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대학 태권도 겨루기선수들의 하지 근육 두께가 움직임 안정성과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경수
Issued Date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asic physical fitness test, winggate test, static stability test (FMS), dynamic stability test (Y-Balance), and ultrasound test are conducted for experiments on various factors of excellent and non-excellent athletes in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composition of training and exercise program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aekwondo Gyorugi playe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s a method for this study,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flexibility, body composition, agility, and reflexes were measured using a basic physical strength measuring device.
Only the lower extremity strength factors were identified by classifying them into deep squat, hurdle step, and inline lunge movements for static stability, and dynamic stability was classified into anterior, posterior medial, and posterior lateral movements to confirm movement stability in each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rectus femoris, vastus medial, and vastus lateralis was measured and confirmed using ultrasound equipment, and the anaerobic power of the lower extremities was measured and confirmed.
For data processing in this study, the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were calculated using SPSS 26.0, a statistical program, and independent t-test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lower extremity muscle, static stability, dynamic stability, and lower extremity anaerobic power of university Taekwondo sparring athletes. The standard significance level according to the entire data processing was set to p<.05.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confirmed as follows.
First, in the quickness of basic physical strength of excellent and non-excellent athletes in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excellent athletes were higher than non-excellent athlete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although there was an average difference in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agility of the detailed factor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econd, in the lower extremity anaerobic power of excellent and non-excellent athletes in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excellent athlet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ak power, average power, and peak power per body weight factors than non-excellent athlet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verage power per body weight and fatigue ra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rd, the muscle thickness according to the ultrasound examination of excellent and non-excellent athletes in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was higher in the rectus femoris and large medial muscle factors on average than in the non-excellent athletes, and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vastus lateralis showed an average difference,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according to the static stability test of excellent and non-excellent athletes in college Taekwond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ep squat and hurdle step among FMS tests.
Fifth, as a result of the Y-balance test for dynamic stability testing of excellent and non-excellent athletes in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excellent athletes were found to be higher on average than non-excellent athlete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Sixt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ower extremity muscle thickness, static stability, and dynamic stability of excellent athletes in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lower extremity anaerobic power factors at peak power and average power, and average power per body weigh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uscle thickness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the static and dynamic stability of non-excellent sparring athlete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naerobic power of the lower extremities only at peak power and average power.|본 연구는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실험을 위해 기초체력 검사, 윙게이트 검사(Wingate Test), 정적안정성 검사(FMS), 동적안정성 검사(Y-Balance),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경기력향상을 위한 훈련 및 운동프로그램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기초체력 측정 장비를 이용해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 민첩성, 순발력을 측정하였다.
정적안정성의 딥스쿼트, 허들스텝, 인라인런지 동작으로 구분하여 하지 근력 요인들만 확인하였으며, 동적 안정성은 전방, 후방내측, 후방외측으로 구분하여 각 방향에 따른 움직임 안정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초음파 장비를 이용해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근 두께를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하지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6.0을 이용하여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하지 근육의 두께와 정적안정성, 동적안정성, 하지 무산소성 파워의 관계를 확인해보고자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자료처리에 따른 기준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첫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기초체력의 순발력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렇지만 세부요인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민첩성의 평균적 차이는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하지 무산소파워에서는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보다 최고파워, 평균파워, 체중 당 최고파워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으며, 체중 당 평균파워와 피로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초음파 검사에 따른 근육의 두께는 대퇴직근과 내측광근요인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보다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도 나타났다. 그렇지만 외측광근은 평균적 차이는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정적안정성 검사에 따라 FMS 검사 중 딥스쿼트와 허들스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인라인런지 요인에서는 평균적 차이만 있었으며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동적안정성 검사를 위한 Y- Balance 테스트 결과 우수선수들이 비우수선수보다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도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의 하지 근 두께와 정적안정성과 동적안정성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하지 무산소성 파워 요인들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최고파워와 평균파워에서 나타났으며 체중 당 평균파워 에서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우수 겨루기 선수들의 하지 근 두께와 정적안정성 및 동적안정성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하지 무산소성 파워와는 최고파워와 평균파워에서만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Lower Extremity Muscle Thickness on Movement Stability and Anaerobic Power of University Taekwondo Kyorugi Athletes
Alternative Author(s)
Kim Kyeong-S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이계행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가설 4
4.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기초 체력 8
2. 하지 무산소성 파워 (윙게이트) 11
3. 움직임 안정성 13
4. 초음파 16

Ⅲ. 연구방법 17
1. 연구 대상 17
2. 실험설계 18
3. 측정도구 19
4. 측정방법 20
5. 자료처리 30

Ⅳ. 연구결과 31
1. 기초체력 결과 31
2. 하지 무산소 파워 결과 37
3. 초음파 검사에 따른 근 두께 결과 42
4. 정적 안정성 결과 45
5. 동적 안정성 결과 48
6. 하지 근육 두께에 따라 움직임 안정성과 하지 무산소성 파워와 상관분석 51

Ⅴ. 논 의 57
1.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들의 기초체력 차이 57
2.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들의 무산소성 파워 차이 58
3.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들의 근육의 두께 차이 60
4. 대학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정적안정성과 동적안정성 차이 61
5. 대학 태권도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겨루기선수의 근 두께와 정적안정성, 동적안정성, 하지 무산소성 파워의 관계 62

Ⅵ. 결론 및 제언 63
1. 결론 63
2. 제언 64

참고문헌 6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경수. (2022). 대학 태권도 겨루기선수들의 하지 근육 두께가 움직임 안정성과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21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678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