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연주
Issued Date
2011
Abstract
창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사회적 기대나 수요에 비해 교육에 대한 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창업교육은 시행하는 기관과 교육 프로그램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왔는데, 전반적으로 양적인 측면에서는 단기간에 확대 되었으나 질적인 수준과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많이 취약한 상태이다. 이렇듯 창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가에 반해 적절한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창업 활성화를 통한 경제 사회발전에 대한 기여가 다소 미흡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인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창업교육은 근본적으로 창업을 원하는 예비 창업자, 기존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이들의 창업 능력 및 기업가 정신을 고려하여 창업 성공률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행해지고 있는 창업교육은 과거에 비해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전문 교육인력 부족, 교수방법 및 교재 개발의 부족, 창업 교육 기관들의 전문성 부족 등의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상공인 예비창업자, 업종전환자, 폐업 및 재창업자, 사업성과가 미흡한 소상공인으로 성공창업 패키지 교육과 경영 개선교육을 수료한 교육생을 대상으로 소상공인 창업교육과 관련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소상공인 창업교육의 특성을 고려해 창업교육의 만족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으로 교육특성인 교육강사, 교육내용, 교육운영을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로 창업교육전이 그리고 종속변수로 창업교육성과로 구분하였다. 소상공인 창업교육과 관련하여 창업교육의 교육성과 요인을 규명하고자 창업교육으로 인한 전이와의 창업교육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 진흥원에서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소상공인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성공창업 패키지 교육이나 경영개선 교육 프로그램을 수료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창업교육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해 소상공인 창업교육의 교육성과를 높이고, 소상공인 창업교육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한계를 제공해 준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 구성요소와 창업교육성과간의 직접적인 관계의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창업교육전이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창업교육의 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창업교육의 구성요소와 창업교육성과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요인들을 찾아내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와 교육프로그램의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전이 요인을 바탕으로 경로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상황적인 특성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교육 구성요소와 교육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교육전이에 대한 인과관계가 있을 것이라 언급했을 뿐 경험적 데이터에 의한 연구가 부족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에 의한 경험적 결과를 얻었다.
둘째, 소상공인 창업교육에 대한 평가 시 교육을 수료 후 단순히 그 교육에 대한 만족도만으로 교육성과를 평가하는 기존의 성과측정에서 벗어나 교육 수료 후 실제 창업을 한 창업가를 대상으로 창업교육성과를 측정하여 실제 창업교육의 그 성과를 평가함으로서 보다 체계적인 측면에서 교육전이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즉 창업교육에 있어 창업교육성과를 평가하기에 앞서 창업교육을 통한 전이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This study intend to analyze effect on a change ment al feature of founder receiv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lled the successful foundation package. In order words, what kind of the mental of founder before
Most of start-up business has high probability of failure and most of them started out as very small size, and the entrepreneur would require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capability on business item selection, development of business model, product development, financing, market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others. This study is initiated by the interest in the concept of determinants of education perform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rehend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o the education performance, and to contribute to improve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andafterreceivedentrepreneurshipeducation. The founder of the a ceristics include the location of controls, risk-taking propensity, desire fulfilled, acceptance of am biguity and I will study anew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ros stabs, which explain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t-test, and Amos12.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n impact of pursuit of start-up information had an effect on perception options of the transfer of start-up education.
Second, an impact of pursuit of start-up information had not an effect on performance capability of the transfer of start-upeducation.
Third, thedegreeofdemand of start-up education had no tan effect on perception options of the transfer of start-up education.
Last the degree of demand of start-up education had not had not an effect on performance capability of the transfer of start-up education.
This study has some theoretical implication. The use of a developed tool make a possible a comparison with other studies. This study encourages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the new initiatio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ternative Author(s)
Jung Yeon J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경영학석사학위과정
Advisor
윤종록
Awarded Date
2011-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Ⅰ. 서 론 1
1.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3 논문의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 5
2.1 소상공인 창업교육 5
2.1.1. 소상공인 개념 및 현황 5
2.1.2. 창업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9
2.1.3. 외국의 창업교육 18
2.1.4. 소상공인 창업교육 현황 20
2.1.5. 소상공인 창업교육 문제점 28
2.2 창업교육 특성 30
2.2.1. 교육강사 35
2.2.2. 교육내용 36
2.2.3. 교육운영 37
2.3 창업교육전이 38
2.3.1. 교육훈련의 전이 개념 38
2.3.2. 창업 수행능력 전이 41
2.4 창업교육의 성과 46
2.4.1. 교육성과 평가의 의의 46
2.4.2. 교육성과 평가모형 48
2.4.3. 창업교육성과평가 52
2.5 선행연구 고찰 55
Ⅲ. 연구 모형 및 가설의 설정 59
3.1 연구모형의 설계 59
3.2 가설의 설정 60
3.2.1 가설 Ⅰ의 설정 60
3.2.2 가설 Ⅱ의 설정 61
3.2.3 가설 Ⅲ의 설정 62

Ⅳ. 연구방법 63
4.1 표본의 선정 및 특성 63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65
4.3 설문지 구성 67
4.4 자료의 분석방법 68

Ⅴ. 실증분석 70
5.1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70
5.2 상관관계분석 74
5.3 연구모형의 분석 76
5.4 가설의 검증 81

Ⅵ. 결 론 86
6.1 연구결과의 요약 86
6.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88

참고문헌
설 문 지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정연주. (2011).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46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2072
Appears in Collections:
Business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8-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