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음악줄넘기 운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수진
Issued Date
2013
Keyword
음악줄넘기, 지적장애, 문제행동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교에 통합된 지적장애 학생들의 공격성, 비행, 충동성과 같은 외현화 문제행동과 소극적 행동, 불안, 우울 등의 위축된 행동과 같은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려는 실험연구이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인천광역시의 A고등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특수학급 담당교사, 일반학급 담당교사가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을 나타낸다고 의뢰된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구성은 음악줄넘기 지도자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가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체육교사들의 검증과 재구성을 통해 15회기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반전설계를 적용해 25회기의 실험을 구성하였으며, 문제행동 빈도수를 측정하여 결과를 산출했다. 이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줄넘기 운동은 지적장애 학생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음악줄넘기 운동은 음악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시키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져다준다. 또한 리듬에 맞추어 줄을 넘으며 여러 춤 동작들을 같이 함으로써 에너지를 분출하게 해주고 체력향상을 할 수 있게 한다. 짝 줄넘기를 통한 협동학습으로 대인 관계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친구를 때리는 시늉을 하거나 물건을 던지는 행동, 쉽게 흥분을 하며,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해 착석조차 하지 못하는 행동, 교사에게 반항을 하거나 큰 소리로 언성을 높여 주변 친구들이 상대적으로 위축되게 만드는 언어적 공격행동 등의 외현화 문제행동들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줄넘기 운동은 지적장애 학생의 내재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음악줄넘기 운동이 줄이라는 장애물을 뛰어넘어야 하는 운동으로, 변화 있는 동작을 하며 줄에 걸리지 않고 뛰기를 계속 도전하기 때문에 의지력과 인내심을 기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말을 할 때 말꼬리를 흐리며, 목소리를 과도하게 작게 내는 경우, 특이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보이는 상동적인 행동, 사람들 앞에서 말을 해야 할 때 말을 하지 못하고 안절부절 하는 행동 등의 내재화 행동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재화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 중 한명은 기초선 Ⅰ과 중재Ⅰ, 기초선 Ⅱ기간에 문제행동 평균 빈도수가 거의 비슷하였고, 마지막 중재 Ⅱ기간에서만 문제행동 빈도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만을 통해 문제행동이 감소했다고 결론내리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 이유는 학생에게 다른 심리적인 변화나 환경적인 변인들이 영향을 주어 내재화 문제행동이 감소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면 결과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단기간의 중재만으로도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내재화 문제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Music Jump Rope' to the problem behavior in both external behavior problems such as aggression, juvenile delinquency, impulsiveness and internal behavior problems like passive behavior, anxiety, depr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four handicapped students from a High School. They were select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n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de their decision based on the student’s external and internal behavior problems.
Music Jump Rope Exercise Program was designed by a researcher, licensed in Music Jump Rope; which was also verified and restructured b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this group of students 15 sets of the exercise will be conducted. This study will use a reversal design, and a total of 25 sets will be conducted, in which the frequency of behavior problems will be calculated. The final conclusion of this experiment is as follows:
Music Jump Rope exercise successfully helps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with decreasing their external behavior problems. The beneficial effects of Music Jump Rope were that: music used in the program enhanced their interest and stabilized their psychological behavior; students were able to spend their energy while jumping and dancing, while also gaining some physical strength; and through the cooperative learning, students enhanced their ability to have better personal relationships.
Students with external behavior problems were also positively affected, after taking part in the Music Jump Rope program. These changes showed that Music Jump Rope can help them decrease the frequency in which bad behaviors occurred. For example: hitting or throwing objects at fellow classmates and teachers; getting upset easily and unable to settle down for a period of time; and intimidating students by raising their voice, saying bad words, and disobeying their teachers.
Music Jump Rope Exercise Program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the internal problematic behavior of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willpower and patience since they had to keep challenging themselves by jumping while also changing their poses. Therefore, the results showed a decrease on following behaviors: repeating an action constantly; mumbling the end of sentences and/or lowering their voices down excessively; and the inability to speak in front of people and being excessively nervous.
However, there was an exceptional result from one student. The frequency of his problematic behavior during the stage of base line 1, intervention 1, and base line 2 were quite similar. During his second intervention set his problematic behaviors started to decrease in frequency. Considering that the change of one's mentality and environment could affect the decrease of their internal behavior problem, it is hard to conclude that his problematic behavior got better only from the Music Jump Rope Exercise.
In conclusion, Music Jump Rope Exercise can possibly influence students who have external behavior problems to behave positive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starting the exercise program; students with internal behavior problems also showed improvements after taking part in the program. Though there were improvements conclusive results will not be possible until a longer study is conducted.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 of 'Music Jump Rope Exercise' on The Problematic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ternative Author(s)
Park, Soo J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Advisor
김정연
Awarded Date
2013-08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Ⅴ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지적장애학생의 정의와 특성 6
2.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 7
3. 음악줄넘기 운동 10
4. 선행연구 12

Ⅲ. 연구방법 15
1. 연구참여자 15
2. 실험 장소 및 기간 17
3. 측정 도구 18
4. 연구 설계 및 절차 21
5. 관찰 및 측정 32
6. 관찰자간 신뢰도 32
7. 중재충실도 33

Ⅳ. 연구 결과 34
1.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34
2.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36

Ⅴ. 논의 및 제언 38
1. 결론 및 논의 38
2.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41

참고문헌 43

ABSTRACT 46

부록 4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수진. (2013). 음악줄넘기 운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63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047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3-08-2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