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리처드 슈스터만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관점에서 본 인터렉티브 아트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하원
Issued Date
2021
Keyword
Interactive Art, Artistic Value, Richard Shusterman, Pragmatist Aesthetics, Aesthetic Experienc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ichard Shusterman’s Pragmatist Aesthetics, and to clarify the artistic value of Interactive art based on this. Unlike traditional art, in interactive art, it is important for the viewer to have an interactive experienc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explaining interactive art with the existing aesthetic methods that have defined art as disinterestedness and aesthetic contemplation. With this background, I applied the Shusterman’s Pragmatist Aesthetics to interactive art. Richard Shusterman did not directly mention interactive art, but he regards human sensory perception as the main ability of aesthetic experience by appreciating main value to the realm of the body that had been neglected in traditional philosophy. This aesthetic discussion of the ‘soma’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xplaining the interactive art experience through the body. Therefore,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husterman’s aesthetic experience in three categories, and applied them to the categorization of interactive art. Through this study, the three artistic values of interactive art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it is interactive art that boosts viewers to experience aesthetic uplifting by themselves through vivid and living experiences. Second, it is interactive art that makes viewers desire to practice changing creatively themselves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nsforming work according to the viewer's actions. Third, it is interactive art that focuses on improving viewer’s physical perception through experiences that aesthetically stimulate the various senses of vie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ic value of interactive art based on Richard Shusterman’s Pragmatist Aesthetics, an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criteria for individual interactive art.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Interactive Art from the Perspective of Richard Shusterman’s Pragmatist Aesthetics
Alternative Author(s)
Ha Won, Jeo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Advisor
장민한
Awarded Date
2021-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제2장 프래그머티즘과 근대 미학의 비판 5
제1절 근대 미학에 대한 리처드 슈스터만의 비판 5
1. 미의 무관심성에 대한 비판 5
2. 순수예술 개념에 대한 비판 12
제2절 대안으로서의 프래그머티즘 미학 19
1.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기본적 특징 19
2. 존 듀이의 미학에 대한 리처드 슈스터만의 계승 24

제3장 리처드 슈스터만의 신체미학 28
제1절 신체미학의 개선주의적 특성 28
1. 신체미학의 이론적 배경 28
2. 실천적 교과로서의 신체미학 34
제2절 리처드 슈스터만의 ‘미적 경험’ 45
1. ‘정감’을 불러일으키는 미적 경험 45
2. ‘자기 스타일화’를 이끌어내는 미적 경험 50
3. ‘몸의 의식’을 통해 더 강화되는 미적 경험 54

제4장 리처드 슈스터만의 관점에서 본 인터렉티브 아트 57
제1절 인터렉티브 아트에 대한 일반적 논의 57
1. 인터렉티브 아트의 등장과 의미 57
2. 인터렉티브 아트를 논의하는 기존 담론의 한계 59
제2절 리처드 슈스터만의 관점에서 본 인터렉티브 아트의 예술적 가치 63
1. ‘정감’을 불러일으키는 인터렉티브 아트 유형 63
2. ‘자기 스타일화’를 이끌어내는 인터렉티브 아트 유형 67
3. ‘몸의 의식’을 강화시키는 인터렉티브 아트 유형 70

제5장 결론 75

참고문헌 7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하원. (2021). 리처드 슈스터만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관점에서 본 인터렉티브 아트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47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037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8-2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