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수록된 재료사용 현황과 발전방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송혜진
Issued Date
2015
Abstract
The curriculum for the subject of art in middle school has had diverse changes due to art educational trends in the west and was first introduced during the 1st curriculum perio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t aimed to nurture students with all-around personalities who can understand subjects with aesthetic sensibility and intuition, enjoy life creatively, and inherit and develop art.
Recently, the materials and instruments which are used in art class have developed a lot in type and quality. However, there is little significant change in the art materials which are presented in real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rt programs. From this perspective, new attempt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grams in materials for creative art education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materials used in students' art works presented in existing textbooks and speculated on the current status of what materials are used most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these materials.
Chapter 2 analysed the use of materials and the creative expression presented in the present art curriculum. The materials in seven different kinds of art textbook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in types: natural, recycled and ready-made to analyze students' art works and their creative expression. In looking at art works made with different materials, art works created using different materials give different feelings respectively. Chapter 3 analysed the use of materials in the 2007 revised art textbooks. The materials in the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s were divided according to area and what materials were used the most were presented with statistics using tables and graphs. Also, presented was how different materials are used in art textbooks in our country and in other countries, and materials in art textbooks in Japan and the U.S.A. were analysed and compared.
Chapter 4 looked at the problems in art textbooks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and problems with materials presented in art textbooks, and ways to overcome them. Then methods to improve teaching and education were researched to help students concentrate on art education further and have better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developmental strategies in the use of materials:
First, the materials in each area should be diverse.
Second, art textbooks and teaching manuals should be improved.
Third, education on the use of appropriate materials and safety in their use should be presented.
Fourth,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hould be used.
To activate art class through using creative and diverse materials, de-materialization should be expanded, and a survey for materials and education on the use of appropriate materials for art class is needed. An art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nurture creativity through using diverse materials in which students can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be healed, and research on more effective programs should be continuous.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흐름은 제1차 교육과정 시기에 서구의 미술교육사조를 처음으로 도입한 이래로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 다양한 변화가 있었으며,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적 감수성과 직관으로 대상을 이해하고 삶을 창의적으로 향유하며 미술 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최근 미술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와 용구 또한 그 종류와 품질 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실제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제시된 미술재료들을 보면 큰 변화가 없다. 이러한 시점에서 창의적인 미술교육을 위한 재료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와 교육환경,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교과서에서 제시된 학생작품들의 재료 사용을 알아보고 어떠한 재료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지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미술교육과정에서의 재료 사용과 창의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7종의 미술교과서의 재료를 3가지 자연물, 재활용품, 기성재료로 나누어 학생작품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창의적 표현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재료에 따른 작품 사례들을 보며 다양한 재료에 따라 표현기법들이 다르고 작품들의 느낌이 달라진다.
3장에서는 2007년 개정 미술 교과서의 재료사용 분석을 하였다.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재료를 영역별로 나누어 분석을 하고 각 영역에서 어떠한 재료들을 많이 사용하는지 통계를 내어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미술교과서 재료 활용은 어떻게 다른지 일본과 미국의 미술교과서의 재료분석을 알아보고 비교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미술교과서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모색하였다. 미술교과서의 재료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에는 어떤 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수업지도 개선방안을 모색해 학습자들의 미술교육에 더욱 집중할 수 있고 더 나은 교육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개선방안들을 모색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료 사용현황에 발전방향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영역별 재료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둘째, 미술교과서와 지도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적절한 재료 사용 및 활용 이해와 안전 교육이 제시되어야한다.
넷째, 자연과 친근한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이런 교육적 의의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다양한 재료 수업의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시대에 맞는 탈재료화 시도를 확대하고 재료에 대한 조사와 교사와 학생의 적절한 재료 사용 및 활용 이해의 교육이 필요하다. 다양한 재료의 수업을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발현하게하고 더 나아가 미술을 통해 사화와 소통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돕고 인재를 키울 수 있는 과정으로 발전시켜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의 연구와 활성화를 위해 연구는 지속되어야 한다.
Alternative Title
Status report on material use stated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 and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t
Alternative Author(s)
Song hae j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김종경
Awarded Date
2015-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Ⅰ. 서론
제1절 연구목적과 의의 1
제2절 연구방법과 범위 3

Ⅱ. 재료활용과 미술수업의 조건
제1절 재료 선택의 중요성 4
제2절 재료와 표현가능성 5
제3절 미술 수업의 조건 6

Ⅲ. 미술 교과서 재료사용 분석
제1절 중학교 미술교육과정 표현재료 현황 7
(1)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재료 영역별 내용 분석 7
(2) 분석결과 37
제2절 다른 사례 연구 39
(1) 일본 미술 교과서 재료분석 39
(2) 미국 미술 교과서 재료분석 43

Ⅳ. 미술교육과정에서의 재료 사용과 표현 기법
제1절 자연물 재료 종류와 미술표현 47
제2절 재활용품 재료 활용과 미술표현 48
제3절 기성재료 종류와 미술표현 49
제4절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 50
제5절 재료에 따른 작품 사례 59

Ⅴ. 미술교과서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모색
제1절 미술교과서의 재료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64
제2절 수업지도 개선방안 모색 69

Ⅵ. 결론
참고문헌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송혜진. (2015).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수록된 재료사용 현황과 발전방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89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112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5-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