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고령화와 노인복지대책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丁仁姬
Issued Date
2005
Abstract
The Repblic of Korea has changed into the aging society in 2000. As of 2004, the elderly people over 64 years old are 4170,000, which is 8.7% of the total population. The average lifetime is getting longer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science, and various social security policies. According to the estimate the Office of Statistics, Korea will become the aged society of which the rate of the elderly over 64 years will be 14% in 2019, and in 2020 will become the super-aged society of which the rate of the elderly over 64 years will be 20%.
The aging of poulation results in relative reduction of eligible population, increase of welfare expenses, aggravation of public finance and the finance of national or public pension, weakening the base of potential economic growth.
With the help of medical progress and social wlfare polcy for the increasement of participation rate of the elderly in economic activity, the number of the healthy active elderly is increasing, however, the income level of the older people is very low, and most of them are depending on their descendants for their living and spending of medical treatment. They are much worse off.
For the promotion of productive welfare of the elderly, government, business and society should do their cooperative efforts to develop and execute programs for the aged such as offering jobs, starting enterprises, helping with self-supporting and paid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establishing 'professional old-manpower bank' to utilize their know-how and know-why.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policy for the introduction and enforcement of systems of bridge-employment and gradual retirement. Pension scheme and pay system should be improved and adjust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actise job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enhance the productvity of old workers, and post-managment program in order to enlarge employment opportunity of old workers.
With the aging society setting in, chronic and degegnerative diseases of the older people which are related to life style are on the increasing trend. So the expenditure of medical treatment becomes a heavy burden. It is, therefore, required to make medical security policy caring the elderly health. The premium rat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hould be decided in proportion to income level, however, the burden of the elderly should be lessened. Visiting medical treatment and nursing for the elderly people should be involved in beneficiary object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Geriatrics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for the elderly should be established rural and urban areas. Medical equipment should be supplemented and expanded, personnel for medicine and nursing should be enforced. Programs for community care and comprehensive medicine should be developed and served to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hat government should make housing policy to design and build various types of houses which are comfortrable and convenient for the older people to be able to live, meet and enjoy diverse interests, recreations, and sports.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program for financial assistance in remodeling the existing welfare centers and heating & air-conditioning systems, expanding and using welfare facilities, promoting leisure participatio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ging trend and the measures for welfare of the elderly in Korea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산업경제학과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 i
ABSTRACT = viii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논문의 구성 = 3
제2장 고령화의 추이와 사회경제적 영향 = 4
제1절 고령화의 원인과 전망 = 4
1. 출산율과 기대수명의 변화 = 4
가. 출산율의 변화 = 4
나. 기대수명의 변화 = 6
다. 평균수명 국제비교 = 10
라. 인구구조의 변화 = 11
마. 남녀별 인구 = 11
바.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 12
사. 인구구조 국제비교 = 13
제2절 고령화 추이 = 15
1. 고령화의 진전속도 = 15
제3절 고령화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전망 = 18
1.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 = 19
가.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 = 19
2.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 27
3. 재정에 미치는 영향 = 28
제4절 사회적 영향 = 32
1. 노인 주택의 의미와 가치 = 32
2. 노인단독세대가구의 증가 = 35
3. 의식구조와 부양기능의 변화 = 37
4. 국민생활주기의 변화 = 39
가. 노령기간의 연장 = 39
나. 노령기의 삶의 질 추구 = 39
제5절 보건의료적 영향 = 44
1. 고령자 건강 및 노인질병의 특성 = 44
2. 건강보호 및 관리의 문제 = 46
3. 보건의료비의 증대 = 49
제3장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제도 = 50
제1절 노후소득보장제도 = 50
1. 노인복지비 = 50
2. 노후소득보장 = 53
가. 사회보험 = 54
나. 공공부조 = 65
다. 기타 = 69
라. 문제점과 개선방향 = 73
제2절 의료보장제도 = 75
1. 인구고령화와 보건·의료실태 = 75
가. 유병율 = 77
나. 만성질환 종류별 유병율 = 78
2. 인구고령화와 의료보장 = 81
3. 주요국의 의료보험제도 = 84
가. 미국 = 84
나. 영국 = 86
다. 일본 = 89
4. 의료보장의 필요성 = 92
가. 질병과 장애 위험의 분산 = 92
나. 의료보장에 대한 욕구의 증가 = 96
5. 의료보장의 방법 = 96
가. 의료급여(의료보호) = 96
6. 장기요양보험 = 98
제4장 노인복지대책 = 101
제1절 소득보장정책 = 101
1. 고령자취업대책 = 102
가. 정규 경력자(career job)에서의 고용기간 연장 = 102
나. 고령자에 적합한 고용형태의 확산 = 102
다. 취업알선체계 인프라개선 = 102
라. 외국의 중고령자 고용정책 = 103
2. 공적연금정책 = 104
가. 국민연금 급여 합리화 방안 = 104
나. 직역연금재정 건전화 = 105
다. 공적연금통산제도 도입 및 공적연금제도 간의 연계 = 105
라. 연금수급연령의 상향조정 = 106
마. 조기퇴직완화대책 = 106
바. 여성연금권 보완 = 108
3. 노후생활자금의 원천 = 108
4. 생활보호대책 = 110
가. 시설보호노인의 최저생활보장 = 110
나. 노인수당지급범위 및 지급액의 차별화와 순차적 조정 = 110
다. 대상자에 대한 충분한 지원 = 110
5. 가족정책 = 110
가. 노인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논리의식 = 110
나. 노인부양가족에 대한 세제지원 = 111
다. 집주변 노인휴식공간의 확대 지원 = 111
6. 주택보장대책 = 111
가. 노인주거복지시설 = 113
나. 노인의 집 = 114
다. 주택자금 할증 지원 = 114
7. 사회적 서비스 대책 = 115
제2절 의료보장정책 = 116
1. 문제점 = 116
가. 노인보건의료서비스 체계의 비합리성 = 116
나. 건강보험 급여범위의 제한 = 117
다. 부적정한 급여수준 = 117
2. 과제 및 개선방안 = 117
가. 보건의료의 공공성 강화 = 118
나. 고액·중증환자에 대한 보장성 강화 = 119
다. 보건복지사무소 중심의 지역사회보호제도 육성 = 120
라. 치매 및 와상노인에 대한 정부의 역할 강화 = 121
마.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 = 121
바. 재가복지사업에서 의료 및 복지 기능의 강화 = 122
사. 국제적 교류와 협력의 강화 = 123
제5장 요약 및 결론 = 124
〈참고문헌〉 = 12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丁仁姬. (2005). 고령화와 노인복지대책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30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1658
Appears in Collections:
Business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12-1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