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고콜레스테롤 집단의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이 건강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오운용
Issued Date
2022
Keyword
고콜레스테롤, 실시간비대면운동, 복합운동, 건강체력, 혈중지질, 코로나19
Abstract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바이러스가 2019년 12월 우리나라에 처음 보고가 된 이래 국내 확진 환자 및 사망자는 꾸준히 늘고 있어 모든 산업의 대응 방식은 예전과 달라졌다. 또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 방역지침에 따라 체육시설에 집합 제한 및 입장인원수 제한 등 대한 행정명령으로 체육시설의 이용이 소극화됨에 따라 국민의 체육활동 참여 수준이 2019년 대비 14.9% 크게 감소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신체활동 부족, 포화 지방산 과다 섭취, 비만 등으로 인한 높아진 콜레스테롤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이상 지질혈증으로 심혈관계 질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2014년 기준 남성 13.9%, 여성 14.9%에서 2019년 각각 21%, 23,1%로 상승하여 꾸준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홈트레이닝을 하는 인구가 많아지고 기술력의 향상으로 온라인 트레이닝이 활성화되며 다양한 콘텐츠가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트레이닝은 비대면 트레이닝에 비해 대상자의 자세, 호흡, 표정 변화 등 세심한 피드백이 어려워 운동강도의 설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고 콜레스테롤 대상자에게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프로그램을 통해 건강체력과 혈중 지질의 효과를 규명하여 표준화된 비대면 운동프로그램 기초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12시간 이상 공복 유지 후 혈액검사 시 총콜레스테롤(TC) 200mg/dl 이상인 고콜레스테롤 대상자 20명을 선발하여 운동군 10명, 통제군 10명으로 구분하여 12주간 복합운동(맨몸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을 적용하여 건강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과 혈중지질(TC, LDL-C, HDL-C, TG)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주간의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은 고콜레스테롤 집단의 건강체력(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을 유의하게 변화시켰으며(p<.01, p<.01), 악력과 유연성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통제군은 모든 변인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2. 12주간의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은 고콜레스테롤 집단의 혈중지질(TC, LDL-C, TG)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5, p<.05, p<.05) HDL-C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감소가 보였다(p<.05), 통제군은 모든 변인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위와 같은 결론으로 종합해 보면 고콜레스테롤 집단 12주간의 복합운동은 건강체력 중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고 혈중지질 중 TC, LDL-C, TG를 감소시켰다. 또한 HDL-C의 감소가 보였지만 이는 정상 범위에서의 감소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은 건강체력 향상과 혈중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어 고콜레스테롤 대상자에게 권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In this study, 20 high-cholesterol subjects with a total cholesterol (TC) of 200 mg/dl or higher during blood test after fasting for more than 12 hours were divided into 10 subjects in the exercise group and 10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body strength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was applied to measure health fitnes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blood lipids (TC, LDL-C, HDL-C, TG), The result is as follows.
Real-time non-face-to-face compound exercise for 12 weeks significantly changed the health fitness (muscle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of the high cholesterol group (p<.01, p<.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grip strength and flexi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grip strength, muscle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variables in the control group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exibility as it decreased. And the blood lipids (TC, LDL-C, TG) of the high cholesterol group were significantly changed (p<.05, p<.05, p<.05,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ll variables in the control group (p>.05).
In conclusion, combined exercise for 12 weeks in the high cholesterol group improved muscular endurance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n healthy physical fitness, and decreased TC, LDL-C, and TG in blood lipids. In addition, although a decrease in HDL-C was observed, it is judged to be a decrease in the normal rang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real-time non-face-to-face complex exercise is effective in improving health and improving blood lipids, so it can be suggested as a program that can be recommended for high cholesterol subject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Real-time Non-face-to-face Complex Exercise in High Cholesterol Group on Health Fitness and Blood Lipids
Alternative Author(s)
Oh, Un Yo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대학원 보건체육학과
Advisor
서영환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연구의 가설 4
D.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코로나19와 신체활동 6
B. 복합운동과 건강체력 8
C. 고콜레스테롤과 운동 10

Ⅲ. 연구 방법 12
A. 연구대상 12
B. 측정항목 및 방법 13
C. 연구 절차 16
D. 운동진행 방법 17
E. 측정 도구 21
F. 자료처리 22

Ⅳ. 연구 결과 23
A. 건강체력의 변화 23
B. 혈중지질의 변화 28

Ⅴ. 논 의 32
A. 건강체력의 변화 32
B. 혈중지질의 변화 35

Ⅵ. 결 론 38

참고문헌 40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Citation
오운용. (2022). 고콜레스테롤 집단의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이 건강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15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922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Parmacy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