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 -가창영역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지선
Issued Date
2004
Abstract
Today's school music education should improve through comprehensive musical experience increase a student's aesthetic ability into improving one's quality of life and eventually helping create better culture ond belongs to. These objects can be accomplished when a proper curriculum is set and it is well taught.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nine textbooks in middle school. the textbooks were edited and revised since 2002 in accordance with the 7th Curriculum, seta to analyze mainly vocal songs those are selected in these music textbooks and presents problem-solution and guidance direction.
First, all the textbooks, based on the guidelin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llow its standards such as creativity of song selection, sensitivity to environment and personality ect., within which authors and publishers have organized their own textbooks
Second, since our studies about the cracking of voice(its concept, symptoms and the rang of the voice) by various references, we found out cracking happens more noticeably to boys than to girls, The symptoms are like this: hoarse voice, unstable tone, uncomfortable high-tone and the about one-octave-lowered range of voice.
Third, even if the songs in the textbook are chose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the fact that they are confused between textbook songs and popular sings, and between foreign songs and Korean traditional songs. Actually, since the songs Accordingly, we need to choose the songs mirroring times. Also, it is necessary to give a chance to understand mass media by including popular songs history in the musical curriculum
I wouldn't be more happy if the writing of mine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Music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of the Middle school based on the Seventh Amendment of National Curriculum - Focused on vocal music
Alternative Author(s)
Park, Ji S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이한나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 ⅵ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3. 연구의 자료 = 3
Ⅱ. 제 7차 교육과정과 가창 교육 = 5
1. 제 7차 교육과정의 개관 = 5
1) 음악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 5
2) 음악과 교육 과정의 변천 = 7
3) 제 7차 음악과 교육 과정 개정의 중점 내용 = 8
4) 음악과의 성격 = 11
5) 음악과의 목표 = 12
6) 음악과의 내용 = 14
(1) 내용 체계 = 14
(2) 중학교 음악과 내용체계 = 15
(3) 학년별 내용 = 18
(4) 교수·학습 방법 = 22
(5) 평가 = 24
2.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가창 교육 = 25
1) 가창 학습의 의의와 목표 = 25
2) 중학교 1학년 가창 지도 = 25
3) 이상적인 음악교재 = 28
3.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가창가곡 분석 = 29
1) 가창곡의 구성 체재별 비교 = 29
(1) 출판사별 가창제재곡의 비율 = 29
(2) 출판사별 가창 영역 분포 비율 = 30
(3) 출판사별 구성 체제 = 31
2) 가창곡의 내용 분석 = 31
(1) 한국곡과 외국곡의 비율 비교 = 31
(2) 공통 악곡의 분류 = 32
(3) 연주 형태의 분류 = 33
(4) 조성의 비교 분석 = 34
(5) 박자의 비교 분석 = 35
(6) 빠르기의 비교 분석 = 36
(7) 한국민요의 장단 비교 분석 = 37
Ⅲ. 음악교과서 가창악곡 지도의 실제 = 38
1. 진도 아리랑 = 38
1) 제재의 개관 = 38
2) 발전 계통 = 38
3) 지도상의 유의점 = 39
4) 우리나라의 민요 = 41
2. 어머니의 마음 = 45
1) 제재의 개관 = 45
2) 발전 계통 = 45
3) 지도상의 유의점 = 45
4) 박자 젓기 = 48
3. 여수 = 50
1) 제재의 개관 = 50
2) 발전 계통 = 50
3) 지도상의 유의점 = 50
Ⅳ. 결론 = 54
참고문헌 = 5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지선. (2004).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 -가창영역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440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7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