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팬데믹 환경에서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전략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한은지
Issued Date
2022
Abstract
이 연구는 팬데믹 상황의 영어 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 연구는 팬데믹으로 인해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않는 집단 간의 차이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영어 성취도가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학생들의 성적을 하위, 중위 상위 집단으로 분류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한다.
광주 J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생 110명이 이번 연구에 참여했다.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을 살펴보기 위해 배경정보를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학습 전략에 대한 설문지는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상위인지 전략, 온라인 환경의 영어 학습 방법, 기억 전략, 보상 전략, 사회적 전략, 정의적 전략, 인지 전략으로 분류되었다.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항은 자신감, 과제 효능감, 자기조절 효능감과 온라인 영어 수업 환경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 분석, 신뢰도 계수, 독립 표본 t-검정, 상관관계,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팬데믹 영어 수업 환경에서 학생들은 상위인지 전략과 온라인 환경의 영어 학습 전략을 주로 사용한 반면 사회적 전략과 인지 전략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고등학생들은 자신감 측면에서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였지만 온라인 환경에서 새로운 기술을 배우려고 시도할 때 자신감이 부족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 대상들은 말하기와 읽기 과제 수행을 선호하였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자기효능감은 높았지만 쓰기 자기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으로 인해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경험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변화를 경험하지 않은 집단이 경험한 집단보다 다양한 학습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자기효능감의 요인 중 온라인 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두 집단 간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과제 효능감과 인지 전략의 관계가 가장 높았고, 특히 자기효능감 요인 중 자신감과 과제 효능감 그리고 영어 학습 전략의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고등학생들의 영어 성취도 수준에 따라 하위, 중위, 상위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팬데믹 상황의 영어 학습에서 세 집단의 학습 전략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위 집단이 기억 전략을 제외하고 모든 전략 요인에서 높은 평균을 보여주었다. 중위 집단과 상위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준 전략은 상위인지 전략과 보상 전략으로 분석되었다. 세 집단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 효능감을 제외하고는 중위 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자기조절 효능감은 상위 집단에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 연구 문제를 분석한 결과,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이 학습자들의 영어 학업 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팬데믹 상황에서 학습자에게 적절한 학습 전략을 지도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팬데믹이 약 3년 동안 지속되었고, 우리는 엔데믹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환경 속에서 학습자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자율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그들의 학습 전략을 파악하고 지도할 필요가 있다.|Studies on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self-efficacy have found that there are two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These are essential factor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pandemic, the learning environment of students has also begun to change. The online curriculum has been provided, and classes are conducted online. Research on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is crucial because it helps students adapt to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this situation and helps them use various learning strategies. Likewise, there is self-efficacy, a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acy sensitively affects the learners within the learning situation. Thus the importance of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self-efficacy should be continuously considered in research.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self-efficacy in an English learning of the pandemic situation.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at experience changes and those that do not experience learning strategies and self-efficacy. I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self-efficacy. Fi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by classifying the students into the lowest, intermediate and upper groups according to their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whether these factors affect such achievement.
110 sophomores that attend J High school in Gwangju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of all, to examine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self-efficacy, the data were collected by administering a survey questionnaire including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e questionnarie on learning strategies was classified into 7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Previous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llowing 7 factors were the most prominent; 1) metacognitive strategy; 2) how to learn English in an online environment; 3) memory strategy; 4) compensatory strategy; 5) social strategy; 6) affective strategy; 7) cognitive strategy. The questionnaire on self-efficacy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literature as: 1) confidence; 2) task efficacy; 3) self-regulation efficacy; 4) negative perception of the online environment.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and without changing in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self-efficacy before the pandemic, and the reasons were analyzed.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efficient,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quantitative da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students mainly used the metacognitive strategy and strategy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little used social and cognitive strategies.
To understan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was evalua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showed high self-efficacy in terms of confidence, but lacked confidence when attempting to learn new skills in an onlin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tudy’s participants preferred to perform speaking and reading tasks. Their self-efficacy in speaking and reading was found to be high, yet their writing self-efficacy was low. In the question related to online English classes, most of the students felt comfortable with the onlin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third research question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relation between the group that experiences a change in English learning strategy and self-efficacy and group that did not when considering the pandemic. However, groups that did not experience change used various learning strategies. Among the factors of self-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negative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The results of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indic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the self-efficacy of learn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efficacy and cognitive strateg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fidence and cognitive strategy was also high. In particular, the factors of self-efficacy, confidence, task efficacy and English learning strateg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next research question indicated, that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as divided into the lowest, intermediate and upper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English learning strategies of the three groups in the English learning of the pandemic situation, the average of the intermediate group was the highest except for the memory strategy. Strategi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he metacognitive and compensatory strategies. These strategies were shown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mediate and upper groups.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mean of the intermediate group was found to be the highest. The factor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excluded the self-regulation efficacy, but the mean of the upper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self-regulation efficacy category. However, when looking at each group separately, one of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earch results thus showed that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self-effica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this study.
Teaching learners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in an English learning of pandemic environment is essential. The pandemic has been going on for about three years, and we are preparing for an endemic. Still,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guide learning types and strategies to promote autonomy without losing confidence.
Alternative Title
Examining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Self-Efficacy in the Pandemic Situation
Alternative Author(s)
Han Eun J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영어교육학과
Advisor
김경자
Awarded Date
2022-08
Table Of Contents
목차 i
표 목차 v
ABSTRACT vii
헌정 x
감사의 글 xi

1.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 목적 4
1.3 연구 문제 5

2. 이론적 배경 6
2.1 외국어 학습 전략 6
2.1.1 외국어 학습 전략의 정의와 중요성 6
2.1.2 외국어 학습 전략의 분류 8
2.1.2.1 O'Malley와 Chamot(1990)의 학습 전략 분류 8
2.1.2.2 Oxford(1990)의 학습 전략 분류 9
2.2 자기효능감 11
2.2.1 자기효능감의 정의와 중요성 11
2.2.2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 13
2.2.3 자기효능감의 형성과정 14
2.3 팬데믹 상황에서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 16
2.3.1 팬데믹 상황에서 영어 학습 전략 16
2.3.2 팬데믹 상황에서 영어 학습 자기효능감 17
2.4 외국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 사이의 관계 18
2.5 영어 성취도 수준에 따른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 19
2.5.1 영어 성취도 수준에 따른 학습 전략의 차이 19
2.5.2 영어 성취도 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21

3. 연구 방법 24
3.1 연구 대상 24
3.2 연구 도구 27
3.2.1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지 27
3.2.2 영어 성취도 측정 28
3.3 자료 수집 방법 29
3.4 자료 분석 방법 29

4. 연구 결과 및 논의 31
4.1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 영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31
4.1.1 영어 학습과정에서 상위인지 전략 33
4.1.2 온라인 환경의 영어 학습 방법 36
4.1.3 영어 대화에 필요한 기억 전략 38
4.1.4 영어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보상 전략 40
4.1.5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사회적 전략 42
4.1.6 영어 학습에서의 정의적 전략 43
4.1.7 영어 사용 시 학습자의 인지 전략 44
4.2 팬데믹 영어 학습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영어 자기효능감 46
4.2.1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 47
4.2.2 영어 4-기능별 과제 효능감 50
4.2.3 영어에 대한 자기조절 효능감 53
4.2.4 온라인 영어 수업 환경에 대한 부정적 인식 55
4.3 팬데믹으로 인한 영어 학습 전략 및 자기효능감의 변화 57
4.3.1 팬데믹으로 인한 영어 학습 전략의 변화 57
4.3.2 팬데믹으로 인한 영어 학습 자기효능감의 변화 59
4.4 고등학생의 영어 학습 전략과 자기효능감 사이의 관계 61

4.5 영어 성취도 수준에 따른 학습 전략 사용과 자기효능감의 차이 63
4.5.1 영어 성취도 수준에 따른 학습 전략의 차이 64
4.5.2 영어 성취도 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67

4.6 영어 학습 전략 및 자기효능감과 영어 성취도의 관계 71
4.6.1 영어 학습 전략 요인과 영어 성취도의 관계 71
4.6.2 영어 학습 자기효능감 요인과 영어 성취도의 관계 72

5. 결론 및 제언 75
5.1 연구 요약 75
5.2 교육적 함의 77
5.3 연구의 제한점 79
5.4 후속 연구 제언 80

참고문헌 81

부록 98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한은지. (2022). 팬데믹 환경에서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전략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3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260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