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버내큘러(Vernacular) 디자인이 장소 브랜딩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허항석
Issued Date
2023
Keyword
버내큘러 디자인, 장소 브랜딩, 인지도
Abstract
치열한 세계화와 경쟁의 시대에 다양한 국가와 도시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가치를 지속해서 높여가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물질적 자원이 점차 풍부해지면서 사람들은 정신적, 봉사적 요구와 경쟁에 더 많은 관심을 두게 되었다. 이로 인해 무형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브랜딩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중 장소 브랜딩은 도시 내 장소와 공간을 고유한 산업과 특성에 따라 가치 있는 명소로 만들어 소비자의 방문을 유도하고, 장소 브랜딩를 통한 장소와 지역 활성화는 도시브랜드 가치 향상뿐만 아니라 국가브랜드 가치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시에 현대적 도시건설 과정에서 지역 특색과 친화력이 결여된 모더니즘 양식의 건물에 질리기 시작했고,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은 버내큘러 디자인의 위상을 변화시키며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버내큘러 공간과 건축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알려진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의 최근 작품에는 버내큘러 디자인의 요소가 다양하게 반영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디베도 프란시스 케레(Diébédo Francis Kéré)가 2022년 프리츠커 건축상을 받은 후 버내큘러 디자인의 발전은 전례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 따라서 버내큘러 디자인 요소를 통해 건축디자인의 품질을 향상하는 것은 현재 사회 문제 및 지역 경제 문제, 심지어 도시 개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역사의 계승, 지역성, 자연성, 대중화, 현대기술을 포함한 버내큘러 디자인 특성을 확정함과 동시에 장소 브랜딩의 전략요소에는 독특성, 이야기, 심미적 요소, 지속가능성 및 정체성을 구체적인 연구의 이론적 기초로 정리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지도가 공간 인식과 기억을 통해 공간과 장소에 일정한 영향을 미쳐 장소의 가치를 높이고 공간환경 인식과 공간체험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버내큘러 디자인 특성을 독립변수로, 장소 브랜딩의 전략요소를 종속변수로, 인지도를 매개변수로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연구가설을 제시해 설문지를 설계했다. 목적은 버내큘러 디자인이 장소 브랜딩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여 버내큘러 디자인을 사용해 장소 인지도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로 설명하고 분석했다. 동시에 설문지 값은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데이터 품질을 검증하고,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α계수, 타당성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연구모델의 타당성 검증은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했다.
본 연구의 최종 결과는 버내큘러 디자인이 장소 브랜딩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높은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그중 역사의 계승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버내큘러 디자인은 인지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인지도는 장소 브랜딩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인지도를 매개 변수로 사용하여 버내큘러 디자인과 장소 브랜딩의 영향 관계에서 더 높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자연성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에 발판을 마련하고 더 많은 관광객이 지역의 전통문화와 풍습을 체험하고 이해하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효과적으로 지역을 활성화기 위해서는 장소와 공간에 지역의 역사·문화적 요소가 충분히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장소와 공간을 인식할 때 장소의 건축 형태, 계획 배치 및 자연 지형을 완전하고 조화로운 통일체로 형성하고, 장소와 지역의 유기적 결합을 강화하여 장소가 물리적 또는 정신적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달성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지도하에 버내큘러 공간 디자인이 형식적으로 대중에게 더 수용되고, 일반인에 대한 실증 조사가 증가하기를 바란다. 동시에 사례 선정 기준을 확대하고 조사 건수를 늘려 조사를 보다 포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버내큘러 디자인이 더 많은 건축공간에 적용되어 지방의 역사적 계승과 친화력을 구현함으로써 건축 장소의 품질을 향상하고, 도시민의 정신적 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더 많은 유무형의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 | In the era of fierce globalization and competition, various countries and cities are constantly improving their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values.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material resources have gradually become abundant. Instead,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spiritual and service demands and competition. Branding, which can create intangible value,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mong them, place branding turns the places and spaces in the city into valuable attractions according to their unique industries and characteristics, which are used to attract consumers to visit. The activation of places and regions through place branding is not only a city brand value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brand value.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modern city construction, people began to get tired of the modernist style buildings lack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affinity. The postmodernist movement changed the status of vernacular design and played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Through the research on vernacular space and architectural design, it is found that the works of Pritzker Prize winners, known as the Nobel Prize in architecture, reflect the elements of vernacular design to varying degrees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vernacular design has reached unprecedented heights after Diébédo F.Kéré was awarded the 2022 Pritzker Architecture Prize. Therefore, improving the quality of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vernacular design elements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e current social problems and regional economic problems of places and spaces, and even urban development problems.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design, including historical inheritance, regionality, naturalness, popularization and modern technology, by examining prior research, and concludes that the strategic elements of place branding include uniqueness, storytelling, aesthetic elements, persistence and sense of identity serve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specific research.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it is found that cognition has a certain impact on space and places through the recognition and memory of space, thereby enhancing the value of places. There i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space environment perception and space experience, which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subsequent research.
This study uses vernacular design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strategic elements of place branding as dependent variables, cognition as mediator variables, constructs a research model, puts forward research hypotheses, and constructs a questionnaire. The purpose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vernacular design on place branding, so as to use vernacular design to enhance the popularity and competitiveness of place. Final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illustrated and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t the same tim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questionnaire values to test the quality of the data, the reliability test was carried out through Cronbach's α coefficient, the feasibility test was carried ou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feasibility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finally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irect impact of vernacular design on place branding shows a high positive (+) impact, among which the relatively high influence is historical inheritance. Vernacular design has a positive (+) impact on cognition, and cognition has a positive (+) impact on place branding. Taking cognition as the intermediary variable, naturalness is the most important intermedi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ernacular design and place brand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places and spaces need to reflect sufficient reg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in order to establish a foothold in the region and achieve the purpose of attracting more tourists to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s of the region, thus effectively activate the area. And when people recognize the place and space, they should form a complete and harmonious unity of the architectural form, planning layout and natural terrain of the place, enhance the organic combination of the place and the area, and make the place both physical and spiritual sustainable development at all levels.
Finally, it is hoped that in future study, the vernacular space design, under the guidance of professionals, can be more acceptable to the public in form and increase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general population. At the same time, expand the criteria for case selection, increase the number of investigation cases, and make the investigation more comprehensive. We look forward to making up for the above study limitations in future research, so that vernacular design can be applied in more architectural spaces, reflecting the historical heritage and affinity of the place, so as to improve the quality of architectural places. Create more tangible and intangible value while meeting the spiritual needs of urban resident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Vernacular Design on Place Branding
Alternative Author(s)
Xu Hengshu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Advisor
윤갑근
Awarded Date
2023-02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3 연구 흐름도 12
제2장 이론적 고찰 13
2.1 버내큘러 14
2.1.1 버내큘러의 개념과 이해 14
2.1.2 버내큘러 디자인의 발전 및 반성 18
2.1.3 버내큘러 디자인의 표현요소 32
2.1.4 버내큘러 디자인의 특성 36
2.2 장소 브랜딩 및 인지도 43
2.2.1 장소 브랜딩의 개념 44
2.2.2 장소 브랜딩의 필요성 48
2.2.3 장소 브랜딩의 전략요소 49
2.2.4 공간과 장소 인지도 52
2.3 선행연구 55
2.3.1 선행연구 고찰 55
2.3.2 연구의 차별성 64
제3장 사례 분석 66
3.1 사례 조사 개요 67
3.2 사례연구 68
3.2.1 케냐 교육 캠퍼스 68
3.2.2 툴루즈 경제 대학 70
3.2.3 대동 대극장 72
3.2.4 파르마리스 클럽하우스 75
3.2.5 임안 박물관 77
3.3 소결 79
제4장 연구방법 81
4.1 연구모형 82
4.2 연구가설 83
4.2.1 버내큘러 디자인와 장소 브랜딩 사이의 가설 83
4.2.2 버내큘러 디자인와 인지도 사이의 가설 85
4.2.3 인지도와 장소 브랜딩 사이의 가설 86
4.2.4 인지도 매개효과 가설 87
4.3 조사의 설계 89
4.3.1 설문지 구성 89
4.3.2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94
4.3.3 통계분석 방법 94
제5장 실증분석 96
5.1 기초통계분석 97
5.2 기술통계분석 99
5.3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101
5.3.1 신뢰도 분석 101
5.3.2 타당성 분석 103
5.4 상관관계 분석 106
5.5 가설검증 107
5.5.1 가설H1검증:버내큘러 디자인이 장소 브랜딩에 미치는 영향 108
5.5.2 가설H2검증:버내큘러 디자인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113
5.5.3 가설H3검증:인지도가 장소 브랜딩에 미치는 영향 114
5.5.4 가설H4검증:버내큘러 디자인과 장소 브랜딩의 관계에서 인지도의 매개효과 117
5.6 소결 124
제6장 결론 130
6.1 연구 결과 및 시사점 131
6.2 향후 연구 방향 136
참고문헌 137
부록 14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허항석. (2023). 버내큘러(Vernacular) 디자인이 장소 브랜딩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5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275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