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에서 표현활동 태도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태희
Issued Date
2017
Abstract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Expressive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Kim, Tae-Hee
Advisor : Lim Jihyeong
Major in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perceived interaction with their teachers on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middle school dance classes through attitude toward dance. Subjects were 312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2-3 grad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measur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attitude toward dance,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one-way MANOVA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 as:

Firs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 in students’ perception of interactions with their teachers, attitude toward dance,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roximity to teachers had an influence to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via usefulness, but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as cognitive attitud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ximity to teachers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Third, the perception of joyfulness as emotional attitud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ximity to teachers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in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roximity to teachers had an influence to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via joyfulness.
Fourth,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influence to teachers had an influence to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via usefulness, but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as cognitive attitud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ximity to teachers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Fifth, the perception of joyfulness as emotional attitud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 to teachers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in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influence to teachers had only an influence to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via useful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can develop a positive attitude toward dance when dance teachers provide their students with giving much more responsibility, positive feedbacks, sympathy, and consideration.


Key words: expressive activity, attitude,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tention, dance education
|국문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무용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무용에 대한 태도를 통해서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3학년 중학생 312명이며, 자료는 교사-학생 상호작용, 무용태도 및 수업참여의도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 다변량 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다음은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이다.

첫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와의 상호작용, 무용에 대한 태도, 그리고 수업참여의도 수준은 남녀 중학생 간에 차이가 없다.
둘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의 근접성은 유용성을 통해 수업참여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무용에 대한 인지적 태도로서 유용성 지각은 무용교사의 근접성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다.
셋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의 근접성은 즐거움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업참여의도를 촉진시킴으로서 정서적 태도인 즐거움 지각이 무용교사의 근접성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의 영향력은 유용성을 통해 수업참여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무용에 대한 인지적 태도로서 유용성 지각은 무용교사의 영향력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다.
다섯째, 중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사의 영향력은 즐거움을 통해서만 수업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정서적 태도인 즐거움 지각이 무용교사의 영향력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본 결과는 무용교사가 학생들에게 심리적 압박과 강요 대신에 책임감부여와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 그리고 보다 더 많은 배려와 공감대 형성이 학생들에게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표현활동, 태도, 교사-학생 상호작용, 의도, 무용교육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Expressive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Intention of Class Participation
Alternative Author(s)
kim, Tas-Hee
Department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Advisor
임지형
Awarded Date
2017-08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가설 3
3. 연구의 제한점 5
4. 용어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교사-학생 상호작용 7
2. 무용 태도 9
3. 수업 참여의도 12

Ⅲ. 연구 방법 14
1. 연구대상 14
2. 조사도구 15
3. 연구절차 19
4. 자료분석 19


Ⅳ. 연구 결과 21
1. 기술통계 21
2. 이원 다변량분석 21
3. 상관분석 22
4.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23

Ⅴ. 논의 29
1.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 29
2. 무용 태도의 매개효과 30
Ⅵ. 결론 및 제언 34
1. 결론 34
2. 제언 35

참고문헌 37
부록: 설문지 4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김태희. (2017).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수업참여의도간의 관계에서 표현활동 태도의 매개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10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298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