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NFT 시장에서 복셀 NFT 미술 창작자의 성장 가능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얻개랠 나몬
Issued Date
2023
Keyword
메타버스(Metaverse), 대체 불가능 토큰(NFT Non-Fungible Token), 오픈씨(OpenSea), 복셀 NFT미술, 디지털 아트
Abstract
With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center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metaverse, NFT(Non-Fungible Token), blockchain, artificial intelligenc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various business-related services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are being newly created and rapidly implemented. Therefore, NF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that can assetize digital content and prove the uniqueness of the original.
The NFT market is expanding around digital assets with scarcity such as digital artworks, music, games, and digital real estate, and cases of using NFT in virtual environments such as online games and metaverse are also emerging. According to data provided by NonFungible.com, the NFT market has high trading volume. The NFT market was $17,694,851,721 (USD) in 2021, but increased to $25,497,044,463 (USD) by 30 January 2021. In this growing market, there are a few different types of NFTs such as creation techniques and usage. In particular, one of the first NFTs to become famous, CryptoPunk NFTs is made of 2D pixel art, and 3D voxel NFTs such as , , and , which are inspired by it, occupy a certain position in the NFT market.
This study is a researcher's work paper on the emerging NFT of Metaverse as digital copyright and value for contemporary and future art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metaverse and NFT, which are recent high-tech industries in Web3.0, analyze successful NFT's, an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NFT platforms. The second purpose is to conduct a recent successful voxel NFT cases to present the growth potential and problems of voxel NFT creators in the NFT market. The third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potential of a new NFT art market by identifying the pros and cons of the NFT production process and the Voxel NFT release process while producing, exhibiting, and selling voxel NFT artworks in a virtual space incorporating modern digital technology.
The method of this study us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comparative analysis, and production demonstration methods. As the data,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etaverse and NFT were analyzed.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and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introduction to Chapter I,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nd previous studies were considered.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hapter II, the concept of metaverse and NFT, cryptocurrency, and NFT types were studied as successful example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NFT platforms was studied. Chapter III Voxel NFT and successful Voxel NFT case study, presented the growth potential and problems of Voxel NFT creators. Chapter IV discussed the pros and cons of the Voxel NFT production and release process through the researcher's Voxel NFT production process. In addition, the value of the NFT work of produced in this study was proposed. In the conclusion of Chapter V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expected influence, and suggestions.
Through the researcher's creating process and NFT launch process, we were able to experience and confirm that the current NFT market is expanding and opening new opportunities for creators and buyers, and NFT can provide opportunities to monetize works in a simple and efficient way.
NFT is approaching our lives with metaverse, blockchain, or cryptocurrency. This study, based on this cultural and industrial background, is expected to be used by modern digital artists as good data for their roles in the new art world through NFT works and platforms.

Keywords: Metaverse, NFT(Non-Fungible Token), OpenSea, Voxel NFT Art, digital art
|최근 메타버스(Metaverse), NFT(Non-Fungible Token), 블록체인(Block-chain), 인공지능, 증강현실·가상현실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대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면서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던 다양한 비즈니스와 관련 서비스가 새롭게 생겨남에 따라 빠르게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를 자산화하고 원본의 고유함을 증명할 수 있는 대안 기술로써, NFT가 주목받고 있다.
NFT 시장은 디지털 미술작품, 음악, 게임, 디지털 부동산 등의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며, 온라인 게임, 메타버스 등의 가상환경에도 NFT를 활용하는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NonFungible.com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NFT 시장은 높은 거래량을 가지고 있다. NFT 시장은 2021년에 17,694,851,721$(미국 달러)이었지만, 2021년 1월~9월 30일까지 25,497,044,463$로 증가했다.이렇게 성장하는 NFT 시장에는, 제작기법 및 사용범위가 다른 여러 가지의 NFT가 있다. 특히, 최초의 NFT 인 는 2D 픽셀 아트로 제작되었고, 이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 , 같은 3D 복셀 NFT들은 NFT 시장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와 미래의 미술작품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과 가치로서 새롭게 대두되는 메타버스의 NFT에 대한 연구자의 작품 논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 최근 웹3.0의 첨단산업에 해당하는 메타버스와 NFT의 개념 및 이론을 정리하고, NFT 중에서 성공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NFT 플랫폼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두 번째는, NFT 시장에서 복셀 NFT 창작자의 성장 가능성 및 문제점을 제시하기 위해 최근 성공한 복셀 NFT 사례 연구를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세 번째는 현대의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가상공간에서 연구자가 복셀 NFT 작품을 직접 제작, 전시, 판매하면서, NFT 작품 제작과정과 복셀 NFT 출시과정의 장단점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예상하는 새로운 NFT 미술시장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 비교분석, 제작실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자료로는 메타버스와 NFT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로서 메타버스와 NFT의 개념, 암호화폐, NFT 종류를 성공적인 사례로 연구하고, NFT 플랫폼 비교분석을 연구했다. 제3장 복셀 NFT, 성공적인 복셀 NFT 사례 연구를 통해 복셀 NFT 창작자의 성장 가능성 및 문제점을 제시했다. 제4장에서는 연구자의 복셀 NFT 작품 제작과정을 통해 복셀 NFT 제작 및 출시과정의 장단점과 문제점을 논의했다. 또한,고 본 연구에서 제작한 NFT 작품의 가치를 제안했다. 제5장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 및 기대효과와 제언을 정리하였다.
연구자의 작품 제작과 NFT 출시과정을 통해 현재의 NFT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창작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고 있다는 사실을 체험하고 확인할 수 있었으며, NFT는 창작자와 소비자가 직접 거래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판매 방식으로 작품을 수익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NFT는 메타버스나 블록체인 또는 암호화폐 등과 함께 우리 삶에 가까이 다가와 있다. 이러한 문화산업적 배경을 바탕으로 진행한 본 연구는 현대의 디지털 아티스트들이 NFT 작품과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미술세계에서 활동하는 역할에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메타버스(Metaverse), 대체 불가능 토큰(NFT; Non-Fungible Token), 오픈씨(OpenSea), 복셀 NFT미술, 디지털 아트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Growth Possibility of Voxel NFT Art creators in NFT Market : Focused on researchers work
Alternative Author(s)
Odgerel Namu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Advisor
김일태
Awarded Date
2023-02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1
제2절 연구목적 2
제3절 연구방법 및 구성 3
제4절 선행연구 고찰 5
1. 메타버스 관련 선행연구 5
2. NFT(Non-Fungible Token) 관련 선행연구 10
제2장 메타버스와 NFT 12
제1절 메타버스 12
1. 메타버스 정의 12
2. 메타버스 종류와 특징 16
제2절 NFT 22
1. NFT 정의 22
2. NFT 기술 23
3. NFT 활용 분야 및 시장 현황 32
4. NFT 플랫폼 비교분석 48
5. 오픈씨의 거래방식과 법정 통화 기능 56
6. NFT 문제점 61
제3장 복셀 NFT 미술의 성장 가능성 67
제1절 복셀 NFT 미술 67
제2절 성공적인 복셀 NFT 미술 사례 연구 70
제3절 복셀 NFT 미술 창작자의 성장 가능성 78
제4절 복셀 NFT 미술 창작의 문제점 80
제4장 연구자의 작품 제작 82
제1절 콘셉트 82
제2절 제작과정 84
1. 건물 85
2. 기념물 88
3. 건물 내부 복셀 모델 91
4. 코인 복셀 모델 92
5. 아웃도어(Outdoor) 아이템 93
6. 아바타 98
제3절 미술작품의 NFT 플랫폼 출시과 102
제4절 출시된 NFT의 데이터 분석 110
제5절 NFT 미술작품 제작 및 출시과정의 장·단점과 가능성 113
1. 장점 114
2. 단점 115
3. 가능성 116
제5장 결론 121
참고문헌 12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얻개랠 나몬. (2023). NFT 시장에서 복셀 NFT 미술 창작자의 성장 가능성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62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095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