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경증치매노인의 시공간 능력을 위한 그리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윤주
Issued Date
2023
Keyword
그리드", "시공간능력", "경증치매노인","집단미술치료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visuospatial ability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grid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To develop the program, I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visuospatial ability and analyzed subjects and conducted a demand survey, and collected the demands of field experts for art therapy, and all them were reflected in the program.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feedback from the primary experts, a 14-session preliminary program was devised and it was applied to two subjects. After the preliminary program was implemented, the program was reinforced and modified based on comprehensive analysis through evaluation and satisfaction surveys on the program, and the final program was confirmed after the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program by secondary experts. The final program was implemented to 16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for 14 sessions (twice a week, within 60 minutes per session), including main 12 sessions and before and after ones.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grids for the visuospatial ability of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was attempted to be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pattern of change analysi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Ray complex figure copy for the evaluation of visuospatial construction ability and immediately recall and recognition tests for visual memory were applied to the 16 experimental group and 16 control. In order to analyze pattern of change, we examined change in visuospatial ability, psychological change on the every session, individual, and change in face stimulus assessment(FSA) tes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of the experimental group. Research is the same as a result.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group art therapy using grid improved visuospatial construction ability and visual memory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he Rey complex figure copy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to 27.42 (SD = 6.966) from 22.33 (SD = 6.313), the immediate recall to 9.32 (SD = 8.287) from 5.15 (SD = 4.753), and recognition to 18.75 (SD = 2.436) from15.19(SD=2.738).Thosewerestatistically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attern of chang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the grid confirmed positive change in visuospatial ability and increased psychologicalsatisfactionthroughlinguisticandnonverbalexpressions.
Therefore,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visuospatial ability of the mild dementia elderly was made by the appropriate procesess, composed of contents with grids. This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visuospatial construction ability, immediate recall, and recognition. In addition, group art therapy using grids showed not only visuospatial ability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butalsoemotionalsatisfaction.
As a conclusion, group art therapy using grid can be a cognitive mediation training that help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make positive emotional change.|본연구의목적은경증치매노인의시공간능력을위한그리드를활용한집단미술치료프로 그램을개발하고개발한프로그램의효과성을검증하는데있다. 이러한목적을달성하기위하 여본연구자는시공간능력에관한문헌과선행연구를고찰한후에대상자분석및요구도조 사를시행하였으며 현장 미술치료 전문가들의 요구도를 수렴하여 프로그램개발에반영하고자 하였다.위와같은프로그램개발과정을 통해사전 사후 포함한 14회기 예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1차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은 후, 2명을 대상으로 예비 프로그램을 시행하 였다. 예비 프로그램 시행 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 조사하여 종합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보완 수정하였고, 2차 전문가들에게 프로그램 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 을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경증 치매 노인 16명에게 사전 사후 포함하여 14회기(주 2회, 회기당60분이내) 시행하였다.
그리고경증치매노인의시공간능력을위한그리드를활용한집단미술치료프로그 램의 효과성을 양적분석과 변화양상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양적분석을위하여16명의실험집단과16명의대조집단에 시공간 구성능력 을평가하기 위해서레이 복합도형을모사하고, 시각적 기억력을보기 위해즉시회상, 재인의 방식으로 사전 사후 실시하였다. 변화양상 분석을 위해서 실험집단의 회기별, 개인별, FSA를 통한 시공간 능력의 변화양상과 심리적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다음과같다.
양적분석 결과, 그리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경증 치매 노인의 시공간 구성 력향상과 시각적 기억력에 도움을 주었다. 실험집단은 시공간 구성 능력에서 실험집단 이사전 평균 사전 22.33(SD=6.313)에서사후 27.42(SD=6.966)로 증가하였고, 즉시 회상의 점 수가 실험집단에서사전평균이5.15(SD=4.753)에서사후9.32(SD=8.287)로, 재인 점수가실험 집단의 사전 평균이 15.19(SD=2.738)에서 사후 18.75(SD=2.436)로 증가하여 사전, 사후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반해 통제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사전보다 사후 오 히려점수가낮게나타났다.
변화양상 분석을 통한 결과, 그리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시공간 능력 에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고,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서 심리적 만족감이 증 가함을알수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인 경증치매노인의 시공간 능력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개 발모형과 내용이 적절하게 구성되었고, 시공간 능력의 하위요인들인 시공간 구성능력, 즉시 회상, 재인 영역모두에서 유의미한효과가있었다.또한그리드를활용한집단미 술치료는경증치매노인의 시공간능력뿐만 아니라 정서적 만족감도가져옴을알수 있 었다.
결과적으로, 그리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경증치매노인의 시공간 능력에 도움을 주고 정서적으로긍정적변화를줄수있는 인지중재 훈련치료가될수있음을확인 할수있었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using grids to improve visuospatial ability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lternative Author(s)
Lee Yun J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Advisor
김택호
Awarded Date
2023-08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7
C. 연구 문제 및 가설 7
D.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A. 경증치매노인 10
1. 경증치매노인의 개념 및 특징 10
2. 경증치매노인의 시공간 능력 12
B. 그리드와 시공간 15
1. 그리드의 개념과 특징 15
2. 그리드와 시공간 18
C. 뇌 과학과 미술치료 21
1. 뇌 과학 개념 21
2. 뇌의 구조와 작용원리 22
3. 경증치매노인의 뇌 27
4. 미술치료와 임상 뇌 과학 29
D. 시공간 능력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33
1. 집단미술치료의 개념 33
2. 시공간 능력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34

Ⅲ. 경증치매노인의 시공간 능력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38
A.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및 배경 38
B. 프로그램 개발모형 39
C. 시공간 능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정 44
1. 목표 수립 44
1) 프로그램 기획 44
2) 대상자 분석 및 요구도 조사 53
3) 전문가 요구도 조사 60
4) 문헌고찰 및 이론적 배경 64
2. 예비 프로그램 구성 68
1) 예비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설정과 내용구성 68
2) 예비 프로그램 1차 전문가 자문 75
3) 예비 프로그램 구성 76
3. 예비 연구 시행 및 수정·보완 80
1) 예비 프로그램 시행 80
2) 예비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2차 전문가 타당도 검증 85
4. 본 프로그램 실행 및 평가 94

Ⅳ. 경증치매노인의 시공간 능력을 위한 그리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101
A. 연구방법 및 절차 101
1. 연구 설계 101
2. 연구 대상 102
3. 연구의 윤리적 고려 104
4. 연구 도구 105
5. 연구 절차 107
6. 자료 분석 108
B. 연구 분석 결과 111
1. 양적 분석 결과 111
2. 변화양상 분석 결과 117

Ⅴ. 논의 및 결론 148
A. 연구 결과 및 논의 148
1. 시공간 능력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148
2. 경증치매노인의 시공간 능력을 위한 그리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151
3. 그리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경증치매 노인의 변화양상 153
B. 의의 및 제언 156

참고문헌 158

국문초록 174

부록 17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윤주. (2023). 경증치매노인의 시공간 능력을 위한 그리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77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872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