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강우침투를 고려한 저수지 사면의 안정성평가 및 보강방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신정
Issued Date
2023
Abstract
대부분 저수지 사면파괴는 장마기간의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우에 의해 사면전체가 포화되는 것이 아니라 강우시간이 지속됨에 따라 얕은 깊이부터 포화, 모관흡수력은 급격히 감소하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지반의 강도가 감소하여 대부분 얕은 파괴 또는 표층파괴 형태로 사면붕괴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시설물의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저수지 외제사면의 강우침투 깊이와 침윤선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론식(Lumb)을 활용하여 강우침투 깊이 및 간극수압을 산정하였다. 또한, 사면안정평가법인 간접법과 실제 강우기록에 대한 침투해석을 수행, 사면안정에 연계하여 해석하는 직접법을 이용하여 OO저수지의 외제사면에 대한 안정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저수지 장기강우에 따른 사면의 파괴 메커니즘을 규정하고자 실제 강우에 따른 피해가 발생한 OO저수지 제방사면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통해 실제 현상과 비교하여 수치해석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현행 설계기준에서는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항구적인 시설물 보강대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여름철 장마일수, 누적강우량의 증가와 이상기후현상으로 인해 저수지 시설물의 피해가 급증하고 그에 따른 인명·재산피해를 예방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농업용 저수지 설계 시 기후변화 등을 반영하여 안전영농기반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저수지 설계에 활용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저수지 사면의 장기강우로 인한 파괴시 습윤대의 형성으로 인한 표층의 슬라이딩을 통하여 붕괴 거동이 일어나며, 수치해석과 비교시 유사한 거동을 보임을 확인하여 수치해석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붕괴시 얕은 파괴가 일어난 표층의 유실 두께는 10cm로 상사 적용시 수치해석에서 구한 수치와 이론적 계산식 Wetting Band 두께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지표 습윤대 두께가 직접법은 2.79∼2.82m, 간접법은 2.54m로 유사하며, 원호활동 안전율은 두가지 방법 모두 1.0미만으로 얕은파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직접법의 경우 실제와 유사하게 상부 사면에서 원호활동이 발생하는 반면 간접법은 하부사면에서 발생하였다. 침투해석(직접법) 결과 강우지속 30∼31일 경과시 지표 습윤대가 형성되었으며, 특히, 31일 경과 시점에서 지표 습윤대가 급격히 확산되어 원호활동 안전율이 1.0미만으로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장기강우의 파괴 특성상 대부분 지표 습윤대 범위내 얕은 파괴형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사면표면 보강공법을 적용해야 장기강우의 세기 및 빈도를 고려하여 경제적인 보강공법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향후 장기 또는 집중강우에 의한 사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수지 외제사면에 맞는 적정한 보호/보강공법의 결정이 필요하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tability Evalua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of Reservoir Slope Considering Rainfall Penetration
Alternative Author(s)
Shin, J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Advisor
김대현
Awarded Date
2023-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국내·외 연구동향 3
1.3 연구내용 및 방법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2.1 농업용 저수지 사면파괴의 영향요인과 우리나라 강우특성 6
2.1.1 농업용 저수지 사면파괴의 영향요인 6
2.1.2 강우강도와 일반 사면붕괴와의 관계 7
2.1.3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8
2.2 일차원 침투이론 10
2.3 불포화토의 특성 17
2.3.1 불포화토의 기본구조 18
2.3.2 모관흡수력 22
2.4 불포화토의 역학적 특성 24
2.4.1 함수특성곡선 24
2.4.2 이력현상 26
2.4.3 불포화토의 투수특성 28
2.4.4 불포화토의 전단강도 32
2.5 불포화토의 간극수압 34
2.5.1 간극수압의 변화 34
2.5.2 사면의 침투가정 37
2.5.3 포화영역의 확산 39
2.6 사면의 안정해석 40
2.6.1 전응력 및 유효응력해석 40
2.6.2 한계평형해석법 41
2.6.3 마찰원법 42
2.6.4 절편법 45
2.7 상사법칙 50
2.8 강우재현 모형실험 사례 54

제 3 장 실내모형실험 및 결과 59
3.1 강우재현 실험장치 59
3.1.1 강우에 대한 상사법칙 59
3.1.2 모형강우 규모의 결정 62
3.1.3 빗물방울의 낙하속도 63
3.1.4 강우에 의해 지반표면에 작용하는 압력 64
3.1.5 강우재현 실험장치의 분무 노즐 설계 65
3.2 강우재현 실험장치를 이용한 실내실험 69
3.2.1 실험장치 69
3.2.2 실내실험 준비 74
3.2.3 실내실험 결과 77

제 4 장 침투/사면안정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 81
4.1 개요 81
4.1.1 모델링 81
4.1.2 입력자료 85
4.2 간접법과 직접법을 고려한 해석결과 86
4.2.1 해석결과 - A저수지 86
4.2.2 해석결과 - B저수지 96
4.2.3 해석결과 - C저수지 99
4.2.4 강우조건 고려에 따른 안전율 비교 102
4.3 저수지 사면안정 대책 104
4.3.1 저수지 외측사면 전면 사석 보강 104
4.3.2 저수지 외측사면 부분 사석 보강 106
4.3.3 저수지 외측사면 토우드레인 보강 107
4.3.4 저수지 외측사면 소단 보강(S=1:1.8) 108
4.3.5 저수지 외측사면 소단 보강(S=1:2.0) 109
4.3.6 각 보강공법에 따른 안전율 비교 110

제 5 장 결 론 109

참고문헌 114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신정. (2023). 강우침투를 고려한 저수지 사면의 안정성평가 및 보강방법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55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687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