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국 차 문화의 발전과 사회적 영향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하인영
Issued Date
2022
Keyword
차문화
Abstract
본고는 중국 역대 차 문화의 발전과 그 발전이 미치는 경제·사회적 영향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차 문화는 중국 전통문화의 한 갈래로서, 오랜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형성·발전되면서 찬란한 번영기를 누린 적도 있었고, 또 오히려 침체를 겪었던 시기도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중국의 차 문화는 전통문화를 선양하는 분위기 속에서 다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차 문화의 발전과정을 통하여 오늘날 차 문화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융성하고 발전했는지를 분석함으로서 차 문화의 사회적 역할과 그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아울러 경제의 세계화와 다원화된 문화 속에서 향후 차 문화의 발전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다음 몇 단계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먼저, 서론에서는 문화의 일반적인 의의와 기능을 소개하고, 중국 전통문화의 토대가 되는 정신적 특징과 현대적인 가치를 논의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중국전통문화의 현대적 가치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면에서 구현되어야 한다고 보고, 그 첫째로, 서양의 ‘문화적 침입’에 맞서 문화적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하고, 둘째, 민족문화를 현대화하는 출발점이어야 하며, 셋째, 현대사회의 정신문명을 바로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그 외 차 문화에 대한 정의, 체계, 성격, 특징을 포함한 중국 차 문화의 함의와 형식에 대해 논의 하였다.
차 문화의 발전 과정은 태동기, 형성 및 발전기, 번영기, 변화기, 차 산업 부흥기로 구분하여 차 문화 발전의 단계별 발전 배경, 음다 풍습과 명차, 차 문화의 기능 및 차 문화가 중국 현대 경제 · 사회에 미치는 역할과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차 문화의 경제적 영향 및 차 산업의 발전, 차 문화의 관광, 의약보건과 켄벤션 산업 및 차 문화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의 영역을 확대 · 고찰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Chinese tea culture and its social influence. Tea culture is a branch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have been brilliant through a long historical process and have been in decline. However, today, China's tea culture is emerging again in an atmosphere that promotes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analyzes how tea culture flourished and developed socially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tea culture, explaining the social role of tea culture and its path to fulfill its mission, and predictes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globalization and diversified culture of the economy.
This paper is thus developed in several parts.
First, the general form and function of culture are briefly introduced in the introduction, and the basic mental characteristics and modern value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re discussed. In other words, we argue that the modern value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realiz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cultural confidence can be instilled against the invasion of of western culture. Second, it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modernization of national culture. Third,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spiritual civilization in modern society.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forms of Chinese tea culture, including the definition, system,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are discuss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ea culture is divided into embryonic period, formative and development period, prosperity period, change period, revival period, and the causes, expression forms, and roles of tea culture development in stages are examined.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ea culture and the role and influence of tea culture on modern economic society are analyzed.
Based on these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conomic impact of tea culture, the development of tea industry, tourism of tea culture, medical health, and the social impact of the kenvention industry and tea culture are expanded and reviewed.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Social Impact of Chinese Tea Culture
Alternative Author(s)
Ha Yin 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아시아학과
Advisor
한종완
Awarded Date
2022-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목적 1
제2절 선행연구 3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7

제2장 중국 차 문화의 정의와 기원 10
제1절 중국 차 문화의 정의 10
1. 차의 정의 10
2. 차 문화의 정의 12
제2절 중국 차 문화의 기원 14
1. 차 문화의 기원 14
2. 차 문화의 시기 구분 18

제3장 중국 차 문화의 역사적 변천 20
제1절 차 문화 태동기 21
1. 선진(先秦)시기의 차 문화 21
2. 진(秦)‧한대(漢代)의 차 문화 22
제2절 차 문화 형성 및 발전기 24
1.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의 차 문화 25
2. 당대(唐代)의 차 문화 28
제3절 차 문화 번영기 30
1. 송대(宋代)의 차 문화 30
2. 요(遼)‧금(金)의 차 문화 33
제4절 차 문화 변화기 34
1. 원대(元代)의 차 문화 34
2. 명대(明代)의 차 문화 37
3. 청대(淸代)의 차 문화 40
제5절 차 산업 부흥기 43
1. 중국의 개혁개방과 차 산업 43
2. 현대 중국의 차 산업 45

제4장 중국 차 문화의 기능과 경제·사회적 영향 48
제1절 차 문화의 기능 48
1. 문화적 기능 48
2. 교육적 기능 49
3. 심미적 기능 49
4. 실용적 기능 50
제2절 차 문화의 경제적 영향 52
1. 차 산업의 발전 52
2. 차 문화 관광 55
3. 의약보건과 켄벤션 산업 56
제3절 차 문화의 사회적 영향 59
1. 전통문화와 인문학적 소양 59
2. 차 문화와 교제 활동 61
3. 차 문화와 인생의 시화(詩化) 63
4. 차와 대외 교류 64

제5장 결론 66
참고문헌 6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하인영. (2022). 중국 차 문화의 발전과 사회적 영향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3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450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