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Toni Morrison and Taoism: An Ecological Encounter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유동봉
Issued Date
2023
Keyword
Toni Morrison, Taoism, ecology, Africism, equality, hope, harmony
Abstract
현재까지 유일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토니 모리슨 (1931-2019)은 의심할 여지 없이 자신을 미국문학뿐 아니라 세계 문학의 정전 속 에 써넣었다. 『가장 푸른 눈』이 출간된 1970년부터 『신이여 그 아이를 돌보소서』 가 출간된 2015년까지 불과 45년 동안 11편의 소설과 7편의 아동 도서, 그리고 2편의 단편집 등을 출간하여 독자와 비평가 모두에게 큰 박수와 찬사를 받았다.
모리슨의 작품의 풍부함은 다양한 관점에서 수많은 학문적 연구를 낳았지만, 도가 사상을 통한 그녀의 소설에 대한 접근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다. 도가사상은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년-기원전 221년)에 ‘녹색’ 철학이라는 하나의 완전
한 체계로 등장하여 발전하였다. 도가 사상은 평등의 사상을 기반으로, 인류가 직면한 생태적 비상사태를 지구 구성원 간의 내부 문제로 여기고 이에 대처한다. 사실, ‘생태학’이라는 단어 자체는 ‘집’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오이코스’(oikos)에서 유
래되었다. 따라서 생태학의 연구는 인간과 자연계의 또 다른 유기체들 사이의 가족 생활로 생각할 수 있다.
능숙한 이야기꾼으로서, 모리슨은 그녀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자연을 결합한 문학적 미학을 교묘하게 사용한다. 자연을 통해 인간성 자체를 이해하는 것도 모리슨의 서사에 결정적이다. 모리슨의 생태적 의식에 대한 청사진은 그녀의 캐릭터들의 운명을 자연의 무자비한 파괴와 끝없는 착취와 엮음으로써 그 전체를 구성한다. 모리슨이 그들에게 말했듯이, 이 이야기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원시 아프리카 전통에 분명한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그녀의 생태학적 기반의 문화적
근거가 되고 있다.
그러나 모리슨과 도교가 다른 언어적, 문화적 범주에 속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없지만, 역사를 통해 인류의 기원과 문명을 추적할 때 그들 사이의 특정한 연관성은 여전히 발견될 수 있다. 인류의 초기 원시 종교 문화는 아프리카 대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아프리카는 일련의 인간 디아스포라, 인류 문명의 계승과 발전, 인간 인식의 확장을 통해 세계 여러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전통적인 아프리카 문화의 계승자이자 수호자인 모리슨은 이 고대 문화를 그녀의 작품에 접목시켜 풍
부한 예술적 기반과 인간 생태에 대한 원시적인 관점을 드러낸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모리슨은 현대의 생태 위기에 직면하여, 지구의 생태권에서 평등과 조화에 대한 열망을 표현하기 위해 문학적, 예술적 접근법을 채택했다. 2천년 이상 된 도가 사상은 여전히 오늘날의 생태학적 현실과 관련이 있다. 한편으로
는 평등, 자유, 조화의 사상이 그 철학에 내재되어 있어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고 전파되는 반면, 중국 학자 리지아루안은 트리니티의 핵실험을 경계선으로 하여 인류세를 ‘소인류세’와 ‘중인류세’로 구분한다. 도가 사상은 이전 시대에 있다. 고유의
‘녹색’ 이념적 핵심과 결합된 도가사상은 오늘날의 생태 위기에 대한 이론적 지침 역할을 하기에 완벽하게 적합하다.
이 논문의 구조는 모두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은 그 배경, 현실적 의의, 문헌 검토, 구조 등을 담고 있으며, 그 뒤로 5개의 장과 결론이 이어진다. 제2장은 모리슨의 작품에 이국적이고 활기차고 은유적인 내용을 제공하고 추가 탐구를 위
한 유망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도교, 고대 중국 문화, 아프리카 전통 종교 문화의 사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3장은 모리슨과 도교를 한데 모아 생태 위기 에 대한 그들의 대응, 아이디어의 상호 작용, 전설적인 이미지, 그리고 그들의 문
화적 기반 측면에서 그들의 필요한 연관성을 확인한다.
본문 분석의 장에서, 이 논문은 도교의 철학적 사고를 이론적 씨줄로 삼고, 제4장에서 세상 만물의 통일과 평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교의 주관성을 각각 설명하고, 5장에서 흑인 미국인들에게 새로운 희망의 건설을 설명하는 도의 영원성, 6장에서
개인 정신의 승화와 지상 조화의 이상의 실현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도의 자기 변형의 모습을 제시한다. 본문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모리슨의 등장인물과 줄거리를 통해 날줄의 차원으로 제시되지만, 본 논문은 좀 더 심층적인 탐구를 위해 몇
개의 하위 장으로 더 나누어진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는 모리슨의 소설을 도교 철학적 관점에서 보다 포괄적이고 실험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모리슨 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사상을 도교 철학적 사고 를 통해 해석하는 한편, 지상에서의 사회정의의 확산과 조화의 구축을 선언하고자한다. 이러한 인지적 선택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생태적 위기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구상하기 위해 도가 사상이 적용해야 할 선택이다.|By far the only African-American women laureate for Nobel Prize in literature, Toni Morrison (1931-2019) has undoubtedly written herself into the American and even the world literary canon. From 1970, when The Bluest Eye was published, to 2015, when God Help the Child was released, a scant forty-five years witnessed her full contribution to world literature, including eleven novels, seven children’s books, two short stores, all of which were highly applauded and acclaimed by both readers and critics alike.
Although the richness of Morrison’s work has spawned numerous scholarly studi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the approach to her novels through early oriental Taoist philosophy is, still in its infancy. Taoism emerged and developed into a complete system of ‘green’ philosophy during the chaotic periods of the Spring and Autumn, and the Warring States (770BC-221BC) in China. In dealing with the ecological emergency facing humanity, Taoism, guided by the idea of equality, sees it as an internal matter within the earth’s family. In fact, the word ‘ecology’ itself originates from the Greek word oikos meaning ‘home’. Thus, the study of ecology can be thought of as the family life of human beings and another organism in the natural world.
As an adept storyteller, Morrison cleverly employs literary aesthetics that combine nature with the characters in her stories. Understanding humanity itself through nature is also crucial to Morrison’s narrative. By interweaving the fates of her characters with the relentless destruction and endless exploitation of nature, Morrison’s blueprint for ecological consciousness is constructed in its entirety. These stories, as Morrison tells them, are graphically grounded in the primitive African tradition of black life in harmony with nature, which affirmatively gives her a cultural deposit of ecological foundations.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Morrison and Taoism belong to different linguistic and cultural categories, but certain links between them can still be found when tracing the origins and civilization of humanity throughout history. The earliest primitive religious cultures of mankind were rooted in the African continent and the Africism has influenced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rough a series of human diasporas,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s, and the expansion of human cognition. And Morrison, as the heir and guardian of traditional African culture, incorporates this ancient culture into her work, revealing a rich artistic foundation and a primitive view of human ecology.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in the face of the modern ecological crisis, Morrison has adopted a literary and artistic approach to express her desire for equality and harmony in the Earth’s ecosphere.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old, Taoism is still relevant to today’s ecological reality. On the one hand, the ideas of equality, freedom, and harmony are inherent in its philosophy and are eulogized and disseminated worldwide, while on the other hand, Chinese scholar Li Jialuan divides the Anthropocene into “the minor Anthropocene” and “the severe Anthropocene” with the Trinity nuclear test as the dividing line. Admittedly, Taoism is in the former era. Combined with its own intrinsic “green” ideological core, Taoism is perfectly suited to serve as a theoretical guide for today’s ecological crisis.
As far as the structure of this dissertation is concerned, it consists mainly of seven chapters. The introductory chapter includes its background, realistic significance, literature review, and structure, closely followed by five chapters and a conclusion. Chapter two focuses on the ideas of Taoism, ancient Chinese culture and African traditional religious culture, which provide exotic, energetic, and metaphorical content for Morrison’s works and suggest a promising new direction for further exploration. Chapter Three brings Morrison and Taoism together to identify their necessary connection in terms of their response to the ecological crisis, the interweaving of ideas, the legendary imagery, and their cultural underpinnings.
In the chapters of textual analysis, this dissertation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using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Taoism as the theoretical latitude to respectively explain the subjectivity of the Tao to elucidate the unity and equality of all things in the world in chapter four, the eternity of the Tao to illustrate the construction of new hope for black Americans in chapter five, and the self-transformation of the Tao to articulate the sublimation of the personal spirit and realization of the ideal of harmony on earth in chapter six. While a detailed analysis of the text is presented through Morrison’s characters and plots as a dimension of longitude, this dissertation is further divided into several sub-chapters for a more in-depth exploration. Thus, this project is a more comprehensive and experimental study of Morrison’s novels from a Taoist philosophical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interpret the ecological ideas in Morrison’s novels through Taoist philosophical thought, while proclaiming the prevalence of social justice and the building of harmony on earth. Such a cognitive option is one that Taoism should apply to solve the ecological crisis caused by human activities and to envision a sustainable future.
Alternative Title
토니 모리슨과 도가 사상: 생태학적 비교연구
Alternative Author(s)
Dongfeng Li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Cheol-soo Kim
Awarded Date
2023-08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1
A. The Origin of the Project 1
B. The Realistic Significance 4
1. The Ecological Bluepri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5
2. The Beautiful Home of Harmony for Mankind 7
C. Literature Review 10
1. Morrison and Her Novels 11
2. Taoism and Ancient Chinese Culture 21
3. African Traditional Religious Culture 26
D. The Structure of the Dissertation 33

II. Taoism, and Ancient African Religion 36
A. Taoism 36
1. Historical Development 36
2. International Spread 38
3. The Core Concepts 41
B. The Ancient African Religion 53
1. Africism 54
2. Challenges and Influence 58
3. The Main Ideas 60

III. The Encounter between Morrison and Taoism 65
A. The Treatment of the Ecological Crisis 65
B. The Pursuit of Individual Freedom 69
C. The Universality of Animism 72

IV. Tao’s Subjectivity and Morrison’s Idea of Equality 76
A. Integration, Companion, and Personification in Beloved 80
1. The Divinized Tree 80
2. The Anthropomorphized Trees 88
B. Reciprocal Affection, and Mutual Independence 95
1. Sisterly Love in A Mercy 96
2. Sincere Succoring in Beloved 102
C. Mythology, Supernatural, and Interoperability 106
1. Mythical Names and Ancestral Spirits in Song 108
2. Supernatural and Soliciting of Love in Beloved 114

V. Tao’s Eternity and Morrison’s View of Hope 119
A. Patriarchy, Slaughter, and Rebirth in Paradise 123
1. Rigidity and Hierarchy 125
2. Healing and Underground Meditation 128
3. Reincarnation and Expectation 133
B. Fire, Lethality, and New Anticipation 138
1. Death and Transmigration in Child 140
2. Sacrifice and Spiritual Freedom in Sula 143
C. Tragicized Aesthetics, and Aspiration in Bluest 148
1. Neglect and Contempt 149
2. Seeds of Future and Sprouting Changes 157

VI. Tao’s Creativity and Morrison’s Thought of Harmony 161
A. Free Geospatial and Self-Transformation 164
1. Group-Leadership and Sufficiency in Convent 166
2. Collective-Adjustment and Raptures in Clearing 175
B. Seclusion, Transformation and Harmony 179
1. Self-Recovering and Spiritual Belongs in Home 179
2. Returning and Self-Identity in Song 185
3. Self-Expression and Self-Understanding in A Mercy 193

VII. Conclusion 200

References 204

Appendix 215

Acknowledgments 21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유동봉. (2023). Toni Morrison and Taoism: An Ecological Encounter.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77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997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