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여가몰입과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노민규
Issued Date
2010
Keyword
생활체육|여가몰입|여가유능감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여가몰입과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여가유입경로 및 지속적 유지를 통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2010년 9월 현재 G지역에 5개구의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에 의해, 각 구별 90명씩, 총 450명을 자기평가기입법에 의해 설문응답을 실시하였다. 총 4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지의 표집에서 연구에 실제 사용된 자료는,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38부를 제외한 총 412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즐거움, 건강 및 컨디션, 사교, 기술성취 동기 요인에, 연령에 따라서는 즐거움, 건강 및 컨디션, 외적과시, 사교, 기술성취 동기 요인에, 월평균수입에 따라서는 기술성취 동기 요인에, 참여기간에 따라서는 즐거움, 건강 및 컨디션, 외적과시 동기 요인에, 참여빈도에 따라서는 즐거움, 기술성취 동기요인에, 참여시간에 따라서는 즐거움, 건강 및 컨디션, 외적과시, 사교, 기술성취의 모든 동기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여가몰입(인지적, 행위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즐거움, 외적과시, 기술성취의 동기가 높을수록 인지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 및 컨디션, 외적과시, 사교, 기술성취의 동기가 높을수록 행위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여가유능감(인지적, 사회적, 신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즐거움, 건강 및 컨디션, 외적과시, 사교, 기술성취의 동기가 높을수록 인지적유능감에, 즐거움, 외적과시, 사교, 기술성취의 동기가 높을수록 사회적유능감에, 즐거움, 건강 및 컨디션, 사교, 기술성취의 동기가 높을수록 신체적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isure flow and leisure competence and provide material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knowledge of the methods for leisure flow and continuous maintenance in participants in sport for al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people who participated in sport for all activity at 5 districts in the Gwangju area as of September 2010 were sampled as population.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450 subjects with 90 each in 5 districts responded to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38 responses were excluded because of their poor response or omission of some contents and a total of 412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inall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 difference in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analyzed in relation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njoyment, health and condition, sociality, and skill achievement in relation to age; in enjoyment, health and condition, external ostentation, sociality, and skill achievement in relation to monthly mean income; in enjoyment, health and condition, and external ostentation in relation to participation period; in enjoyment and skill achievement in relation to participation frequency; in enjoyment, health and condition, external ostentation, sociality, and skill achievement in relation to participation time.
Secon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isure flow(cognitive, behavioral)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igh enjoyment, external ostentation, and skill achievement was related with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low, whereas high health and condition, external ostentation, sociality, and skill achievement was related with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flow.
Finally,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isure competence(cognitive, social, physical)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igh enjoyment, health and condition, external ostentation, sociality, and skill achievement was related with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competence; high enjoyment, external ostentation, sociality, and skill achievement was related with positive effect on social competence; and high enjoyment, health and condition, sociality, and skill achievement was related with positive effect on physical competence.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isure Flow and Leisure Competence in Participants in Sport for All
Alternative Author(s)
Roh, Min-Kyu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Advisor
송채훈
Awarded Date
2011-02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가설 5
4. 연구의 제한점 6

II. 이론적 배경 7
1. 생활체육의 일반적 이해 7
1) 생활체육의 정의 8
2) 생활체육의 가치 및 역할 10
3) 생활체육의 역할 13
2. 참여동기 16
1) 동기 16
2) 참여동기의 개념 16
3) 내적동기 17
4) 외적동기 18
3. 여가 몰입 19
1) 여가의 개념 19
2) 몰입의 개념 21
4. 여가 유능감 22
1) 신체적 여가유능감 23
2) 사회적 여가유능감 23
3) 인지적 여가유능감 23
III. 연구방법 24
1. 연구대상 24
2. 조사도구 25
3. 연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27
1) 타당성검증 27
2) 신뢰도 검증 32
4. 자료처리 33

IV. 연구결과 34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34
1) 성별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 차이 34
2) 연령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 차이 35
3) 학력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 차이 37
4) 월평균수입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 차이 38
5) 생활체육 참여기간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동기 차이 40
6) 생활체육 참여빈도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동기 차이 41
7) 생활체육 참여시간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동기 차이 42
2.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 여가몰입, 여가유능감 간의 상관관계 44
3.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45
1)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여가몰입의 인지적몰입에 미치는 영향 45
2)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여가몰입의 행위적몰입에 미치는 영향 46
4.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47
1)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여가유능감의 인지적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47
2)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여가유능감의 사회적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48
3)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여가유능감의 신체적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49

V. 논 의 50

VI. 결론 및 제언 55
1. 결 론 55
2. 제 언 5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노민규. (2010).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여가몰입과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35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204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3-0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