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가상현실 예술의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양다솔
Issued Date
2018
Keyword
노엘 캐럴, 범주 상대적 평가, 가치 평가, 평가 방안, 가상현실 예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a method to evaluate Virtual Reality Art. To suggest the method, Noël Carroll's category-relative evaluation method was used as a rational.
Carroll argued that a universal criterion to evaluate works relatively in the category consisting of the art could be proposed. He said that there would be certain goals in the category which could be excellent if such types of art satisfied the goals associated with the category, and that the quality of works could be evaluated according to how much and in what way the art satisfied it. In addition, he proposed a possibility of utilizing various categories to evaluate works planned under diverse intentions. This plural-category approach is considered an appropriate way to evaluate works that pursue various values ​​in a pluralistic artistic situation. Carroll argues that there is a need to continuously distinguish categories for evaluating works as new categories related to the art will continue to emerge.
Virtual Reality Art is an artistic genre that uses virtual reality technology as a tool to express art. Virtual reality was intended to define itself through Jonathan Steuer's concept of ‘Sense of Presence’ in that it made it possible to feel real in virtual situations. And through the concept of 'Virtual Continuum' of Paul Milgram and Fumino Kishino, the distinction between virtual reality and similar concepts were intended to be clarified. Thus, Virtual Reality Art can be defined as an artistic gen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ense of Presence. The experience on the presence of virtual reality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artists' intention realized in their works vividly. Therefore, artists use the characteristics of sense of presence to improve the technical level or effectively convey the intention to achieve sense of presence. Based on this, virtual reality art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d there are various subcategories in those categories. If new media emerge due to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or creative goal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occur, various categories can be created gradually. Evaluation of works should be based on the way in which the art achieves the goal of the category within the distinguished category. The categories of virtual reality art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e is the category of which the goals are to strengthen the technical level and achieve sense of presence. To achieve these goals, a detailed category that utilizes input devices stimulating multi-sensory at the same time or improves the quality of the output device to fully implement the human sense is included. Within this category, evaluation of works needs to be based on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or the way innovative performances appear in works.
Second one is the category which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sense of presence with a purpose of conveying intentions effectively. This includes a variety of detailed categories that convey various cognitive values ​​that enable understanding, empathy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through works and non-cognitive values that cause realization of desire and pleasant emotions. These themes allow virtual reality to turn new values that the art has not chosen into works or effectively convey the values that the existing art has chosen. In the divided categories, evaluation of works need to be based on how directive methods selected by artists appear in works and how they contribute to the perfection of works.
This paper suggests an evaluation method to judge the qualitative excellence of virtual reality art that is going on contemporarily. In addition, it has a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tried to show that the method could be applied to the actual cases and properly utilized in virtual reality art.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예술의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평가 방안 제시를 위해 노엘 캐럴(Noël Carroll)의 ‘범주 상대적’(category-relative) 평가 방식을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였다.
캐럴은 해당 예술을 이루고 있는 범주에 상대적으로 작품을 평가할 보편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범주에는 그러한 유형의 예술이 충족하고 있다면 훌륭하다고 할 수 있을 특정 목표들이 존재할 것이고, 이를 해당 예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얼마만큼 충족시키느냐에 따라 작품의 질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또한, 캐럴은 다양한 의도 하에 기획되는 작품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범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다 범주적 접근(plural-category approach)은 다원주의 예술 상황에서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작품을 평가할 적절한 방안이라 생각된다. 또한 캐럴은 범주의 분화 가능성을 제시하며 해당 예술에 대한 범주가 더욱 다양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가상현실 예술은 가상현실의 기술을 예술을 표현하는 도구로 활용한 예술적 장르이다. 가상현실은 가상의 상황임에도 그 속에 실재한다는 느낌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현전감’(sense of presence)개념의 특성을 지닌다. 가상현실이 지닌 현전에 대한 경험은 작품으로 구현된 예술가의 의도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예술가들은 현전감을 성취하기 위해 기술적인 수준을 향상시키거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현전감의 특성을 활용한다. 이를 토대로 가상현실 예술을 크게 두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창작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한 방식에 따라 가상현실 예술의 범주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가상현실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거나 기존과는 다른 창작 목표가 발생한다면 점차 다양한 범주들이 생성될 수 있다. 작품의 평가는 구분된 범주 내에서 해당 예술이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는 방식을 토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상현실 예술의 평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수준을 강화하여 현전감을 성취하는 것이 목표인 유형이다. 여기에는 다감각을 동시에 자극할 입력장치를 활용하거나 출력장치의 품질을 향상시켜 인간의 감각을 완성도 있게 구현해내는 세부 범주들이 포함된다. 작품의 평가는 가상현실의 기술의 발전 정도나 혁신적인 성과가 작품에 나타나는 방식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현전감의 특성을 활용하는 유형이다. 여기에는 작품을 통해 타인에 대한 이해나 공감, 통찰, 지식의 습득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인지적인 가치와 욕망의 실현과 즐거운 감정을 유발하는 비인지적인 가치를 전달하고자 하는 세부 범주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주제들은 가상현실은 예술이 선택하지 않았던 새로운 가치를 작품으로 구현하거나 기존의 예술이 선택했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작품의 평가는 예술가가 선택한 연출적인 방식이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것이 작품의 완성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본 논문은 동시대에 진행되고 있는 가상현실 예술의 질적인 훌륭함을 판단해 낼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시켜 가상현실 예술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 평가 방안임을 보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Virtual Reality Art : Focusing on Noël Carroll's category-relative evaluation
Alternative Author(s)
Yang, Da Sol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Advisor
장민한
Awarded Date
2019-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제2장 이론적 고찰 9
제1절 노엘 캐럴의 가치평가 방식 10
1. 가치평가 기준으로서 ‘성공가치’ 10
2. 성공가치의 정당화 근거로서 ‘범주 상대적’ 평가 방식 15
제2절 가상현실 예술의 정의와 특징 19
1. 가상현실의 정의와 발전과정 19
2. 가상현실 예술의 특징 30
가. 다감각을 통한 작품의 의미 획득 31
나. 관람객의 능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작품의 완성 34

제3장 가상현실 예술의 평가 방안 38
제1절 가상현실 예술의 평가를 위한 범주 구분 38
제2절 감각의 기술적 구현을 통한 현전감의 획득 40
1. 다감각을 동시에 자극할 입력 장치의 활용 41
2. 출력장치의 질적인 향상을 통한 완성도 있는 감각의 구현 47
제3절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현전감의 특성 이용 49
1. 현전감을 통한 인지적 가치의 전달 50
2. 현전감을 통한 비인지적 가치의 전달 62

제4장 결론 70

참고문헌 7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다솔. (2018). 가상현실 예술의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72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09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