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A Study on English and Chinese Neologism Relevant to COVID-19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emantics

Metadata Downloads
Author(s)
후한
Issued Date
2022
Keyword
개념적 은유, 은유적 사상, 신조어, 교차 언어(Cross Linguistics), 인지의미론, COVID-19
Abstract
코로나 19(COVID-19)의 세계적인 펜더믹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이 유례없는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단어들이 빠르게 생겨나고 있다. 코로나 19(COVID-19)의 세계적인 펜더믹은 우리의 생활 방식과 언어 사용방식을 크게 변화시켰고 인류 사회의 모든 측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사람들이 이 알려지지 않은 전염병을 더 잘 이해하고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사람들은 많은 새로운 단어와 표현을 만들어 이 전염병의 세계적인 펜더믹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의미론의 시각에서 중국어와 영어로 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된 신조어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일한 공중보건 위기에 직면했을 때 이러한 새로운 단어가 영어와 중국어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하기 위해 언어 간 비교 분석도 수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같은 개념에 대한 사회적 현실과 다양한 문화적 차이의 인지적 영향과 결합하여 중국어와 영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가능한 설명도 제공한다.
질병에 대한 이전의 은유적 연구에서는 특정 질병에 초점을 맞추었다. 예를 들어 암 등을 원천 영역(source domain)으로 하여 사회 발전 문제 및 부패 문제와 같은 몇 가지 추상적인 개념을 설명한다. 코로나 19(COVID-19)는 새로 나타난 질병이며, 인간은 여전히 ​​이 질병에 대해 모르는 부분이 많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 전염병을 이해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간단한 개념이 필요하다. Lakoff and Johnson(1980)은 개념적 은유의 개념을 제시하였고, 개념적 은유는 보다 구체적이고 단순한 개념을 통해 사람들이 보다 복잡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는 인지적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코로나 19(COVID-19) 세계적인 펜더믹 이후 사람들은 알려지지 않은 코로나 19(COVID-19)와 그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영역을 원천 영역으로 사용하고 있다.
코로나 19(COVID-19) 세계적인 펜더믹과 그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은유적 표현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담론과 문장의 수준에 중점을 둔다. 코로나 19(COVID-19) 사태 이후 의학 중심의 신조어가 계속 등장하고 있지만, 전 세계적인 펜더믹과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어휘 수준에서 보다 간단하고 구체적인 개념을 어떻게 사용할 것 인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본 연구는 중국어와 영어로 된 코로나 19(COVID-19)에 대한 새로운 단어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은유적 사상과 부각을 기반으로 인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새로운 단어가 코로나 19(COVID-19)의 맥락에서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특정 의미로 확장하는 방법을 논한다. 은유적 사상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은유와 환유 간의 상호작용을 은유의 원천 영역(source domain) 또는 대상 영역(target domain)의 축소 또는 확장에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쟁 은유와 여행 은유의 두 가지 주요 은유를 발견하였다. 이 두 가지 유형의 은유를 기반으로 중국어와 영어로 된 많은 새로운 단어가 생겨났다. 이 새로운 단어는 코로나 19(COVID-19)와 관련된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사람들이 코로나 19(COVID-19)와 그것이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는 비교분석을 통해 영어와 중국어로 된 신조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동일한 코로나 19(COVID-19)와 유사한 사회적 통제 전략에 직면했을 때 인간의 동일한 생리적 경험(Lakoff and Johnson 1980)으로 중국어와 영어로 된 신조어의 유사점을 설명하고 문화적 다양성(Kövecses 2010, Yu 1998)으로 차이점을 설명할 것을 제시하였다. 특히 중국어 신조어는 한의학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본 연구가 교차 언어(Cross Linguistics) 연구에 시사점을 가져다 줄 수 있기를 바란다.
Alternative Title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영어와 중국어 코로나 신조어 연구
Alternative Author(s)
HU HA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최영주
Awarded Date
2022-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Ⅰ. Introduction 1

Ⅱ. Literature Review 6
Α. Metaphorical Mapping 7
Β. Metaphorical Highlighting 9
C. Metonymic Expansion/Reduction in Metaphoric Domains 13
D. Universality and Diversity in Metaphor 18
1. Culture Universality in Metaphor 19
2. Culture Diversity in Metaphor 20
E. Conceptual Metaphor for Disease 24
1. Disease as Source Domain 24
2. Disease as Target Domain 28
F. Summary 32

Ⅲ. War Metaphor-based Neologism Related to COVID-19 in English and Chinese 34
Α. English Neologism 38
1. Frontline / Covid / Corona Warriors 38
a. Meaning Extension 38
b. Metaphorical Mapping 39
2. Zoom bombing 41
a. Meaning Extension 41
b. Metaphorical Mapping 43
3. Info-demic 47
a. Meaning Extension 47
b. Metaphorical Mapping 49
4. Bubbles 52
a. Meaning Extension 52
b. Metaphorical Mapping 55
Β. Chinese Neologism 58
1. Baiyizhanshi ‘Warriors in White’ 60
a. Meaning Extension 60
b. Metaphorical Mapping 61
2. Kangyi ‘Resist Epidemic/Anti-Epidemic’ 64
a. Meaning Extension 64
b. Metaphorical Mapping 67
C. Summary 69

Ⅳ. Journey Metaphor-based Neologism Related to COVID-19 in English and Chinese 72
Α. English Neologism 75
1. Circuit Breaker 75
a. Meaning Extension 75
b. Metaphorical Mapping 78
Β. Chinese Neologism 81
1. Rongduan ‘Circuit Breaker’ 81
a. Meaning Extension 81
b. Metaphorical Mapping 84
2. Nixingzhe ‘Countermarch People’ 85
a. Meaning Extension 85
b. Metaphorical Mapping 88
3. Houlang ‘Younger generation’ and Qianlang ‘Older generation’ 91
a. Meaning Extension 91
b. Metaphorical Mapping 94
C. Summary 99

Ⅴ. Conclusion 102
Α. Universality and Diversity 105
Β. Explanations for Universality and Diversity 107
C. Limitations 110

Reference 112

Appendices 119
Appendix A English Neologism 119
Appendix B Chinese Neologism 120
Appendix C The Character Version of Chinese Examples 121

Acknowledgement 125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후한. (2022). A Study on English and Chinese Neologism Relevant to COVID-19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emantics.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39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76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