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광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실태 조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윤지원
Issued Date
2020
Keyword
가정식사 대용식", "HMR",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Abstract
HMR(Home Meal Replacement)은 식품산업 분야에서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이다.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의 증가 등으로 직접 요리할 시간이 부족해진 소비자들은 HMR에 대한 관심과 구매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의 이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비연속 변수는 χ2-test, 연속형 변수는 t-test로 유의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시각추구형, 건강추구형, 유행추구형, 편의성추구형, 합리성추구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시각적 구간화를 통해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총합을 A군, B군, C군, D군으로 구간화하여 분석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식생활지침 이행도 점수 분포는 건강추구형이 가장 높았고 편의성추구형이 가장 낮았다.(p<0.00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HMR 인식도 점수 분포는 시각추구형이 가장 높았고 합리성추구형이 가장 낮았다.(p<0.05)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HMR 이용빈도 점수 분포는 유행추구형이 가장 높았고 합리성추구형이 가장 낮았다.(p<0.05)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구간화에 따른 식생활지침 이행도 점수 분포는 A군이 가장 높았고 D군이 가장 낮았다.(p<0.00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구간화에 따른 HMR 인식도 점수 분포는 A군이 가장 높았고 C군이 가장 낮았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구간화에 따른 HMR 이용빈도 점수 분포는 B군이 가장 높았고 D군이 가장 낮았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식생활지침 이행도가 증가할수록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증가하고(p<0.01), HMR 이용빈도가 감소했다.(p<0.05) 또한 HMR 이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식생활지침 이행도는 감소하고(p<0.05), HMR 인식도는 증가했다.(p<0.05)
다중회귀분석 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식생활지침 이행도에 (+)의 영향(p<0.001), HMR 이용빈도는 식생활지침 이행도에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식생활지침 이행도는 HMR 이용빈도에 (-)의 영향(p<0.05), HMR 인식도는 HMR 이용빈도에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HMR(Home Meal Replacement) is the sector with the largest growth in the food industry. Consumers who lack time to cook directly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and dual-income household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and purchasing HMR. Therefore, this study surveyed 310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Gwangju area on the use of the HMR according to their dietary lifestyl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version 25.0 statistics program, and the non-continuous variables were tested χ2-test and the continuous variables were tested t-te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K-average cluster analysis, the dietary lifestyle was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visual, health, trend, convenience, and rationality type. The total sum of food life styles was also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A, B, C, and D groups through visual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 group of dietary lifestyle, the distribution of the score in the fulfillment of dietary guidelines was the highest among the health pursuit group, and the convenience pursuit group was the lowest.(p<0.001) The distribution of HMR recognition scores according to the group of dietary lifestyle was the highest in visual pursuit group and the lowest in rationality pursuit group.(p<0.05) The distribution of HMR utilization scores according to the group of dietary lifestyles was the highest in trend pursuit group and the lowest in rationality pursuit group.(p<0.05)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dietary lifestyle, A group had the highest score distribution of dietary guidelines and D group had the lowest.(p<0.001)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dietary lifestyle, HMR recognition score distribution was highest for group A and lowest for group C. The distribution of HMR utilization score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 division was highest for group B and lowest for group 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a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the dietary guidelines increases(p<0.01), the frequency of HMR use decreases.(p<0.05) In addition, as the frequency of HMR use increase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the dietary guidelines decreases(p<0.05), and the level of HMR awareness increased.(p<0.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dietary lifestyle affects (+) in the implementation of dietary guidelines(p<0.001) and (-) in the utilization frequency of HMR in the implementation of dietary guidelines.(p<0.05) The implementation of the dietary guidelines was shown to affect (-) the frequency of HMR use(p<0.05), and (+) the HMR awareness level to the HMR utilization frequency.(p<0.05)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Home Meal Replacement(HMR)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style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Alternative Author(s)
Yun Ji W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식품영양학과
Advisor
김복희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ⅵ

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연구 내용 및 방법 4

제 1 절 연구 대상 및 조사기간 4

제 2 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
1.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 4
2.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특성 조사 5
3. 식생활지침 이행도 조사 5
4.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자의 특성 및 인식도 조사 5
5.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실태 조사 6
6.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빈도 조사 7

제 3 절 자료 분석 8

제 3 장 연구 결과 및 고찰 9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특성 분포 9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포 9
2.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특성 분포 13
3. 조사대상자의 식생활지침 이행도 분포 23
4. 조사대상자의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자의 특성 및 인식도 분포 28
5. 조사대상자의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실태 분포 38
6. 조사대상자의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빈도 분포 46

제 2 절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특성 비교 50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탐색적 요인분석 50
2.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K-평균 군집분석 53
3.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포 56
4.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식생활지침 이행도 분포 61
5.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자의 특성 및 인식도 분포 63
6.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실태 분포 72
7.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빈도 분포 83

제 3 절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구간화에 따른 특성 비교 85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총합에 따른 시각적 구간화 85
2.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구간화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포 87
3.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구간화에 따른 식생활지침 이행도 분포 92
4.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구간화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자의 특성 및 인식도 분포 94
5.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구간화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실태 분포 103
6.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구간화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빈도 분포 113

제 4 절 식생활지침 이행도,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빈도의 상관관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5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식생활지침 이행도, 가정식사 대용식(HMR) 인식도,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빈도 간의 상관관계분석 115
2. 식생활지침 이행도와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빈도의 다중회귀분석 117

제 4 장 결론 및 제언 119

제 1 절 연구의 요약 119

제 2 절 시사점 및 제언 126

참 고 문 헌 128

부 록(설문지) 13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윤지원. (2020). 광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 이용실태 조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09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849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