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 성인의 외식 횟수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원주
Issued Date
2022
Keyword
한국 성인, 외식 횟수, 대사증후군
Abstract
현대 사회는 급격한 사회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식습관의 변화와 함께 외식의 횟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성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사증후군의 다양한 요인과의 관련성 연구는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다양한 요인 중에서도 식습관과 대사증후군의 관계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의 외식 횟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제7기(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연구대상은 대한민국 19세 이상 성인 총 15,579명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대상자를 외식 횟수에 따라 주 1회 미만(저빈도 외식군), 1일 1회부터 주 1회(중빈도 외식군), 하루 2회 이상(고빈도 외식군)으로 분류하였다. 분석요소는 일반적 특성(거주지역, 가구소득, 학력, 결혼 여부, 경제활동 여부, 현재 흡연여부, 1회 음주량, 유산소 신체활동, 평소 스트레스 인지정도), 다량영양소 섭취수준, 체질량지수(BMI), 대사증후군 요소(허리둘레,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혈압, 공복혈당)을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에는 Rao-Scott 카이제곱검정 및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설문특성을 반영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변수들을 통제하면서 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식 횟수는 도시 거주자, 경제활동, 가구소득 및 학력이 높을수록,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이 낮을수록, 스트레스 인지정도가 약간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외식 횟수가 증가할수록 다량영양소 섭취수준이 증가하였고 체질량지수와 대사증후군 요소의 평균수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사증후군 요소에 대한 교차비 결과 중 허리둘레는 성인 남성에서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전체와 여성 대상자에서는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외식 횟수의 증가는 성별, 연령에 따라 대사증후군과 그 구성요소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 분야에 보다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modern society, with rapid socioeconomic growth, the frequency of eating out has increased along with changes in dietary habits. Also,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adults is increasing recently. An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various factors is consistently reported. This research tries to found out a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factors and dietar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frequency of eating out.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2018. The data were a total of 15,579 subjects in Korean adults over 19 years old. And, subjects were segment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ting out as follow : less than once a week(low frequency eating out group), More than once a day, less than once a week(middle frequency eating out group), twice or more times a day(high frequency eating out group). Analysis factors are general characteristics(such as residence region,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economic activity, smoking status,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stress recognition), macronutrient intake level, BMI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The descriptive analysis, Rao-Scott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at reflects the survey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while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In conclusion, the number of eating out increased significantly as people living in cities,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higher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lower aerobic physical activity practice rate, and feeling a little stress recognition in general. And, as the frequency of eating out increased, macronutrient intake level was high, BMI and average levels of metabolic syndrome factors increased, but they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or slightly out of the normal range. Among the results of odds ratio for metabolic syndrome factors, waist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ale. On the other hand, ORs for metabolic syndrome risk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otal and female.

However, increasing in frequency of eating out had a different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depending on gender, age. Therefore, further detailed studies in this area will be needed.
Alternative Tit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Alternative Author(s)
Jeong Won J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최지영
Awarded Date
2022-08
Table Of Contents
LIST OF TABLES iii
LIST OF FIGURES v

ABSTRACT vi

Ⅰ. 서 론 1
A.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목적 6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7
A. 연구설계 7
B. 연구대상 8
C. 조사 내용 및 방법 10
1. 외식 횟수 10
2. 일반적 특성 11
3. 다량영양소 섭취수준 12
4. 건강상태 (BMI와 대사증후군 요소) 13
D. 통계분석 14

Ⅲ. 연구결과 15
A. 외식 횟수에 따른 일반적 특성 15
B. 외식 횟수에 따른 다량영양소 섭취수준 29
C. 외식 횟수에 따른 건강상태 33
1. BMI와 대사증후군 요소 33
2. 외식 횟수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38

Ⅳ. 결론 및 제언 51
A. 요약 및 결론 51
B. 제한점 및 의의 54


참고문헌 5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정원주. (2022). 한국 성인의 외식 횟수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38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4176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