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문화유적 관광지 개발을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호홍위
Issued Date
2022
Keyword
아이덴티티 디자인, 문화유산, 피서산장, 문화상품 디자인
Abstract
Cultural identity is a key factor in enhancing the value of local cultural assets. Since 1978, when China declared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it has implemented various cultural policies 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create economic added value through culture and improve national image and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cultural sites and museums are focusing on developing related cultural product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Summer Mountain Villa, is the largest existing imperial garden in China and has been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has been recognized for its cultural value. However, cultural products related to unified visual identity and summer resorts have not yet been developed, and visual preferences are generally lacking. Marketing and publicity for overseas tourists are also lacking. The researchers presented the design manual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tourist attractions using identification strategy and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esorts according to the design manual,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them, and present a model case for reconstru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ites throughout China.
Before establ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esorts,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ree representative cultural sites, namely design of Chinese and Korean cultural heritage sites in China and Korea. Both China and Korea have developed cultural products to some extent, but they have failed to systematically develop cultural heritage sit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urgent to organize cultural heritage tourist attractions in order to develop various cultural products in earnest after the strong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Based on previous research, it is hypothesized that language and imageiz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cultural resources can be realized through design and brand identity can be established.
Design is a unique visual symbol for brand identity. The purpose of cultural design is to impress consumers not only through intangible assets of culture but also through the actual design of tangible cultural products, i.e., through visual symbols, to effectively recognize their functions, characteristics and values. For the purpose of 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 key words of this paper, it is limited to architecture, writing and traditional symbols. Architecture reflects the cultural aspects of the period based on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riting and traditional symbolic elements can be seen as symbols that visually represent intangible elements such as images and symbolic systems of the culture, so they are the core elements of design extraction as cultural elements. Based on this research hypothesis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composition of summer retreat and the basic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are set.
Cultural resources are the main foundation for visual representation. Based on this theoretical assumption, the architectural elements reflecting the historical,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ummer retreat,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Manchurian language, and the symbolic animals and plants of Chinese folk belief are extracted.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heritage tourist attractions invigorates the region's economy and concludes that the region where cultural heritage sites are located is a high value-added intangible asset that continues to develop sustainably as a cultural cit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good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cultural products b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cultural heritage tourist attractions throughout China.|문화 정체성은 지역의 문화자산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핵심요소이다. 중국은 개혁개방을 선언한 1978년 이후에 본격적으로 문화를 통한 경제적 부가가치의 창출, 국가 이미지와 경쟁력 고양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문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문화유적지나 박물관에서는 관련 문화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대상인 피서산장은 현존하는 중국의 최대 황실 정원으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통일된 시각적 아이덴티티와 피서산장에 관련된 문화상품들은 개발이 되지 않은 상태이며, 시각기호 요소들은 전체적으로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다. 해외 관광객을 위한 마케팅과 홍보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자는 아이덴티티 전략과 방법론을 사용하여 문화유적 관광지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은 제시한 디자인 매뉴얼을 토대로 피서산장의 아이덴티티를 구축, 디자인하고 이를 활용한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향후 중국 전역의 문화유적 관광지들의 아이덴티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모범사례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피서산장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에 앞서 본 연구는 3개의 대표적 중국과 한국의 문화유적지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문화상품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과 한국 모두 문화상품 개발은 어느 정도 되어있지만, 문화유적지의 아이덴티티 개발을 체계화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견고한 문화유적 아이덴티티 개발과 이후의 다양한 문화상품 개발 추진을 본격화하기 위해서라도 문화유적 관광지 아이덴티티 구성 작업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자원의 활용을 통한 언어화와 이미지화는 디자인으로 구현되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할 수 있다는 가정을 사용했다.
디자인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고유한 시각기호이다. 문화 디자인의 목적은 문화라는 무형의 자산뿐만 아니라 유형의 문화상품을 위한 실제 디자인, 즉 시각기호의 표현을 통해 그 기능, 특징, 가치를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인지시켜줌으로써 하나의 상징, 완전체로서의 아이덴티티를 각인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키워드인 아이덴티티 구성에 대한 문화적 분석을 위해서 건축, 문자, 전통 상징요소로 한정했다. 건축은 민족성과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그 시대의 문화 양상이 반영된다. 또 문자와 전통 상징요소는 그 문화가 지니고 있는 이미지나 상징체계 등 무형의 요소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기호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문화적 요소에서 디자인 추출을 위한 중심요소이다. 이러한 연구적 가정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피서산장 아이덴티티 구성과 그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문화자원은 시각적인 기호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토대가 된다. 이러한 이론적 가정을 바탕으로 하여, 피서산장의 역사성, 지역성,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건축적 요소, 만주 언어의 조형적 특징, 중국 민간신앙의 상징적 동물 및 식물로 구분하고 추출하여 디자인에 반영했다. 문화유적 관광지 아이덴티티 정립은 그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문화유적지가 위치한 지역이 문화도시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해나갈 수 있는 고부가가치 무형 자산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본 연구가 향후 중국 전역의 문화유적 관광지들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다양한 문화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모범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dentity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Tourist Sites : Focusing on the Summer Resort in Hebei Province of China
Alternative Author(s)
HU Hongwe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Advisor
장재욱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ⅷ
Abstract ⅹ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제2장 이론적 고찰 8
2.1 문화유적과 관광지 9
2.1.1 문화유적의 정의 9
2.1.2 관광지의 개념 10
2.1.3 문화유적 관광 11
2.2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문화상품 14
2.2.1 아이덴티티 디자인 14
2.2.2 문화상품의 형성과정 19
2.2.3 문화유적 관광지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문화상품 23
2.3 문화유적을 활용한 문화상품 현황 26
2.3.1 중국 26
2.3.2 한국 36
2.3.3 현황 분석 결과 44

제3장 피서산장 아이덴티티 연구 47
3.1 피서산장에 관한 고찰 48
3.1.1 지리적 고찰 48
3.1.2 문화적 고찰 50
3.1.3 역사적 고찰 59
3.2 기존의 피서산장 아이덴티티 분석 61
3.3 피서산장 문화상품에 대한 선호도 조사 64
3.3.1 설문 목적 및 내용 64
3.3.2 설문대상 설정 및 연구방법 65
3.3.3 설문조사내용 65
3.3.4 설문조사결과 70
3.4 피서산장 아이덴티티와 문화상품 개발 필요성 71

제4장 피서산장 아이덴티티 개발 및 적용 74
4.1 피서산장에 아이덴티티 계획 75
4.1.1 디자인 방향 75
4.1.2 디자인매뉴얼 76
4.2 디자인매뉴얼에 따른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78
4.2.1 로고디자인 78
4.2.2 폰트디자인 84
4.2.3 일러스트레이션 92
4.3 피서산장 아이덴티티 결과물 100
4.3.1 로고를 활용한 문화상품 101
4.3.2 폰트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 112
4.3.3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문화상품 129
4.4 피서산장 아이덴티티 검증 138
4.4.1 인터뷰 대상 및 내용 138
4.4.2 인터뷰 결과 140

제5장 결론 143
5.1 결론 144

참고문헌 147

부록 151

국문초록 17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호홍위. (2022). 문화유적 관광지 개발을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49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5886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