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새로 발견된 가집 『신정가보(新正歌譜)』의 성격과 의의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명준
Issued Date
2020
Keyword
신정가보 악부(곤) (나손본) 춘지당 연취도 장우벽 여항육인 청구가요 Shin-jeong-ga-bo Yyefu (gon) (Na-son) Chun Ji-dang Yeon Chwi-do Jang Wu-byeok 6 Yeohang people Cheong-gu-ga-yo
Abstract
이 논문은 새로운 가집 『신정가보』에 관한 내․외적 사실들을 소개하고 이 가집이 갖는 의의와 전망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가집은 가집으로서 갖추어야할 기본적인 것들을 유지하고 있어 비교적 안정적인 체계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분량은 총 72장이며 내용은 서문, 가법(창법), 작품 순으로 되어 있으며, 작가는 시대에 따라 유명 작가, 무명 작가 순으로 배열하고 있다. 작품은 모두 329수이며 유명 작가는 152명을 등재하고 있다. 초중대엽부터 초삭대엽까지와 이삭대엽에 해당하는 40수 그리고 삼삭대엽 이하는 모두 작자 미상으로 처리하였다. 이에 비해 이삭대엽 시작 부분은 군왕의 작품을 먼저 소개하고 이후 시대별 유명 작가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본 가집의 서문에는 시가의 효용론, 편찬 배경 및 이유, 편찬 과정이 드러나 있다. 효용은 개인의 정서적 쾌감과 사회적 풍속 교화에 두고 있고 편찬 이유에는 전승․유통된 노랫말에 오류 교정을 들고 있다. 편찬 과정에서 작품의 상한선을 삼국시대까지, 작가의 범위에는 신분과 계급에 제한을 두지 않았으며, 작품은 정대하고 한아한 것을 추려 고증과 논의를 거쳤음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편찬자는 언어예술로서 시조시의 가치를 재확립하고 시조시의 역사적 전통을 드높이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가집의 곡조 분류가 18세기 후기에서 19세기 전기 사이에 편찬된 가집들과 비슷하며 우조와 계면조의 뚜렷한 분화가 보이지 않고 유명 작가의 하한선에 ‘英宗(영조)’의 묘호만 보이고 정조(1752∼1800)의 묘호가 없는 점에서 본 가집의 편찬 시기는 적어도 영조 이후 정조 사망 이전인 18세기 후반으로 볼 수 있다. 신출 작가는 김석화, 김상흡, 연취도, 장우벽, 백경문, 이봉희, 정동로, 방필기, 표한장 등 9명으로 대부분 한 작품만 수록하고 있으나 연취도의 것은 8수, 정동로는 2수를 남기고 있다. 신출 작가 중 장우벽과 정동로만 기록을 찾을 수 있고 나머지 작가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나 대부분 영조 이후에 활동한 중인층 가객들로 볼 수 있다. 신출 작품들은 평시조 18수로 평시조가 만들어온 관습적 주제들을 노래하고 있다. 대부분 자연에서의 삶, 현재 위치에 대한 자족, 늙음, 사람과 세상과의 번민 등 개인이 가질 수 있는 정서적 차원의 주제들이라 할 수 있다. 본 가집의 의의는 알려지지 않은 중인 작가 9명을 대거 수록하고 있는 점이다. 특히 이들을 장우벽과 한꺼번에 등재한 것으로 보아 이들을 장우벽과 함께 활동한 작가단으로 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이미 활동했던 김천택이 주도한 여항육인과 김수장이 이끈 『청구가요』 작가들의 동시대 다른 집단 혹은 후속 가단일 가능성이 높은데, 편찬자는 이들을 김천택(여항육인), 김수장(가단)과 수준으로 인식하여 이들의 위상을 높이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김천택 집단과는 계승적 차원에서 다소 긍정적이었다고 할 수 있으나 김수장 가단과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려 했다고 할 수 있다. 본 가집의 발견을 통해 연구 방향을 전망하면 첫째, 가법(창법)을 중심으로 본 가집과 『해동가요』(주씨본), 『청구영언』(장서각본), 『청구영언』(가람본) 등과의 비교이며, 둘째, 이삭대엽 부분에서 본 가집과 친연성을 보이는 『악부(곤)』(나손본)과의 계보 관계 파악이라 할 수 있다. 본 가집에서 성음, 사성, 오음, 14조목 등을 모두 담고 있기 때문에 악론의 차원에서 이들 가집과 함께 다룰 가치가 있고 그간 『악부(곤)』(나손본)을 둘러싼 의문을 해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18세기 가집사의 구도를 설정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internal and external facts regarding the new collection of poems—『Shin-jeong-ga-bo』—and to examine its significance and prospect. This collection of poems includes the preface written by Chun Ji-dang who seems to be the publisher and a statement of the singing style. As its content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melodies and times, it secures basic elements as a collection of poems and thus a comparatively stable system. This collection of poems consists of 72 chapters including the preface, poetic styles (singing styles), and works in order. The poem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melodies, times, named persons, and anonyms. Among 329 poems in total, 152 are of famous writers. This collection includes 40 poems from the initial stage of Jungdaeyeop to the initial stage of Sakdaeyeop and the second stage of Sakdaeyeop. Those from the third Sakdaeyeop onward are all by unknown authors. At the beginning of the second Sakdaeyeop, in contrast, works of kings are introduced first and then followed by those of famous writers in each era. The preface of this collection of poems presents theories of poetic effects as well as the background, reasons, and process of publication. As to effects, individual readers' emotional pleasure and social edification and enlightenment are stated. One reason of publication stated here is to correct errors in lyrics handed down and distributed. In the publication process, the times of works were limited back to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re was no restriction to classes and ranks when it comes to writers. It is also stated that works upright and elegant were collected and passed th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It seems that the publisher intended to reestablish the values of sijo poems as a linguistic art and to honor the historic tradition. The melodies introduced in this collection of poems are similar to those published betwee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and the early part of the 19th century, and there is no distinct separation between Ujo and Gyemyeonjo. Besides, the list of famous writers includes Yeongjo (英宗) but not Myoho of Jeongjo (1752-1800). Thus, this collection of poems seems to have been published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sometime before the death of Jeongjo and after the time of Yeongjo. 9 new writers are introduced including Kim Seok-hwa, Kim Sang-heup, Yeon Chwi-do, Jang Wu-byeok, Baek Gyeong-mun, Lee Bong-hui, Jeong Dong-ro, Bang Pil-gi, Pyo Han-jang. For most of them, only one work is included respectively while 8 of Yeon Chwi-do and 2 of Jeong Dong-ro are included. Among the new writers, only records of Jang Wu-byeok and Jeong Dong-ro remain while there is no specific information available regarding the rest writers. However, it is thought that most of them were song writers of the middle class who acted in the time of Yeongjo and thereafter. This collection includes 18 new works of poetry, which are all about customary themes developed by common pyeong-sijo. Most of the themes represent emotional states that individuals would have regarding a life in nature, self-sufficiency in the current status, aging, agony resulting from humans and the world, and so forth. This collection of poems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ntroduces unknown writers as many as 9. Since they were listed along with Jang Wu-byeok, it is thought that these writers acted along with Jang Wu-byeok during the same period.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y were another group of writers in the contemporary or following time of 6 Yeo-hang people led by Kim Cheon-taek around that time and『Cheong-gu-ga-yo』writers led by Kim Su-jang. In any case, the publisher seems to praise them as artists as brilliant as Kim Cheon-taek (6 Yeo-hang people) and Kim Su-jang ('Ga-dan'). At the same time, a certain distance was kept from Kim Su-jang Ga-dan and the group of Kim Cheon-taek in terms of succession. Based on the findings regarding this collection of poems, the following direction of research is presented: First, this collection of poems can be compared with『Hae-dong-ga-yo』(Ju), 『Cheong-gu-yeong-eon』(Jang-seo- gak), and 『Cheong-gu-yeong-eon』(Ga-ram), particularly on the basis of 『Hae-dong-ga-yo』poetic style (singing style). Second, in the context of the second Sakdaeyeop, the geneological relation with『Yyefu (gon)』(Na-son) which shows familiarity with this collection of poems can be examined. Since this collection of poems contains all of vocal sounds, four tones, five sounds, and 14 items, this collection of poems is valuable in terms of music philosophy. Besides, it might be possible to address questions raised about 『Yyefu (gon)』(Na-son) with this collection of poem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o some extent, this collection may contribute to defining the history of poetry in the 18th century.
Alternative Title
The Character and Significance of the New Collectionof Poems—『Shin-jeong-ga-bo (新正歌譜)』
Alternative Author(s)
Kim, Myung-Joon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94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20 > No 59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