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단호박, 늙은호박 및 땅콩호박의 영양 성분 및 항산화 효과 비교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가람
Issued Date
2022
Abstract
Recently, various health problems have emerged in Korea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restaurant industry and the westernization of diet. Especially, cardiovascular diseases are mo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likely to lead to chronic diseases if no clear symptoms appear. Kobacha squash is rich in various vitamins and minerals, which lowers cholesterol levels in the body to prevent vascular and adult diseases. It also acts as an antioxidant to prevent skin aging and helps to prevent cancer. Pumpkins, like Kobacha squashes, work to reduce cholesterol. It is also rich in potassium, which helps blood circulation. In particular, pumpkins have excellent diuretic and detoxifying effects, which are often used to remove edema. Finally, Butternut squashes are known to have been first developed and cultiv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are known in Korea as 'Butternut squash' because they resemble peanuts. Butternut squash contains four times more beta-carotene than Kobacha squash and also contains a lot of vitamin A, which helps prevent aging and protect eyesight. As Butternut squashes are cultivated in Korea,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m, but no comparison of pumpkins has been conducted yet. Therefore, in this study, Antioxidant effects and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Kobacha squash, Pumpkin, and Butternut squash were compared. In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is, free amino acids, fatty acids, organic acids, general components, minerals, vitamins, color, pH, and sugar content were measured. In addition, the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lso investigated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DPPH and ABTs.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the highest in Pumpkin, and crude ash was the highest in Butternut squash, and carbohydrate was the highest in Koacha squash.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umpkins. aspartic acid, threonine, asparag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valine, alanine, methionene, leucine, isoleucine, γ-amino-n-butyric acid, histidine contents were highest in Pumpkin, while tyrosine and araginine in Kobacah squash, but Phenylalanine and Lysine were the highest in Butternut squash. The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 was also high in Pumpkin,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highest in Kobacha squash,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highest in Butternut squash. However, if you look at the total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Kobacha squash was the highest.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Citric acid, Malic acid and Succinic acid. Succinic acid was only detected in Pumpkin. It was thought that all kinds of Pumpkin would contain the most vitamin A, but only Kobacha squash had the highest vitamin A content, and Pumpkin and Butternut squash had the highest vitamin C content. The mineral contents in Kobacha squash, K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a, Mg, Fe, Na, Zn, Cu, Mn. K in Pumpkin was also the highest followed by Mg, Ca, Fe, Zn, Na, Cu, Mn. Finally, K in Butternut squash was also highest followed by Ca, Mg, Zn, Fe, Cu, Mn, Na. Values of L and a were the highest in Pumpkins, and values of b was the highest in Butternut squash. pH values and °Brix of raw and powder were highest in Kobacha squas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However,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followed by Pumpkins, Kobacha squash, and Butternut squash, with noticeable differences. Butternut squash showed the low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all concentrations,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Kobacha squash and Pumpkins based on the concentrati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highest in the order of old pumpkin, peanut pumpkin, and sweet pumpkin. These results can provide basic data for various studies using Pumpkins in the future.|최근 우리나라는 외식산업의 발달,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건강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특히 심혈관계 질환은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만성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단호박에는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체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혈관질환 및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산화기능을 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며 암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늙은호박 또한 단호박과 마찬가지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칼륨이 풍부해서 혈액순환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호박은 이뇨작용과 해독작용이 뛰어나 부종을 빼는 데 많이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땅콩호박은 미국에서 최초로 개발 및 재배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땅콩을 닮았다하여 ‘땅콩홍박’으로 알려져 있다. 땅콩호박은 단호박에 비해 베타카로틴이 4배가량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A 또한 많이 들어 있어 노화방지와 시력 보호 등에 도움이 된다. 땅콩호박이 국내에서 재배됨에 따라 그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호박들을 비교하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단호박, 늙은호박, 땅콩호박의 영양성분과 항산화효과를 비교했다. 영양성분 분석에서는 일반성분,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유기산, 비타민, 무기질, 색도, pH 및 당분 함량이 측정되었다. 또한 항산화 활동 분석에서는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및 ABTS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의 함량은 늙은호박에서 가장 높았으며 조회분은 땅콩호박에서 탄수화물 함량은 단호박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늙은호박에서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아스파르트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발린, 알라신, 메티오닌, 루신, 이소루신, γ-아미노-부티르산, 히스티딘 함량은 늙은호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티로신과 아르기닌은 단호박에서, 페닐알라닌과 리신은 땅콩호박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포화지방산 함량 또한 늙은호박에서 높았으며 단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단호박,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땅콩호박에서 가장 높았다. 하지만 불포화지방산의 총 함량을 살펴보면 단호박에서 가장 높았다. 주요 유기산은 시트르산, 말릭산, 숙신산 이었다. 숙신산은 늙은호박에서만 검출되었다. 모든 종류의 호박에 비타민 A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단호박만 비타민 A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늙은호박과 땅콩호박은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단호박에서는 K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Ca, Mg, Fe, Na, Zn, Cu, Mn이 그 뒤를 이었다. 늙은호박에서도 K이 가장 높았고 Mg, Ca, Fe, Zn, Na, Cu, Mn이 그 뒤를 이었다. 마지막으로 땅콩호박에서도 K이 가장 높았고 Ca, Mg, Zn, Fe, Cu, Mn, Na가 그 뒤를 이었다. 명도와 적색도는 늙은호박에서 가장 높았으며 황색도는 땅콩호박에서 가장 높았다. pH와 원물 및 가루 형태의 브릭스는 단호박에서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늙은호박, 단호박, 땅콩호박 순이었으며 눈에 띄는 차이 또한 보였다. DPPH 소거능은 모든 농도에서 땅콩호박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단호박과 늙은호박은 농도를 기준으로 차이가 있었다. ABTS 소거능은 늙은호박, 땅콩호박, 단호박 순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호박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Alternative Title
Comparison of Nutrie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bacha squash, Pumpkin and Butternut squash
Alternative Author(s)
Lee Ka-Ram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이재준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LIST OF TABLES Ⅳ
LIST OF FIGURES Ⅵ
ABSTRACT Ⅶ

제 1장 서론 1

제 2장 실험 재료 및 방법 4
제 1절 실험준비 4
제 2절 이화학적 성분분석 5
1. 일반성분 분석 5
2. 유리 아미노산 분석 6
3. 지방산 분석 7
4. 유기산 분석 8
5. 비타민 분석 9
6. 무기질 분석 11
7. 색도 측정 12
8. pH 측정 12
9. 당도 측정 12
제 3절 항산화 효과 측정 13
1. 단호박, 늙은호박, 땅콩호박의 에탄올 추출 13
2. 총 polyphenol 함량 측정 13
3. 총 flavonoid 함량 측정 14
4.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14
5.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15
6. 통계처리 15

제 3장 실험 결과 및 고찰 16
제 1절 이화학적 성분 분석 16
1. 일반성분 16
2. 유리 아미노산 18
3. 지방산 20
4. 유기산 22
5. 비타민 23
6. 무기질 24
7. 색도 25
8. pH 및 당도 27
제 2절 항산화 효과 측정 28
1. 추출수율 28
2. 총 polyphenol 함량 29
3. 총 flavonoid 함량 30
4. DPPH radical 소거능 31
5. ABTS radical 소거능 34

제 4장 요약 및 결론 37

제 5장 참고문헌 3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가람. (2022). 단호박, 늙은호박 및 땅콩호박의 영양 성분 및 항산화 효과 비교.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11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841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