-Ok
Affiliation
朝鮮大學校 大學院
Department
일반대학원 식품의약학과
Advisor
李明烈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CONTENTS
ABSTRACT = ⅴ
제 1 장 서론 = 1
제 2 장 재료 및 방법 = 4
제 1 절재료 = 4
1. 실험재료 = 4
2. 실험동물 = 4
3. 시약 = 4
4. 실험기기 = 4
제 2 절 실험방법 = 5
1. 시료추출 = 5
가. 지유의 ethanol 추출 = 5
나. 다용매 분획추출 = 5
2. In vitro에서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력 측정 = 7
3. In vivo에서의 위궤양 실험 = 8
가. HCl-ethanol에 의한 위손상 유발 = 8
나. Indomethacin에 의한 위궤양 유발 = 8
다. Shay 위궤양 유발 = 8
라. 위액분비량, pH, 산도 및 위산분비량 측정 = 9
마. Pepsin 활성도 측정 = 9
바. 수침·구속 스트레스에 의한 위궤양 유발 = 10
사. Cysteamine에 의한 십이지장궤양 유발 = 10
4. 육안적 소견 = 11
5. 위염 및 위궤양 억제율 = 11
6. 통계처리 = 11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12
1. HCl-ethanol 유발 위손상에 미치는 영향 = 12
2. Indomethacin 유발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 = 15
3. Shay 궤양에 미치는 영향 = 18
4. 위액 분비량, pH, 산도 및 위산분비량 = 21
5. Pepsin 활성도 = 25
6. 수침·구속 스트레스 유발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 = 28
7. Cysteamine 유발 십이지장궤양에 미치는 영향 = 31
제 4 장 요약 = 35
REFERENCES = 37
Degree
Master
Publisher
朝鮮大學校 大學院
Citation
河辰沃. (2004). 지유 에탄올 추출물이 실험적으로 유도된 흰쥐의 위염 및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75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0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