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국 휘주(徽州) 성간(呈坎)촌락 문화상품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하뢰
Issued Date
2022
Keyword
키워드: 문화 소비, 성간촌락, 옛 촌락, 문화창의디자인, 문화가치, Cultural consumption, Chengkan, Ancient village, Cultural creative design, Cultural value
Abstract
With the accelerating process of global economic integration, the socialist market economic syste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s also constantly improving, the integration of China and the world culture is deepening, and the material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have made great progress to form a multicultural, which not only stimulates China's domestic material consumption, but also drives the upgrading of China's mass consumption of cultural goods. Cultural consumption is the possession and use of goods with cultural connotation. As a spiritual and cultural activity, cultural consumption can enrich people's spiritual and material life, and has a unified relationship of mutual promotion with values.
As the epitome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cient villages have very important research value on history, architecture and clan. The inheritance of ancient village culture needs to keep pace with the times, enter modern life and meet the public's aesthetics. There are many traditional ancient villages in China. Among many famous historical and cultural villages in Huizhou, Chengkan ancient villages are relatively intact. With the rapid rise of China's economy and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ourism, Chengkan ancient village has become the hinterland of culture related industries such as leisure, tourism, culture and Expo. Althoug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in this region has inherent advantages, there are also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depth of resource development. Chengkan ancient village is a treasure precipitated from hundreds of years of Chinese history. Chengkan is not only the representative of local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also the regional culture, customs and local history it covers are worth exploring and studying.
This paper carefully combs and analyzes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background of Chengkan ancient village through relevant literature and historical research and on-the-spot investigation of Chengkan ancient village. Then the visual elements are extracted, and the relevant theories of semiotics are applied to classify and elaborate the visual elements of chengkangu village, so as to form a complete symbol system, which can be applied to my design works. The extraction of visual elements of Chengkan ancient village culture is mainly divided into natural elements and artificial elements.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se two elements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but can be transformed and superimposed with each other. Then, how to bal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ke the right choice and apply it to the design of tourism cultural commodities. After in-depth thinking and combing these specific problems, we begin the design content of this paper. Then, in the form of expert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hopping preferences of tourists in chengkangu village, their recognition of visual elements and satisfaction with design works. Through data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cultural commodities designed for chengkangu village have been revised and improved again in the comprehensive factors of design conception, commodity development and market application, and finally the design and research content of this paper are completed. It is hoped that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have certain reference significance and research guidance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or researchers in similar fields.|글로벌 경제통합이 가속화되면서 중국의 특색을 지닌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가 건실해지고 있다. 중국과 세계 문화의 교류가 끊임없이 이루어지면서 물질적인 부분과 정신적 부분의 문화 모두 큰 발전을 이루었다. 이는 단순히 중국의 국내 물질적 소비뿐만 아니라 대중들의 문화 상품 소비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문화 소비는 일종의 정신적인 문화활동으로 사람들의 정신적 생활과 물질적 생활을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가치관과는 상호 작용하는 관계이다.
중국 경제수준의 급속한 발전으로 관광산업이 대중들의 인식에 자리 잡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의 과중한 업무 상황에서 여유를 즐기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관광의 급성장은 사람들의 생활방식을 바꾸었으며 관광문화상품의 발전으로 눈앞에 두고 있다. 현재 중국 각지의 관광문화상품은 품질의 균일성이 떨어지고 혁신적이지 못한 것과 지역 상징성이 부족한 것이 관광문화상품 시장의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 관광문화상품 시장은 반드시 새로운 형식을 개발해야 하며, 관광문화상품이 전통문화의 중요한 수용체가 되도록 해야만 전통문화의 전승과 관광업의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촉진 작용으로 작용 할 수 있다.
옛 촌락은 중국 전통문화의 축소판으로서 역사·건축·종족 등에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니고 있다. 옛 촌락 문화의 대물림은 시대와 함께 발전하고 현대에 들어와야 하며, 반대로 문화는 쇠퇴한다. 문화산업은 중국에서 신흥산업으로 디자인 개발을 통해 문화자원을 개발하고 지역문화를 가공하여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부가가치이며, 과학기술이 뒷받침하는 가치보다 문화 창의 산업이 더 높은 현대인의 양질의 삶을 위한 서비스되고 있다. 중국에는 전통적으로 남아 있는 고촌락이 많고, 현재 휘주 지역에는 역사문화 명촌이 많이 남아 있다. 그중에서도 성간촌락이 비교적 온전하게 보존되어있다. 관광의 발달로 리조트는 레저·관광·문화박람회 등 문화 관련 산업의 메카로 자리 잡았다. 선천적으로 문화산업 발전을 이뤘지만 문화자원 개발의 깊이가 부족하고 활용이 부적절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성간촌락의 미래 발전과 전통문화의 효율적 계승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휘주 성간촌락은 중국의 수백 년 역사를 침전해 온 보물로, 지역 전통건축의 대표일 뿐 아니라 지역문화와 풍토, 역사를 두루 연구할 수 있다.
명나라 후 수많은 상인을 배출한 휘주는 무리의 힘으로 역사의 무대에 올라 중국 봉건사회, 특히 명·청나라 시대의 경제에 큰 영향을 끼쳤다. 경제 기반의 상부구조를 결정하고, 휘주 상인의 재력이 높아지면서 휘주 문화는 전례 없이 화려한 역사를 이어 갔다. 반면, 휘주 문화의 직관적인 물질적 표현으로 성간촌락의 전통건축은 지역적 특색과 전형적인 특징으로 중국 전통건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성간촌락 건축의 두드러진 특징은 '외박내화(外朴內華)'로 소박한 겉모습과 정교한 조각공예는 옛 휘주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집약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만큼 문화적으로 깊다고 할 수 있다. 성간촌락을 위한 관광상품을 통해 성간촌락을 구현한 시각적 요소를 관광문화 상품에 적용함으로써 관광상품의 문화적 의미를 높일 수 있으며, 지역 문화를 효과적으로 전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관련 문헌과 역사연구, 현지조사를 통해 성간촌락을 나타낸 자연환경과 문화적 배경을 면밀히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시각적 요소를 추출하고 성간촌락을 나타내는 시각적 요소들을 기호학적으로 분류하고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하나의 체계를 만들어 디자인작품에 적용하였다. 성간촌락의 문화적 시각적 요소를 추출하는 데 있어 자연적 요소와 인공적 요소로 나뉘는데, 이 두 요소는 완전히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그리고 둘 사이의 관계를 따져보고 올바른 주제선택과 관광문화상품 디자인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 등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정리한 후 본 디자인을 시작하였다. 디자인 완성 후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성간촌락 관광객들의 쇼핑 선호도와 성간촌락을 구현한 시각적 요소에 대한 인지도와 디자인 작품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이번에 성간촌락의 디자인을 구현한 문화상품에 대해 디자인 구상, 상품 개발, 마케팅 활용의 복합적인 요소, 그리고 디자인 작품을 수정 보완한 결과를 반영해 본 연구의 디자인과 내용을 완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가 추후 후속 연구나 이와 유사한 분야 연구자에게 가치 있는 참고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Cultural Products Design Process of Chengkan Ancient Village in Huizhou
Alternative Author(s)
He LE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Advisor
장재욱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Ⅵ
ABSTRACT Ⅸ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1
제 2 절 연구 목표 6
제 3 절 연구 대상 7
제 4 절 연구 방법 8

제 2 장 성간촌락의 문화적 이해 11
제 1 절 성간촌락의 역사 11
1.1 성간촌락의 역사 및 발전과정 11
1.2 성간촌락의 역사적 문화 13
제 2 절 성간촌락의 문화적 특징 14
2.1 풍수 문화 15
2.2 종친 문화 15
2.3 유가 문화 16
제 3 절 성간촌락의 환경적 특징18
3.1 지리적 특징 18
3.2 기후 조건 20
3.3 고유자원 24

제 3 장 성간촌락을 구성하는 시각적 요소 27
제 1 절 자연적 요소 27
1.1 색채 27
1.2 경관 31
제 2 절 인공요소 41
2.1 건축 41
2.2 마두벽 50
2.3 조각 52

제 4 장 성간촌락의 문화창의적 디자인 58
제 1 절 문화창의적 디자인의 제작원칙 58
1.1 지역문화 59
1.2 지역특색 61
1.3 타깃 가이드 64
1.4 창조적인 언어 65
제 2 절 창의적 디자인 제품 66
2.1 로고 디자인 67
2.2 폰트 디자인 73
2.3 포스터 디자인 82
2.4 패키지 디자인 95

제 5 장 문화창의적 디자인의 실증 108
제 1 절 전문가 인터뷰 108
1.1 전문가 인터뷰108
1.2 조사 결과 및 전문가 인터뷰 결론 112
제 2 절 설문조사 112
2.1 조사 총론 112
2.2 조사 결과 및 분석 113
2.3 조사 결과 115

제 6 장 결론117

참고문헌 123

국문초록 128

부록 130
부록 1 전문가 설문조사 131
부록 2 설문조사 (관광객 지역주민) 135
부록 3 전문가 인터뷰145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하뢰. (2022). 중국 휘주(徽州) 성간(呈坎)촌락 문화상품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49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447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