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마을음악회와 문화예술 활동의 효과 및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숙희
Issued Date
2024
Keyword
마을음악회, 문화예술 활동, 참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생활 만족도,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Abstract
The Effects of Community Music Concerts and Cultural Arts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Local Cultural Activation - Focused on May Neighborhood Culture Fringe Festival - Suk Hee Kim Adviser: Prof. Jung Eun Cho, Ph.D. Department of Arts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Major in Performing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music concerts and the cultural arts experience on life and daily living, as well as to find ways to enhance local cultural arts activities. To achieve thi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community music concerts, incorporating the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were examined. The study aimed to differentiate between perspectives of experts and audience members, validating the effects o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rtistic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A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quantitative analysis focused on the "" held in the Buk-gu district of G City from 2021 to 2023. The research included surveys conducted with 327 participants, comprising 70 experts, including performance planners, musicians, and staff, as well as 257 audience members, including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officials.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while qualitative research involve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written) interviews categorized into four P factors used for strategic exploration. In the interviews, 15 participants, including 5 experts, 5 audience members, and 5 administrative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music concerts, were interviewed. The content was categorized to explore the impact of community music concerts and cultural arts activities on local branding and cultural ac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entered aroun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between audience members and experts were verified regarding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rtistic self-efficacy,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life satisfaction. Notably, audience members perceived higher artistic self-efficacy than expert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Seco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rtistic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satisfaction for both audience members and experts. Thir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rtistic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community music concerts and cultural arts activiti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satisfaction for both audience members and experts. Fourth, In terms of special significance for motivation, artistic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local cultural activ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accessibility of the performance venue (Place) is crucial, favoring open space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erformance outcome (Product) was perceived to assist in expressing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by incorporating narratives from the community. Participants (People) highlighted the need for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y residents and professional artists, and effective promotion (Promotion) through regular uploads of news on performance through video media platforms and the administrative homepage was considered essential, from pre-promotion to post-performance monitoring. In conclusion, cultural arts activities, particularly community music concert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enhancing the cultural arts efficacy of the local community. The study suggests that the value of community music concerts for regional cultural activation is substantial, particularly when based on integrated performances that showcase unique local identities related to history,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This festival-like event allows for the continuou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s branding,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ongoing research. Keywords: Community Music Concert, Cultural Arts Activitie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rtistic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Local Cultural Arts Activation|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음악회를 통한 문화예술 활동의 참여와 문화예술 경험이 삶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의 역사와 장소적 특징을 담은 마을음악 회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전문가와 관객의 입장을 구별하여 참 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생활 만족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으며, 양적분석 자 료는 G광역시의 북구 5·18사적지 1호에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해서 추진되고 있는 를 중심으 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공연기획자, 연주자, 스탭을 포함한 전문가 70명과 행정 공무원을 포함한 지역 주민들로 이뤄진 관객 257명으로, 총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양적연구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분석의 목적에 맞게 통계 처리하였으며, 질적연구는 전략적 탐색에 쓰 이는 4P 요인으로 구분하여 대면과 비대면(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에서는 마을음악회에 참여한 전문가 5명, 관객 5명, 행정 공무원 5 명, 총 15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내용을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마을음악회 와 문화예술 활동이 지역브랜드 형성 및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음악회와 문화예술 활동의 참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만족 도, 재관람 의도, 생활 만족도에 대해 관객과 전문가 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예술적 자기 효능감 항목에서 관객이 전문가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마을음악회와 문화예술 활동의 참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생활 만족도, 관객과 전문가 만족도 간의 관 계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마을음악회와 문화예술 활동의 참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 만족도가 관객과 전문가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마을음악회의 참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 만족도에 나타나는 특별한 의미에서, 공연 장소(Place)는 접근성이 매 우 중요하며, 지역적 장소적 특색이 있는 열린 공간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연 결과물(Product)은 마을의 이야기를 담은 융복합 공연이 지역 주민들의 참여와 마을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있었 다. 또한 공연 참여자(People)는 공연 주제 선정부터 마을 주민들과 전문 예술인들이 지속적인 소통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공연 홍보(Promotion)는 영상매체 플랫폼을 활용한 SNS와 행정 홈페이지를 통한 사전 홍보부터 결 과물 제작까지 정기적 소식에 대한 업로드와 공연 사후 모니터링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 활동은 마을음악회를 통해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고 지역 사회의 문화예술적 효능 감을 향상하며,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으로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마을음악회의 가치가 크다고 보여진다. 특히 융복합 공연 기반의 마을음악 회는 독특한 마을의 정체성을 담은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 등과 연관 된 마을의 이야기를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으로 펼칠 수 있는 축제성 행사 가 가능하기에 마을의 브랜드화를 위해서도 지속적인 연구와 계발이 중요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마을음악회, 문화예술 활동, 참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생활 만족도,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Community Music Concerts and Cultural Arts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Local Cultural Activation: Focused on May Neighborhood Culture Fringe Festival
Alternative Author(s)
Suk Hee Kim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예술학과
Advisor
조정은
Awarded Date
2024-02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절차. 5
3. 연구 문제. 8
4. 용어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1
1. 마을음악회. 11
2. 마을음악회의 국내ž외 사례. 12
3. 마을음악회의 참여자 구성과 유형. 24
4. 문화예술 활동과 참여동기. 28
5. 문화예술 활동과 예술적 자기효능감. 30
6. 문화예술 활동과 생활 만족도. 31
Ⅲ. 연구 방법. 34
1. 연구 대상. 34
2. 연구 도구. 37
1) 참여 동기. 37
2) 예술적 자기효능감. 38
3) 생활 만족도. 39
(1) 관객 만족도. 40
(2) 전문가 만족도. 41
3. 자료처리 및 분석. 42
4. 인터뷰 내용. 4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66
1. 마을음악회와 문화예술 활동의 참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생활 만족도에 따른 관객과 전문가 만족도의 차이. 66
2. 마을음악회와 문화예술 활동의 참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생활 만족도 및 관객과 전문가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69
3. 마을음악회와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참여 동기, 예술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 만족도가 관객과 전문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72
4. 인터뷰 결과 및 해석. 74
Ⅴ. 결론 및 제언. 77
참고문헌. 90
부록. 9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숙희. (2024). 마을음악회와 문화예술 활동의 효과 및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63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4122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4-02-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