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년기 여성의 가족 스트레스와 대처 방안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하영숙
Issued Date
200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대처방안을 조사 연구하여 중년여성들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여생을 보낼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인구학적 특징(교육정도, 종교별, 가족형태별, 결혼년수)에 따라 가족 스트레스에 대하여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본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안 (인지적, 행동적, 인간 관계적, 신앙적)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본다.
사용된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 사용된 문항과 지도 교수님과 협의하여 개발한 문항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조사는 2004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59세의 결혼을 한 여성으로서 적어도 막내자녀가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인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300부를 표집하였으며 최종 270부를 선택하여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조선대학교 통계연구소에 의뢰하여 Frequency ,t(F)test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연구변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가족스트레스는 가족관계, 가정경제, 직업문제, 건강문제가족관계상실의 5개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스트레스 대처는 인지적 대처, 행동적 대처, 인 간관계적 대처, 신앙적 대처의 4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2. 가족으로부터 받는 전반적인 스트레스를 비교해 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결혼년수에 의해 스트레스 차이가 났으며 가정경제, 직업문제, 가족상실에 따른 스트레스와 건강문제에 따른 스트레스는 교육정도와 종교에 의해 차이가 났다..
3.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인지적 대처는 교육정도와 가족형태에 따라 좌우됐으며 행동적 대처방안은 교육정도에 따라 좌우됐다. 그리고 인간관계적 대처방안과 신앙적 대처방안은 교육정도와 종교에 따라 좌우됐다.
4. 가족 스트레스와 관련해서 대부분의 중년여성들이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사회인구학적 특징의 중요한 차이는 교육정도(4회)이고 그 다음 종교(1회), 결혼년수(1회)이었다. 대처 방안과 관련해서, 대부분의 중년여성들이 다양한 대처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인구학적 특징의 중요한 차이는 교육정도(4회)이고 종교(2회), 가족형태(1회)이었다.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데 수반되는 것 중 하나가 스트레스이다. 이 스트레스는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유스트레스(Eustress)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디스트레스(Distress)로 구분하지만 본 연구는 Distress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해 보면 학력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많았다. 저학력 중년여성들이 중년기를 잘 보내기 위한 역할과 준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학력 중년여성들을 위한 성인 교육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스트레스에 고생하는 중년여성들은 자신들이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사건이나 문제를 정확히 판단하고, 효율적인 적절한 대처방안을 사용해 디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이다 그리고 이를 돕고자 하는 상담자들 역시 진술한 변인들을 고려한다면, 중년여성들이 보다 쉽게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결론을 맺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middle-aged women by comparing the extent of middle-aged women's stress and coping methods. In order to realize aims of this study,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ow much differences were the middle-aged women's stress on demographic traits?
2) How much differences were the middle-aged women's coping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0 women in Gwang-Ju large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F)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ncerning family stress, the most middle-aged women suffered from family stress, but speci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demographic traits are the degree of education(related frequency is 4 times), the religion crelated frequency is 1 time), the year of marriage(only 1 time).
2) Concerning coping stress , the most middle-aged women used to copy with variety method, but speci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demographic traits are the degree of education(related frequency is 4 times), the family system(only 1 time), the religion(related frequency is 2 time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Family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s of Middle-Aged Women.
Alternative Author(s)
Ha, Young-Sook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가정학과
Advisor
이달석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 ⅸ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 2 절.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 3
1. 연구문제 = 3
2. 연구모형 = 4
제 3 절 용어의 정리 = 5
1. 중년기 여성 = 5
2. 가족 스트레스 = 5
3. 대처방안 =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 6
제 1 절. 가족 스트레스 = 6
1. 스트레스의 개념 = 6
2. 가족 스트레스 개념 = 8
3. 가족 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 = 11
제 2 절. 가족 발달적 측면에서의 발달과업 및 중년기 가족 스트레스 = 13
제 3 절. 중년기 여성의 특징 = 15
제 4 절. 가족 스트레스 대처방안 = 17
제 3 장. 연구방법 = 19
제 1 절. 연구대상 = 19
제 2 절. 측정도구 = 20
제 3 절. 자료 수집 및 처리 = 21
제 4 장 연구결과 = 22
제 1 절 중년기 여성의 가족 스트레스 = 22
1. 가족관계 = 22
2. 가정경제 = 24
3. 직업문제 = 26
4. 가족건강 = 28
5. 가족상실 = 30
제 2 절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 32
1. 인지적 대처 = 32
2. 행동적 대처 = 34
3. 인간관계적 대처 = 36
4. 신앙적 대처 = 38
제 5 장. 결론 및 제언 = 40
제 1 절. 연구의 결론 = 40
제 2 절. 제한점 및 제언 = 43
참고문헌 = 44
국문초록 = 48
부록 = 50
설문지 = 5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하영숙. (2004). 중년기 여성의 가족 스트레스와 대처 방안에 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74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13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