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 성인에서 코로나19 관련 특성과 구강건강과의 연관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가영
Issued Date
2023
Keyword
COVID-19, Dentistry, Mastication, Oral health, Tooth
Abstract
코로나19는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으로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코로나19가 유행시기에 치과내원 환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치과방문 환자의 감소는 치과의 수익 감소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적절한 치과치료가 지연될 경우 개인의 구강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에서 코로나19 관련 특성과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및 저작불편 경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21년 8월 16일부터 2021년 10월 31일이었다. 총 229,242명이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이중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에 응답하지 않은 3명을 제외한 229,239명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코로나19 관련 특성과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과 저작불편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value<0.05을 기준으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양호한 주관적 구강건강 대상자는 26.5%였으며, 저작불편 경험이 있는 경우 20.2%였다. 양호한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에 대한 교차비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에 아주 조금 영향을 받은 대상자, 감염될까봐 염려되는 대상자, 총 소득이 감소한 대상자, 신체활동이 증가한 대상자, 인스턴트 식품 섭취와 코로나19로 인한 흡연은 해당없는 대상자, 코로나19 예방접종을 경험한 대상자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양호할 가능성이 높았다. 저작불편 경험에 대한 교차비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염려사항 항목에서 감염, 주위비난, 경제적 피해를 받을까봐 염려되는 대상자, 총 소득과 필수 소비지출이 증가한 대상자, 신체활동 변화가 해당없는 대상자, 인스턴트 식품 섭취와 코로나19로 인한 음주와 흡연은 증가한 대상자가 저작불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에서 코로나19 관련 특성과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및 저작불편 경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본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감염병 유행 시기에 구강건강 관리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Objective: The COVID-19 pandemic and its prolongation have raised concerns about oral health.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OVID-19-related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in Korean adult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A total of 229,242 Korean adults were completed in 2021 survey.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chewing discomfort were assessed and their association with COVID-19 related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chi-square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Among the total participants, 26.5% responded that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was good, and 20.2% experienced chewing discomfor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dds ratio for goo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subjects who were slightly affected in daily life due to COVID-19 and those who were concerned about being infected were more likely to have goo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was highly likely to be good in subjects with a decrease in total income, subjects with increased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subjects without consumption of instant food and smoking due to COVID-19, and subjects who experienced COVID-19 vaccin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dds ratio for experience of copyright discomfort, subjects who were concerned about being infected, those who were concerned about being criticized around them, and those who were worried about receiving economic damage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iscomfort in the items of concern for COVID-19. Subjects with increased total income, increased essential consumption expenditures,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non-applicable subjects, increased consumption of instant food, and increased drinking and smoking due to COVID-19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chewing discomfort.
Conclusion: Among the total participants, 26.5% responded that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was good, and 20.2% experienced chewing discomfort.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community is required to maintain oral health, and policies to increase dental service accessibility for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underprivileged will be needed to reduce the oral health gap.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evidence for oral health management during epidemics of infectious diseases.
Alternative Title
Associotion between COVID-19 related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among Korean adutls
Alternative Author(s)
Lee Ga 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한미아
Awarded Date
2023-02
Table Of Contents
표 목 차 ⅲ
ABSTRACT ⅳ

I. 서론 1

II. 연구방법 3
A. 이용 자료 및 연구대상 3
B. 이용 변수 4
1. 일반적 특성 4
2. 건강관련 특성 5
3. 코로나19 관련 특성 6
4.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 7
C. 자료 분석 8

Ⅲ. 연구결과 9
A. 대상자의 특성 분포 9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
2. 대상자의 건강 관련 특성 10
3. 코로나19 관련 특성 11
4.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 13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14
6.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16
7. 코로나19 관련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18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저작불편 경험 20
9.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저작불편 경험 22
10. 코로나19 관련 특성에 따른 저작불편 경험 24
11. 코로나19 관련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 26

IV. 고찰 28

V. 요약 및 결론 31

참고문헌 3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Citation
이가영. (2023). 한국 성인에서 코로나19 관련 특성과 구강건강과의 연관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52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4567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Parmacy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