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활용한 무용미디어 소비행동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현재
Issued Date
2023
Keyword
무용 콘텐츠,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소비행동
Abstract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활용하여 외부변인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이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애착과 지속사용 의도에 이르는 구조적 영향 관계를 규명하여, 정보기술을 통한 무용문화 저변확대 및 무용 지식정보 향유와 정보수용자가 인식하는 무용콘텐츠의 유용성과 용이성에 관련된 요인 파악을 통해 잠재적 고객 유입확보와 무용문화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2023년 1월 – 4월 광주, 전남, 전북지역의 무용 미디어 콘텐츠 시청경험이 있는 무용 전공자, 관련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450명을 연구대상으로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표본 420부를 이용하였다. 또한 인구 통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으며, 설문구성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Varimax),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검사(Cronbach’s a)를 실시하였다. 인구 통계적 특성과 콘텐츠 품질, 추구 편익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을시 scheffe를 이용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게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구조방정식모형(SEM)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무용 미디어 콘텐츠 시청자의 인구 통게적 특성에 따른 콘텐츠 품질, 추구 편익,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 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 미디어 콘텐츠 품질이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 미디어 콘텐츠 추구 편익이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콘텐츠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콘텐츠 애착이 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연구가설에 대한 모형에서는 콘텐츠 품질과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에서 채택을, 추구 편익과 기술수용 모델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에서 채택을,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콘텐츠 애착에서 채택을, 콘텐츠 애착과 지속사용 의도에 채택의 결과를 얻어 적합한 연구모형의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무용 미디어 콘텐츠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용하는데, 있어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은 중요한 외부변인임이 확인되었고,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은 콘텐츠 정보수용자의 긍정적 태도와 지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content quality and pursuit benefits, which are external variables, on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by utilizing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 and identifies the structural influence relationship leading to attachment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Providing basic data for securing potential customer inflow and forming a virtuous cycle structure in the dance culture ecosystem by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dance culture base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the enjoyment of dance knowledge information, and the usefulness and ease of dance contents recognized by information recipients It has an ultimate purpos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rom January to April 2023, dance majors and related people who have experience in watching dance media contents in Gwangju, Jeonnam, and Jeonbuk regions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total of 450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a self-evaluation writing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and 420 valid samples were used.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arimax),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Cronbach's 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compos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tent quality, and pursuit benefi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post-test using scheffe was conducted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ere conduct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 quality, pursuit benefi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content attachment, and continu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nce media content view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dance media content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benefit of seeking dance media content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Fourth,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affect content attachment. Fifth, content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ntinuation intention.
In the model for the final research hypothesis, adoption was selected from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which are sub-factors of content qua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which are sub-factors of benefit seeking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were selected. Adop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were found in content attachment, and adoption in content attachment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resulting in a suitable research model.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ntent quality and pursuit benefit are important external variables in continuously accepting dance media content inform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have a structural relationship that affects the positive attitude and continued behavior of content information consumers. Confirmed.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Dance Media Consumption Behavior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
Alternative Author(s)
Kim Hyun Ja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백승헌
Awarded Date
2023-08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모형 6
4. 연구가설 7
1) 무용 미디어 콘텐츠 품질요인과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7
2) 무용 미디어 콘텐츠 추구 편익과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11
3)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과 콘텐츠 애착 13
4) 무용 미디어 콘텐츠 애착과 지속 의도 14
5. 용어정리 15
1) 콘텐츠 품질 15
2) 추구 편익 15
3)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16
4) 콘텐츠 애착 16
5) 지속 의도 16

Ⅱ. 연구방법 17
1. 연구대상 17
2. 조사도구 19
1) 무용 미디어 콘텐츠 품질 20
2) 추구 편익 20
3)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20
4) 콘텐츠 애착 21
5) 지속 의도 21
3. 자료처리방법 21
4.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22
1) 탐색적 요인분석 22
2)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27

Ⅲ. 연구결과 34
1.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의 차이 34
1) 성별에 따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의 차이 34
2) 연령에 따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의 차이 35
3) 시청자 특성에 따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의 차이 37
4) 접근경로에 따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의 차이 39
5) 평균이용시간에 따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의 차이 40
6) 이용빈도에 따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의 차이 42
7) 성별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의도의 차이 44
8) 연령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의도의 차이 45
9) 시청자 특성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의도의 차이 46
10) 접근경로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의도의 차이 47
11) 평균이용시간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의도의 차이 48
12) 이용빈도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의도의 차이 49
2. 콘텐츠 품질, 추구 편익,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51
1) 콘텐츠 품질이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51
2) 추구 편익이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53
3)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콘텐츠 애착에 미치는 영향 55
4) 콘텐츠 애착이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56
3.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콘텐츠 애착 및 지속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57
1)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57
2) 상관관계분석 59
3) 연구모형 검증 61

Ⅳ. 논 의 64
1.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콘텐츠 품질, 추구 편익, 인지 유용성, 인지 용이성, 콘텐츠 애착, 지속 의도의 차이 64
2. 무용 미디어 콘텐츠 품질이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68
3. 무용 미디어 콘텐츠 추구 편익이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69
4.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콘텐츠 애착에 미치는 영향 71
5. 콘텐츠 애착이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 72

Ⅴ. 결론 및 제언 73
1. 결 론 73
2. 제 언 76

참고문헌 77

부 록 87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현재. (2023).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활용한 무용미디어 소비행동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81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347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