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VR 애니메이션 서사에 대한 시점분석 메카니즘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등석
Issued Date
2022
Keyword
VR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상호작용, 몰입감, 현존감(실존감), 서사, 서사구조, 서술, 서술자, 시점, 자유 시점, 시점 유도,서사 분석 메카니즘, 시점분석 메카니즘, VR animation, Virtual reality, Interaction, Immersion, Existence, Narrative, Narrative structure, Narrator, Viewpoint, Free viewpoint, Viewpoint induction, Narrative analysis mechanism, Viewpoint analysis mechanism
Abstract
Animation is a comprehensive art category that includes film and computer science. The narrative of animation followed the narrative theory of filmology, and in early film narrative theory, the viewpoint was used as focus, projection, and visualization to help understand the narrative. However,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animation narrative research,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on plots, audiovisual languages, motion rules, and scene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viewpoints'.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video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peed in recent years, Virtual Reality(VR) technology has been combined with movies, Consequently, the VR animation is rapidly developing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Moreover, various competitions of VR fields are being actively held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The VR animation emphasizes the expression method using computers compared to traditional animation, and with the advent of VR animation, the free view of breaking the existing framework has emerged. As the audience has become the subject, not the object, the VR animation director must reorganize the narrative structure, shot, character production, and scene space according to the free point of VR, and complete the narrative creation method suitable for VR animation. The use of VR technology changes the way animation is expressed from manual to active, and adds interactive experience to audience to audience psychological research and interaction design in the traditional narrative of animation.
This research studi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VR animation and created narrative analysis mechanisms and viewpoint analysis mechanisms based on narrative theor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s point of view, the director's point of view, and the descriptor's point of view for VR animation were also studied. In particular, in order to systematically study the virtual aesthetics of VR free perspective, we tried to analyze the virtual aesthetics expressed in space, time, and video language through case analysis of four representative work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after clarifying the concept of VR animation and organizing and introducing its history,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VR animation perspective were propos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ision and narrative expression in narrative history.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point of VR animation and the narrative was analyzed based on the narrative theory. Specifically, four VR animation works that we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as narrative-side and interactive content between 2018 and 2020 were selected for cases analysis and organized into a systematic analysis frame. Finally, we derive a method in which VR animation induces perspective by relying on the medium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After the study of the four works of VR anim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or the narrative analysis mechanism and viewpoint analysis mechanism. First, the mechanism of all events, the movement of characters, and the interaction (interactive) with the audience can induce perspective through the story element in the narrative analysis mechanism. The narrative structure of VR animation is a new medium with comprehensive spatio-temporal features of film and interaction, in which color, light, and sound comprehensively influence the perspective due to its free perspective for scene conversion. Second, in the viewpoint analysis mechanism, the audience viewpoint in VR animation became an important element of video in VR animation as it was set as a character who was a participant in the movie. The director's point of view effectively combines narrative and interaction (interactive)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audienc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raditional animation, and the viewpoint characteristics of VR anim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virtual reality viewpoint ha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adjusted by adding physical characteristics to traditional animation. Second, the virtual reality point of view changes the audience's status from audience to controller and from passive to active. Third, VR animation can spatially exp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raditional animation. Fourth, the scene of VR animation goes beyond the concept of 'short' of traditional animation. All in all, VR animation shows more characteristics and future development potential than traditional animation, but VR animation still has problems in technicality, artistic expressiveness, privateness, and narrative consistency.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new ideas and methods can be provided to researchers studying virtual reality images in the future.| 애니메이션은 영화와 컴퓨터 과학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예술 범주다. 애니메이션의 서사는 영화학의 서사 이론을 따랐으며, 초기 영화 서사 이론에서 시점은 초점, 투영, 시각화 등으로 사용되어 영화 서사의 이해를 돕는 한 요소였다. 애니메이션의 서사 연구에 대한 선행자료를 살펴보면 플롯, 시청각 언어, 동작 규칙 및 장면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지만 '시점'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최근 영상 기술과 통신 속도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VR 기술이 영화와 결합되면서 전통 영화의 형식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VR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발맞추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현재 국제적인 영화제와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VR 분야의 공모전이 활발히 열리고 있다.
VR 애니메이션은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에 비해 컴퓨터를 활용한 표현방식을 강조하며, VR 애니메이션의 출현과 함께 기존의 틀을 깨는 자유 시점이 부각되었다. 관객이 객체가 아닌 주체의 역할을 하게 된 만큼 VR 애니메이션 감독은 VR의 자유 시점에 맞추어 서사구조와 샷, 캐릭터 연출, 장면 공간의 기획을 재구성해야 하며, VR 애니메이션에 적합한 서사 창작법을 완성해야 한다. VR 기술의 사용은 애니메이션의 표현방식을 수동에서 능동으로 변화시키고, 상호작용(인터랙티브)에 체험감을 더해서 애니메이션의 전통적 서사 속에서 관객 심리 연구와 상호작용 설계가 추가되었다.
본 연구는 VR 애니메이션의 물리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고, 서사 이론 기반의 서사 분석 메카니즘, 시점분석 메카니즘을 만들었다. 또한 VR 애니메이션 시점에 대한 관객 시점, 감독 시점과 서술자 시점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였다. 특히 VR 자유 시점이 주는 가상미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4가지 대표작품의 사례분석을 통해, VR 시점이 공간, 시간, 영상언어에서 표현하는 가상미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VR 애니메이션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그 역사를 정리하고 분석한 다음에 서사학에서 시각과 서사 표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VR 애니메이션 시점의 개념과 분류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VR 애니메이션 시점과 서사 사이의 관계를 서사 이론을 토대로 스토리 분석과 서사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최근 2018~2020년 사이, 서사 측면과 상호작용(인터랙티브) 콘텐츠로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수상한 VR 애니메이션 4편의 작품들을 선택하여 체계적인 분석틀로 사례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상현실의 메체 특성에 의존하여 VR 애니메이션이 시점을 유도하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VR 애니메이션 네 가지 작품 연구를 통해, 서사 분석 메카니즘, 시점분석 메카니즘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서사 분석 메카니즘에서 스토리 요소를 통해서 모든 사건의 기제, 캐릭터의 움직임과 관객과의 상호작용(인터랙티브)은 시점을 유도할 수 있다. VR 애니메이션의 서사구조는 영화와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지닌 새로운 매체로서, 이러한 자유 시점에 의한 장면의 전환, 색상과 빛, 사운드 등의 시공간적 특징이 종합적으로 시점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시점분석 메카니즘에서 VR 애니메이션에서 관객 시점은 영화의 참여자인 캐릭터로 설정되면서 VR 애니메이션에서 중요한 영상의 요소가 되었다. 감독 시점은 캐릭터와 관객 사이의 서사와 상호작용(인터랙티브)을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전통 애니메이션과 비교 분석해서 VR 애니메이션의 시점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 시점은 전통 애니메이션에 물리적 특성을 추가하여 시점 조절이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 둘째, 가상현실 시점은 관객의 신분을 수동자에서 능동자로 바꾸게 한다. 셋째, VR 애니메이션은 전통 애니메이션의 서사구조를 공간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넷째, VR 애니메이션의 장면은 전통 애니메이션의 '쇼트' 개념을 넘어서게 한다. 한편, VR 애니메이션은 전통 애니메이션보다 더 많은 특성과 미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VR 애니메이션 역시 기술성, 예술적 표현성, 사유성, 서사적 일관성에는 아직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의 분석을 통해 향후 가상현실 영상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mechanism of viewpoint analysis for VR animation narrative
Alternative Author(s)
DENG X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Advisor
김일태
Awarded Date
2022-08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ix
ABSTRACT xii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7
제2절 선행연구 고찰 8
제3절 연구범위와 연구 방법 18
1. 연구 범위 18
2. 연구 방법 19
제4절 논문 구조 21

제2장 서사의 이론적 배경 22
제1절 서사의 개념 22
제2절 서사구조 요소 23
1. 사건 24
2. 캐릭터 24
3. 공간 27
제3절 서사구조의 유형 28
1. 선형 서사구조(Linear narrative) 28
2. 비선형 서사구조(Non-Linear narrative) 29
제4절 서술 시점 30
1. 감독 시점 31
2. 관객 시점 32
3. 서술자 시점 33

제3장 VR 애니메이션의 특징 34
제1절 VR 애니메이션의 개념 34
제2절 VR 애니메이션 역사의 대표적인 세 스튜디오 35
제3절 VR 애니메이션의 특성 39
제4절 VR 애니메이션의 서사 43
1. VR 애니메이션의 서사구조 유형 44
2. VR 애니메이션의 공간 49
3. VR 애니메이션의 시간 59
4. VR 애니메이션의 사운드 65

제4장 VR 애니메이션의 시점분석 69
제1절 시점의 개념과 이론 69
1. 시점의 개념 69
2. 시점 연구의 이론 70
3. 영화의 시점 – 쇼트 73
제2절 VR 애니메이션의 시점 구분 76
1. VR 헤드셋(Virtual Reality Headset)의 시점 요소 76
2. 감독 시점, 관객 시점, 서술자 시점의 관계 80
3. 감독 시점분석 83
4. 관객 시점 분석 89
5. 서술자 시점 분석 96
제3절 VR 애니메이션과 전통 애니메이션의 시점 비교 분석 100
1. 감독 시점 100
2. 관객 시점 104
3. 서술자 시점 106

제5장 VR 애니메이션 분석 메카니즘을 통한 사례분석 109
제1절 연구 대상 선정 109
제2절 VR 애니메이션 분석 메카니즘 114
1. VR 애니메이션 서사 분석 메카니즘 114
2. VR 애니메이션 시점분석 메카니즘 117
제3절 사례분석 120
1. VR 애니메이션 분석 120
2. VR 애니메이션 분석 142
3. VR 애니메이션 분석 165
4. VR 애니메이션 분석 184
제4절 사례분석 결과 201

제6장 결론 208

참고문헌 214

사람 목록 설명 22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등석. (2022). VR 애니메이션 서사에 대한 시점분석 메카니즘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1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140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