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미세먼지에 대한 중학생들의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민후
Issued Date
2021
Keyword
미세먼지 지식, 미세먼지 태도, 미세먼지 실천, 미세먼지 교육, Knowledge of fine dust, attitude of fine dust, practice of fine dust, fine dust education
Abstract
본 논문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미세먼지에 대한 태도, 그리고 미세먼지에 대한 실천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서울, 원주, 완도 이렇게 세 개의 지역에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는 표본 구성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함이고 이러한 노력의 결과는 연구 결과에 신빙성을 더해주었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과 미세먼지에 대한 태도가 궁극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남자의 경우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미세먼지에 대한 실천으로 이어지는 정도가 여자에 비하여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세먼지 농도가 심한 지역이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에 비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미세먼지에 대한 실천으로 이어지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에게 미세먼지에 대한 교육을 보다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세먼지에 대한 교육 시에 남학생들에 대한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셋째, 미세먼지 농도가 심한 지역과 덜한 지역 간에 미세먼지 지식과 태도가 미세먼지 실천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남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심한 지역과 덜한 지역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 할 때,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교육 횟수나 교육 방법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의 환경오염으로 인한 미세먼지 악화에 대응하기 위한 현실적인 교육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많은 표본 수와 다양한 지역에서 자료를 획득한 후 이를 실증분석을 통해 유용한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객관성을 향상시켰다.
본 논문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기술· 가정 교과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내용을 교육과정에 추가한다면 자연스럽게 중학생들에 대한 미세먼지 교육이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교육계에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사용하여 새로운 교육정책 입안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ed research resul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the knowledge of fine dust, attitude toward fine dust, and practice of fine dus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in three regions, Seoul, Wonju, and Wando, to collect data, which was aimed at securing the objectivity of the sample composition, and the results of these efforts added credibility to the findings.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We found that knowledge of fine dust and attitudes toward fine dust ultimatel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actice of fine dust. In addition, in the case of men, the degree of knowledge and attitude on fine dust leads to practice on fine dust is lower than that of women. In addition, the degree of knowledge and attitude on fine dust leads to practice of fine dust compared to areas where fine dust concentration is low.
The suggestion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ducation on fine du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care should be paid to the management of male students when educating about fine dust. Third, as the influence of fine dust knowledge and attitudes on fine dust practice is different between areas with high and low fine dust concentrations, I think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points and different education methods.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realistic educational information to cope with the deterioration of fine dust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earth. Second, we improved the objectivity of our findings by acquiring large numbers of samples and data in various regions and presenting useful research resul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ne dust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expected to be strengthened naturally if fine dust content is added to the curriculum in technology and home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community will be able to use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o formulate new education policie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Fine Dust
Alternative Author(s)
Jeong Min-H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기술.가정교육
Advisor
곽재복
Awarded Date
2021-08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ⅷ
ABSTRACT ⅺ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주제 3
3. 연구의 한계점 4
4. 용어 정의 5
가. 미세먼지 5
나.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5
다. 미세먼지에 대한 태도 6
라. 미세먼지에 대한 실천 6

Ⅱ. 이론적 배경 7
1. 미세먼지 특성과 발생원 7
가. 먼지와 미세먼지 7
나. 미세먼지 성분 7
다. 미세먼지 발생원 8
2.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9
가. 미세먼지의 위해성 9
나.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질환 10
3. 미세먼지 관련 교육부 정책 및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미세먼지 관련 교육 내용 11
가. 미세먼지 관련 교육부 정책 11
나.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미세먼지 관련 교육 내용 13
4. 선행연구 고찰 1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9
1. 분석 대상 19
2. 설문조사 지역 선정 근거 20
3. 분석 자료의 처리방법 21

Ⅳ. 연구 결과 24
1. 연구도구의 신뢰도 분석 24
2. 각 항목에 대한 인식수준 분석 25
가.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25
나. 미세먼지에 대한 태도 27
다. 미세먼지에 대한 실천 28
라. 중학생들의 교내 미세먼지 관련 필요 요구 정도 30
3.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30
4. 배경 변인에 따른 미세먼지의 차이 분석 31
가. 배경 변인에 따른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차이 분석 31
나. 배경 변인에 따른 미세먼지에 대한 태도 차이 분석 34
다. 배경 변인에 따른 미세먼지에 대한 실천 차이 분석 36
5. 미세먼지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38
가. 미세먼지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8
나. 미세먼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9
다. 미세먼지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
라. 미세먼지 지식과 미세먼지 태도가 미세먼지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42

Ⅴ.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44

Ⅳ.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50

부록 5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정민후. (2021). 미세먼지에 대한 중학생들의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95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9669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8-2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