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실현 대조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효영
Issued Date
2021
Abstract
이 논문은 L1과 L2 화자들인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한국어와 영어 발화에서 나타나는 /h/를 실현하는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영어와 한국어 화자들의 /h/ 실현을 음성학적 기준으로 분류하고 측정하여, 음절의 위치, 선행음, 후행음, 음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해보고, L2 발화에서 L1의 전이와 보편 문법의 효과가 음운론과 음성학의 차원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자료는 광주광역시 소재에 있는 C대학교의 30대 영어 원어민 강사 4명(남자 2명, 여자 2명)과 광주광역시 소재에 있는 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30대 한국인 영어 교사 4명(남자 2명, 여자 2명)이 /h/가 포함된 85개의 영어 단어와 96개의 한국어 단어를 녹음한 것이다. 녹음된 자료를 /h/ 탈락, 유성, 무성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음향 자질 중 무게 중심(the center of gravity)을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마찰음인 /h/의 무게 중심이 공명음보다 더 높은 무게 중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였다. 분류된 실현 양상(무성, 유성, 또는 탈락)과 측정된 길이 및 무게 중심은 통계적으로 종속변수로 분석되었다. 범주적 자료인 실현 양상은 카이제곱 검정 및 로지스틱 회귀모델로 분석되었고, 점진적 자료인 길이와 무게 중심은 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영어의 분석 결과는 영어 화자에게 초점 효과가 강하게 작용하였고 한국인 화자에게는 거의 적용되지 않았음을 보였다. 한국인 화자는 영어 화자에 비해 음절의 위치와 상관없이 /h/가 실현하는 강한 경향을 보여주었고, 선행음이 비음으로 올 때, 한국어 화자가 영어 원어인 화자보다 더 높은 비율의 무성 /h/를 실현했다. 한국어 화자는 저모음뿐 아니라 중모음 앞에서도 무성 /h/의 실현 비율이 높았고, 강세와 상관없이 충실하게 무성 /h/를 실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인 화자는 음보의 첫 자리뿐만 아니라 음보의 중간자리와 초 음보의 첫 자리에서까지 비슷한 비율의 무성 /h/를 실현했다. 한국어의 분석 결과는 음절의 위치에 따라 한국인 화자는 유성 /h/ 실현이 비교적 높았고, 영어 화자는 음절 첫 번째 위치에서 무성 /h/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선행음에 따라 한국인 화자는 유성 /h/ 실현 비율이 비교적 높았고, 영어 화자는 선행음이 비음으로 올 때, /h/ 탈락이 가장 많았다. 한국인 화자와 영어 화자 둘 다 후행음이 고모음에서 저모음으로 갈수록 무성 /h/ 비율이 높았으며, 한국인 화자인 경우 후행음이 중모음일 때 현저하게 무성 /h/ 실현이 많았다.

영어에서 나타난 초점 효과는 기본적으로 보편성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결과는 /h/의 실현이 보다 많은 양의 공기 흐름을 요구하기 때문에 초점을 받을 때와 같이, 길이나, 크기, 음높이 등이 강하게 실현되는 환경에서 더 잘 나타난다. 모음보다 비음이나 유음이 선행할 때 /h/가 더 탈락하는 언어 보편적인 현상에 근거하여, 선행음 효과 역시 언어 보편적이라고 여겨진다. 선행 연구에서 언급된 유음 > 비음 뒤라는 탈락 순서는 본 연구에서는 비음 > 유음 뒤 탈락 순서로 나타났다. Maxent Grammar Tool에 의해 얻은 값을 참고하면 비음과 유음 간의 큰 차이는 없었고, 한국어의 경우 유음이 /ㄹ/ 하나인 반면에 영어의 경우는 유음이 /l/과 /r/ 두 가지여서 기존의 한국어 연구 결과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 후행음이 저모음으로 올 경우 /h/의 실현 가능성은 매우 높아지는데, 이것도 언어 보편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만, 한국어와 영어에서 고모음과 중모음에 따라 다른 실현 양상을 보였는데, 이것은 영어의 중모음에 약모음(schwa)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비록 영어의 약화 현상이 점진성을 보여주었으나 기존 선행 연구에서 언급된 것처럼, Maxent Grammar Tool에 의해 얻은 값에 근거하여 영어 화자들이 확실히 무성 /h/ 실현 또는 탈락을 선호한다는 것이 확인된다. 특히 한국어 발화 시 영어 화자들의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위치 효과나 비음 뒤 실현 비율에서 보이는 차이 역시 L1 영향으로 보인다. 영어 화자는 음보 상 위치에 민감한 반면 한국어 화자는 2음절에 강세를 주어 /h/를 더 실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의 비음이 영어의 비음에 비해 그 비음성이 약하므로 탈락 효과가 낮았다고 볼 수 있다.

이 결과는 음운론적 관점에 L1 전이와 보편 문법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문제로 이어진다. 실제로 영어에서도 약화가 일어남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범주적으로 이해되었던 현상들이 점진성(gradience)을 띠고 있다는 것을 지적했던 기존 연구들과 동일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2보다 L1에서 약화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화자가 L2를 발화할 때 충실성(faithfulness)을 보다 우선시한다고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2에서의 음성학적 실현 양상을 잘 습득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범주적인 결과에서 L1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그 기반이 음성학적 사실에 있다는 점에서 L1의 전이는 음운론적 차원뿐 아니라 음성학적 차원에서도 일어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L1 and universal grammar in the /h/ realizations in Korean and English by Korean and English speakers. While the previous literature focused on the difference phonemic systems of languages, this study targets the realizations of /h/, which is not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two languages. In contrast with previous studies on /h/, I adopted a consistent way to categorize the realizations, making use of ‘center of gravity’. This way, I attempted to reveal at which level the effect of L1 and universal grammar exert their influcences on L2 production when both L1 and L2 have the target sound.

For this purpose, I recorded 4 Korean speakers (2 male and 2 female) and 4 English speakers (2 male and 2 female) with 85 English and 96 Korean words. The tokens were categorized into voiceless /h/, voiced (or weakened) /h/, or deleted in consultation with the value of ceter of gravity, which is measured at every 10 ms. Likewise, the duration and the average center of gravity were also obtained. The categories were subject to statistic analyses using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The durations and center of gravity values were fed to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lso fed to MaxEnt Grammar Tool, in order to calculate the weights of contraints for each ‘language by speaker group’.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voiceless /h/ is significatnly higher in L2 production and that /h/ is weakened or voiced in English as well as in Korean. In English words,‘focus’and‘position’effect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English speakers than in Korean speakers. When the preceding segment is a nasal, Korean speakers realized /h/ at significanlty higher rate than English speaekers. /h/ was realized more often when the following vowel is low but for Korean speakers, mid vowel showed a similar effect. English speakers were sensitive to the position of /h/ in terms of foot as expected, but Korean speakers were not. In Korean words, the rate of voiced /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 speakers than in English speakers. English speakers tend to realize /h/ as voiceless at word-initial positions and to delete /h/ after nasals. Both speakers showed a strong tendency that the higher the following vowel is, the lower the rate of /h/ realization is.

The effect of L2 is explained by the tendency that L2 speakers articulate all the segments faithfully, specifically when they read. Though English speakers turned out to realize /h/ gradually, the different weights of Max(h) suggets that Korean speakers lenite /h/ more often than English speakers. The effect of focus is attributed to the general traits of focus and /h/. The realization of /h/ requires considerable volume of airflow, which is easily found in the production of focused words. The low vowel effect is also accounted for in the same way. The deletion of /h/ after nasals in English speakers’ production is due to the different phonetic realization of nasality in the two languages. The nasality in Korean is known to be much weaker than that in English. The different rate of /h/ realization before mid vowels is accounted for by the fact that Korean speakers were not fully reduced the unstressed vowels. The position effect is attributed to L1 prosody. English speakers are sensitive to foot structure of words while Korean speakers tend to give stress to the second syllables.

Though categorical results evidenced L1 effect on L2 production, duration and center of gravity were not varied depending on the speaker groups in general. This implies that L1 interference mainly takes place at the phonological level rather than phonetic level. However, the categorical differences were grounded on the phonetic detalis of the two languages. Also, this study showed that variation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categorical are actually gradient. All these facts suggest that we generalize the phonological patterns which a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gradient data.and that L1 transfer takes place at the phonetic level as well as at the phonological level.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f /h/ realizations by Korean and English Speakers
Alternative Author(s)
Lee Hyo Young
Department
일반대학원 영어교육학과
Advisor
강희조
Awarded Date
2021-02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ABSTRACT

1. 서 론 1

2. 이론적 배경 5
2.1. 전이와 보편성 5
2.1.1. 대조 분석 가설(Contrstive Analysis Hypothesis) 6
2.1.2. 유표성 차이 가설(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6
2.1.3. 음성 학습 모델(Speech Learning Model) 7
2.1.4. 지각 동화 모델(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9
2.1.5. 모국어 자기장 이론(Native Language Magnet Theory) 10
2.1.6. 모국어 전이(L1 transfer) 11
2.2. 음성학과 음운론의 경계 12
2.3. 영어 /h/와 한국어 /h/ 14
2.3.1. 영어 /h/와 기식 폐쇄음의 특징 14
2.3.2. 한국어 /h/와 기식 폐쇄음의 특징 23

3. 영어와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 산출 실험 36
3.1. 산출 실험 목적 36
3.2. 산출 실험 방법 36
3.2.1. 산출 실험 피실험자 36
3.2.2. 산출 실험 자료 37
3.2.3. 산출 실험 녹음 및 분석 방법 39
3.3. 산출 실험 결과 44
3.3.1. 영어와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 44
3.3.2. 영어 발화 중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h/ 실현 45
3.3.3. 한국어 발화 중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실현 46

4. 영어 발화 중 /h/ 실현 49
4.1. 영어 발화 중 /h/ 실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분석 49
4.1.1. 영어 발화 중 /h/ 실현 49
4.1.1.1. 영어 발화 중 초점 단어와 비초점 단어에 따른 /h/ 실현 49
4.1.1.2. 영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에 따른 /h/ 실현 51
4.1.1.3. 영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h/ 실현 53
4.1.1.4. 영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h/ 실현 55
4.1.1.5. 영어 발화 중 음보에 따른 /h/ 실현 56
4.1.2. 초점 단어 발화 중 /h/ 실현 58
4.1.2.1. 초점 단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에 따른 /h/ 실현 58
4.1.2.2. 초점 단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h/ 실현 60
4.1.2.3. 초점 단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h/ 실현 62
4.1.2.4. 초점 단어 발화 중 음보에 따른 /h/ 실현 63
4.1.3. 비초점 단어 발화 중 /h/ 실현 65
4.1.3.1. 비초점 단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에 따른 /h/ 실현 65
4.1.3.2. 비초점 단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h/ 실현 67
4.1.3.3. 비초점 단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h/ 실현 68
4.1.3.4. 비초점 단어 발화 중 음보에 따른 /h/ 실현 70
4.2. 영어 발화 중 /h/ 실현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72
4.2.1. 영어 발화 중 /h/ 실현 73
4.2.1.1. 영어 발화 중 /h/ 탈락 73
4.2.1.2. 영어 발화 중 /h/ 유성·무성 76
4.2.2. 초점 단어 발화 중 /h/ 실현 79
4.2.2.1. 초점 단어 발화 중 /h/ 탈락 79
4.2.2.2. 초점 단어 발화 중 /h/ 유성·무성 82
4.2.3. 비초점 단어 발화 중 /h/ 실현 83
4.2.3.1. 비 초점 단어 발화 중 /h/ 탈락 83
4.2.3.2. 비 초점 단어 발화 중 /h/ 유성·무성 85
4.3. 영어 발화 중 /h/의 음향적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87
4.3.1. 영어 발화 중 무성 /h/ 실현 87
4.3.1.1. 영어 발화 중 무성 /h/의 길이 87
4.3.1.2. 영어 발화 중 무성 /h/의 무게 중심 89
4.3.2. 초점 단어 발화 중 무성 /h/ 실현 90
4.3.2.1. 초점 단어 발화 중 무성 /h/의 길이 90
4.3.2.2. 초점 단어 발화 중 무성 /h/의 무게 중심 92
4.3.3. 비 초점 단어 발화 중 무성 /h/ 실현 93
4.3.3.1. 비 초점 단어 발화 중 무성 /h/의 길이 93
4.3.3.2. 비 초점 단어 발화 중 무성 /h/의 무게 중심 95
4.3.4. 영어 발화 중 유성 /h/ 실현 97
4.3.4.1. 영어 발화 중 유성 /h/의 길이 97
4.3.4.2. 영어 발화 중 유성 /h/의 무게 중심 98

5.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 100
5.1.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분석 100
5.1.1. 한국어 발화중 /h/ 실현 100
5.1.1.1. 한국어 발화 중 음절의 위치에 따른 /h/ 실현 100
5.1.1.2. 한국어 발화 중 선행음에 따른 /h/ 실현 102
5.1.1.3. 한국어 발화 중 후행음에 따른 /h/ 실현 104
5.2.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05
5.2.1. 한국어 발화 중 /h/ 실현 106
5.2.1.1. 한국어 발화 중 /h/ 탈락 106
5.2.1.2. 한국어 발화 중 /h/ 유성·무성 107
5.3. 한국어 발화 중 /h/의 음향적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109
5.3.1. 한국어 발화 중 무성 /h/ 실현 109
5.3.1.1. 한국어 발화 중 무성 /h/의 길이 109
5.3.1.2. 한국어 발화 중 무성 /h/의 무게 중심 110
5.3.2. 한국어 발화 중 유성 /h/ 실현 112
5.3.2.1. 한국어 발화 중 유성 /h/의 길이 112
5.3.2.2. 한국어 발화 중 유성 /h/의 무게 중심 113

6. 논의 115
6.1. 영어 발화 중 L1과 L2의 차이 115
6.2. 한국어 발화 중 L1과 L2의 차이 123
6.3. Maxent Grammar Tool에 의한 분석 결과 125

7. 결론 128

참고문헌 130

부록 138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효영. (2021). 한국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h/ 실현 대조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43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254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