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조직 내 직무순환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일과 삶 균형의식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황현웅
Issued Date
2016
Keyword
job rota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life balance, neuroticism, agreeableness, Big 5 personality, 직무순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일과 삶 균형의식, 5요인 성격, 신경증, 우호성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s of job rot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life balance with the moderator of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as big five personality.
To this end, it carried the number of 251 people who are working in the various types of the organization including public enterprises, private enterprises government agencies, etc. The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job rotation as a job rotation in a department, a job rotation between departments and a job rotation between offices. Furthermore, it proposed to the main effect of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the number of job rotations carries out, the bett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work-life balance is. The three following findings of the main effects of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it revealed a positive effect of job rotations within a departmen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Second, the number of job rotations between departments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However, job rotations between offices lowered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Next, this research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wo types of personality such as the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on the job attitudes. An empirical analysis accepted the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of which the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job rotation and job-related attitudes. Specifically,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ndicated that job rotations in the same depar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moderating agreeableness. Second, job rotations between offices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agreeableness. But neuroticism moderated negativel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ondition of job rotations in the same department and between offices. In addition to that, neuroticism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 implementation of job rotations between offices.
Therefore, this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emotionally ill worker tends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the enforcement of job rotations between offices.
In other words,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losing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 people who are emotionally disturbed with job rotations between offices.
Ultimately,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effects of job rot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life balance with the moderator of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as big five-personality.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Job Rot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Life Balance:Focusing on the Moderator of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as Big Five Personality
Alternative Author(s)
Hyeon Wung, Hwa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경영학석사학위과정
Advisor
정진철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방법 및 범위 4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제1절 직무순환에 관한 이론적 고찰 5
1. 직무순환의 개념 5
2. 직무순환관련 이론 8
3. 직무순환에 관한 선행연구 10
4. 직무순환의 장점과 단점 13
제2절 직무만족, 조직몰입, 일과 삶 균형의식에 관한 이론적 고찰 15
1. 직무만족의 개념 15
2. 조직몰입의 개념 18
3. 일과 삶 균형의식의 개념 21
제3절 성격에 관한 이론적 고찰 24
1. 성격의 개념 24
2. 성격 5요인 이론의 발달 27
3. 성격 5요인의 구성요소 29
1) 외향성(Extraversion) 29
2) 우호성(Agreeableness) 30
3) 성실성(Conscientiousness) 31
4) 신경증(Neuroticism) 32
5) 개방성(Openness) 32

제3장 연구 설계 34
제1절 연구모형의 설계 34
제2절 연구가설의 설정 35

제4장 연구방법 39
제1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39
1. 직무순환 39
2. 개인의 성격특성(성격 5요인 중 우호성과 신경증) 40
3. 직무만족도 40
4. 조직몰입도 40
5. 일과 삶 균형의 정도 41
제2절 조사방법 42
1. 연구 대상 42
2. 인구통계 분포 42
3. 조사도구 44
4. 통계적 분석방법 44

제5장 실증 분석 결과 46
제1절 기초통계분석 46
1. 변수의 기술통계량 46
2. 요인 분석 47
3. 신뢰도 분석 50
4. 상관분석 51
제2절 연구가설의 검증 53
1. 주 효과가설의 검증 53
2. 조절효과 가설의 검증 55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76
제1절 연구결과 요약 76
제2절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77

참고문헌 81
부 록 89

















표 목 차


[표-1] 직무만족의 개념 17
[표-2] 조직몰입의 관련 개념 및 연구 19
[표-3] 조직몰입의 결정 요인 21
[표-4] 성격에 대한 개념 26
[표-5] 설문항목의 구성 41
[표-6] 인구통계 분포 43
[표-7] 자료의 분석방법 45
[표-8]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량 47
[표-9] 조절변수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48
[표-10] 종속변수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49
[표-11] 변수의 신뢰도 분석 50
[표-12] 변수들의 상관관계 52
[표-13] 직무순환의 유형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54
[표-14] 부서 내 순환과 우호성의 상호작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56
[표-15] 부서 내 순환과 우호성의 상호작용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57
[표-16] 부서 내 순환과 우호성의 상호작용이 일과 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 58
[표-17] 부서 간 직무순환과 우호성의 상호작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59
[표-18] 부서 간 직무순환과 우호성의 상호작용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60
[표-19] 부서 간 순환이 우호성과 상호작용하여 일과 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 61
[표-20] 사업장 간 순환과 우호성의 상호작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62
[표-21] 사업장 간 순환과 우호성의 상호작용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63
[표-22] 사업장 간 순환과 우호성의 상호작용이 일과 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 64
[표-23] 부서 내 순환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65
[표-24] 부서 내 순환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66
[표-25] 부서 내 순환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일과 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 67
[표-26] 부서 간 순환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68
[표-27] 부서 간 순환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69
[표-28] 부서 간 순환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일과 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 70
[표-29] 사업장 간 순환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71
[표-30] 사업장 간 순환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72
[표-31] 사업장 간 순환과 신경증의 상호작용이 일과 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 73
[표-32]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 7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황현웅. (2016). 조직 내 직무순환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일과 삶 균형의식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4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152
Appears in Collections:
Business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