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나지인
Issued Date
2016
Keyword
자연물, 점토
Abstract
ABSTRACT

The Effects of Activities Involving Use of Clay and Natural Objects on the Social-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Na, Ji-in

Advisor: Prof. Seo, Hyun, Ed. D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ities with clay accompanied by the use of natural objects on the social-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and through this, to reconsider the role of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eld. In other words, this study involves letting infants broadly experience activities with clay by utilizing natural objects, instead of an activity that is limited to a specific approach to clay, and providing infants eco-friendly toys and experience working with objects obtained from nature. For this purpose, we set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activities with clay accompanied by the use of natural objects on the socio-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2. What are the effects of activities with clay accompanied by the use of natural objects on the posi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3. What are the effects of activities with clay accompanied by the use of natural objects on the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i.e., externalizing problems and internalizing problems)?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 selected the 2 year old classroom of G daycare center in city G;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1, consisting of 17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infants in the control group. For the testing tool, we used the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 (ITSEA) developed by Briggs-Gowan & Carter (2001) and adapted and modified by Shin J Y (2004). Subcategorizes of social-emotional behavior include posi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s), and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a pilot study, the pilot experiment/pilot test, examiner (teacher) training,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post-test, and data processing. In the pre-test on social-emotional behavio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us, we confirmed that the two groups were homogeneous.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i.e., Mondays and Wednesdays) for 6 weeks from August 10 to September 16,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with clay that utilized natural objects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with clay based on the theme of daily lif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ities with clay that utilized natural objects on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for the pre- and post-tests, and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performed as well.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interpreted that activities with clay that utilize natural objec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 This is becaus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the subcategories of social-emotional behavior, i.e., posi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s), and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activities with clay that utilize natural object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
Seco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activities with clay that utilize natural objec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infants’ posi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This is because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the subareas of posi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i.e., obedience, imitation and play, motivation, empathy, and pro-social peer relationships;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activities with clay that utilize natural object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fants’ posi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Third, it can be interpreted that activities with clay that utilize natural objects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the infants’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This is because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the subareas of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s) and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s), i.e., activeness-impulsiveness, depression-withdrawal, separation anxiety, and resistance to new things.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activities with clay that utilize natural objects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fants’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activities with clay accompanied by the use of natural objects improve the social-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activities with clay that utilize natural objects can be valuable in a childcare setting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use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
|논문개요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나지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 서현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현장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역할에 대한 재고 즉, 점토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방법과 점토로만 제한된 활동이 아닌 자연물을 활용하여 좀 더 폭넓게 점토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며, 자연 속에서 얻어진 자연물을 가지고 활동하는 경험을 통하여 자연 친화적인 놀잇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3.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부정적 사회·정서적 행동(외현적 문제, 내면적 문제)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G시 소재하고 있는 G 어린이집의 만 2세반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7명과 비교집단 14명 총 31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Briggs-Gowan&Carter(2001)가 개발하고, 신지연(2004)이 번안, 수정한 영아기 사회·정서 측정 도구(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 : ITSEA)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정서적 행동 하위영역은 사회·정서적 긍정 행동, 사회·정서적 부정 행동(외현적 문제), 사회·정서적 부정 행동(내면적 문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 예비실험 및 예비검사, 검사자(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 검사, 자료처리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회·정서적 행동에 대한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처치는 8월 10일부터 9월 16일까지 매주 2회(월요일과 수요일)씩, 6주 동안 총 12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을 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점토활동을 실시하였다.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유의미하게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사회·정서적 행동의 하위영역 사회·정서적 긍정 행동, 사회·정서적 부정 행동(외현적 문제), 사회·정서적 부정 행동(내면적 문제)에서 실험집단의 영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적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하게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사회·정서적 긍정행동의 하위 영역 순종, 모방 및 놀이, 동기, 감정이입, 친사회적 또래관계에서 실험집단의 영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긍정 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부정적 사회·정서적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하게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사회·정서적 부정 행동(외현적 문제), 사회·정서적 부정 행동(내면적 문제)의 하위영역 활동·충동성, 우울·위축, 분리불안, 새로운 것에 대한 억제에서 실험집단의 영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부정 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 활동은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향상에 의미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보육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Activities Involving Use of Clay and Natural Objects on the Social-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Alternative Author(s)
Na, Ji-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Advisor
서현
Awarded Date
2016-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자연물 7
B. 점토 11
C.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 활동 20
D.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25
E. 선행 연구 39

Ⅲ. 연구 방법 46
A. 연구 대상 46
B. 실험 설계 46
C. 연구 도구 47
D. 연구 절차 59
E. 자료 처리 71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72
A.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72
B.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73
C.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부정적 사회·정서적
행동(외현적 문제, 내면적 문제)에 미치는 효과 83

Ⅴ. 논의 및 제언 98
A. 논의 및 결론 98
B. 제언 108

【참고문헌】 110
【부록】 12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나지인. (2016). 자연물을 활용한 점토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01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776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