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학교 1학년 학생의 변성기를 고려한 가창지도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경천
Issued Date
2012
Abstract
오늘날 한국의 교육은 바람직하게도 지(智)․정(情)․행(行)에 기초하여 조화로운 인격을 구비한 전인교육을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예술 교육의 중요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예술 교육은 예능과 창의력을 배양하고 풍부한 정서를 지닌 조화로운 인격 형성과 더불어 국가의 훌륭한 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술 교육에 있어서 특히 가창(성악)교육은 청소년의 정서와 문화 함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매우 유용하기도 하다. 실제로 청소년들의 경우, 가창과 음악 감상 없이는 삶의 의미가 없을 정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 나아가 청소년들은 유명한 가수나 성악가들처럼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 부르기를 희구한다. 그러나 그들은 변성기 때문에 노래를 부를 때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그들의 가창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사춘기에 처해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의 변성기를 고려한 가창지도 방법론 연구를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성인에 비하여 육체적․심리적으로 덜 성숙한 사춘기 현상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주지의 사실처럼 청소년들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그들의 신체는 급속도로 성장․변화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특히 가창과 관련해서 볼 때 그들의 목소리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그들의 목이 상처받을 것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이때에는 학생의 부모와 교사(특히 음악교사)가 우선적으로 그 학생의 목소리의 안전을 지켜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변성기의 학생들에게는 당분간 노래를 많이 부르지 않도록 할 것이며 그 대신 음악을 청취하게 하거나 악기를 다루는 방향으로 유도하며 비디오 아트(video art)를 즐기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창능력 신장을 위해 가능한 한 다음과 같은 최소한의 연습은 매일 요구된다. 즉, 좋은 자세 갖기, 바른 호흡법, 조심스러운 발성 연습, 조음 또는 딕션 등은 계속되어야 한다. 이 가운데서 호흡법은 가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임을 명심해야 한다. 그래서 Lisa Roma는 좋은 호흡법은 과학적 가창법의 95%를 차지하고 나머지 기법은 5%에 불과하다고 말했을 것이다. 물론 가창의 유형과 기법은 다양하지만 변성기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교사가 학생들을 처음 만났을 때 학생들의 개별 음성 체크는 필수라고 생각되며 주로 제창(unison)을 하되 독창, 2부 합창까지는 연습을 시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가창이란 두 요소, 즉 소리와 가사의 결합이므로 가창자는 고운소리와 더불어 가사의 정확한 발음을 통해 가창력을 유감없이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변성기 학생에 대한 가창지도는 목적론적 혹은 방법론적으로 적극성보다는 소극적일 필요가 있다.
변성기에 처한 학생들을 향한 가창지도가 각별해야 하듯이 그와 비슷한 처지에 있는 다른 부류의 청소년들, 특히 소위 ‘음치’라고 일컬어지는 학생들에게도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물론 이 두 부류는 구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음치’란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다수의 변성기 학생들과 더불어 소수의 음치아들에 대한 배려도 잊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특별히 음악지도를 담당한 음악교사는 이 두 그룹의 독특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려하면서 학급 학생 전체가 성악시간을 즐겁게 향유할 수 있도록 세심한 지도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Alternative Title
A Research of the Guidance on the Singing Techniques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Considering the Age of the Change of Voice
Alternative Author(s)
Kyungchon Kim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박계
Awarded Date
2013-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1.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범위 및 절차 3
1.3. 선행 연구의 고찰 4

2. 이론적 배경 7
2.1. 중학교 음악과의 성격, 목표 및 내용 체계 7
2.2. 성악의 기본 개념과 가창의 연주 형태 10
2.3. 변성기 중학생의 특징과 발성문제 15

3. 변성기 학생 가창 지도 방안 21
1. 변성기 중학생을 위한 가창 지도 방법론 21
2. 중학교 1학년 음악수업의 실제 37

Ⅳ. 결론 및 제언 39

참 고 문 헌
부 록 : 2012학년도 교육실습 수업 공개안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경천. (2012). 중학교 1학년 학생의 변성기를 고려한 가창지도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59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797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3-01-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