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청각장애중학교 미술과 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Metadata Downloads
Author(s)
장혜원
Issued Date
2010
Keyword
청각장애중학교 미술|교육운영 실태
Abstract
본 연구는 청각장애중학교 미술과 교육운영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의 청각장애학교 19개교의 중학교 미술담당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심층질문지를 통해 실시된 조사연구로, 청각장애중학교 미술교과운영, 미술지도방법, 미술교육환경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 보고자 한 것이다. 회수된 19명(100%)의 설문지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x²검정( 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여 문항별 분포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중학교 미술교과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결과 미술교육의 주안점을 창의적 표현능력신장과 정서·인성 함양에 두었으며,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교수방법으로 나타났다. 교수적 수정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일반교육과정에 맞추어 수업하므로 교수적 수정이 필요 없다고 하였으며,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방법이 수정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개별화 교육은 잘 실시되고 있었으나 교수적 수정 방법으로 시간조절과 부분적 도움의 방법만을 사용하고 있어서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술지도방법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결과 감상영역 지도 시 이해도가 낮은 이유는 언어능력부족과 직접체험의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이므로 미술관 직접체험의 기회 확대와 시각자료가 다양하게 제시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표현영역 지도는 통제와 자율성을 혼영한 수업방법을 했지만 교사의 상호소통문제와 시각자료제시가 미흡하여 학생들의 창의성이 떨어지므로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작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감상 평가는 미술용어, 감상문 쓰기,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학생들이 느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 감상기회를 확대 해주며 영역간의 연계적 지도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청각장애중학교 미술교육환경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결과 미술활동 지도 시 가장 필요한 미술자료는 수준별 미술 교과서와 실기 프로그램이며, 표현영역과 감상영역을 지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수화설명 프로그램과 시각적 기자재 활용을 위한 교육적 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준비물 상태는 학교에서 대부분 채색재료를 가장 많이 준비해 주고 있었으나 창의성 있는 미술작품이 나오기 위해서 미술재료는 학생들이 준비해야 한다고 하였다. 연수내용에 있어서 대부분 특수미술만을 위한 현직 연수가 없었으며, 다양한 교수방법과 실기에 관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위 결론을 바탕으로 미술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교 학생들과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연구와 시각적 프로그램이나 미술연수 지원과 물리적 환경을 재정비 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This survey research and an experimental instruction were performed by the survey which has had encountered through the nineteen art instructors of students who have hearing impairment in special middle schools over the entire nation for researching in art educ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ho have hearing impairment, for the method of an art education and for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an art education. In such research, after analyzing Fisher's exact test in surveying nineteen question papers following a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e teacher's interview wer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t the teacher's recognition for management of art education in special middle school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main point of the art education is nurturing the capability of improving and creating an environment as well as the characters while developing the noble personality through cultivating an artistic sentiment and creativity by offering an opportunity of self-expression. Also, to design and improve a teaching-learning system is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developing of the student experimental programs for the learning procession in a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s educational managements to children who have hearing impairment for their art education are viewing of an art museum, providing them visual aids, producing a experimental programs for children who have hearing impairment in case of their deficiency of the their direct experience and connecting a guidance of teaching methods in student results assessments, writing an appreciation sentence, an artifici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for an art education when teachers evaluate the hearing impairment students' works.
Third, art education environments for the hearing impairment students by the survey research are amelioration of the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the chirology explanation programs, for using of the visual educational aids, for preparing an art aids for their education's art daily lessons providing them more their creativity and for the study and training system of teachers for the hearing impairment students.
Therefore, we have to understand that the study of an art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ment students is essential for the parents' recognition and this survey is important for the backing methods of the nation for the teachers' study and training system.
Alternative Title
The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actual administration of art education in special middle schools with Hearing impairment.
Alternative Author(s)
Jang, Hye Won
Affiliation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epartment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Advisor
정은희
Awarded Date
2011-02
Table Of Contents
표목차
그림목차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1. 청각장애 학생의 미술교육 5
2. 청각장애중학교 미술교육과정 11
3. 선행연구 고찰 18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2
2. 연구도구 23
3. 연구절차 24
4. 자료처리 25

Ⅳ. 연구결과
1. 미술과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26
2. 미술과 지도방법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36
3. 미술과 교육환경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51

Ⅴ. 논의 60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66
2.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 67

【참고문헌】 68

【부 록】 7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장혜원. (2010). 청각장애중학교 미술과 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39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375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3-0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