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초등3-5학년 단순 ADHD아동과 언어문제를 동반한 ADHD아동의 읽기이해모니터링 능력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경민
Issued Date
2018
Keyword
단순 ADHD아동, 언어문제를 동반한 ADHD아동, 읽기이해모니터링
Abstract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학령기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행동장애의 하나로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요 문제로 가지고 있는 아동을 말한다(APA, 2004). ADHD아동은 정상범주의 지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주의집중이 어렵고, 충동적인 행동으로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언어능력을 보이며 학령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학습과 읽기에서의 어려움을 보인다.
학령기 ADHD아동은 또래 아동과 비교 시 주의집중 저하 및 충동성으로 인해 화용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대화 시 주제유지나 자신의 차례를 지키며 주고받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야기 이해와 관련된 연구에서도 ADHD아동이 사실적 이해는 어려움이 없으나 인과관계이해의 어려움이 있으며 저조한 추론능력 및 이해모니터링 능력으로 인해 학습에 어려움을 보인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Loe & Cuttino, 2008). 이후 다양한 연구에서 ADHD아동이 화용적 측면뿐 아니라 의미적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두드러진다는 보고들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학령기 ADHD아동의 언어적 어려움은 다양한 이야기 및 설명담화의 이해에도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ADHD아동이 보이는 언어문제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언어지식과 인지적 처리가 함께 요구되는 읽기과제를 수행하는 데 잠재적 취약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Bialystok, 2001).
ADHD아동은 그들의 행동특성으로 관련되지 않은 자극을 억제하고, 필요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며 학습에서 요구하는 복잡한 여러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데 있어 조직화, 점검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이전의 정보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보인다. 이처럼 ADHD아동은 반응 억제, 계획하기와 같은 실행기능과 작업기억 등을 포함한 결함으로 언어뿐 아니라 읽기이해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rkley, 1997). ADHD아동의 경우 실행기능의 결함으로 인하여 불분명한 읽기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낮은 학업능력을 보일 수 있다. 많은 ADHD아동은 이러한 행동 특성으로 인하여 주어진 정보를 이해하고 오류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적극적인 활동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언어능력은 읽기를 위해 필요한 기본능력 중 하나로 학령기 아동에게 있어서 중요한 영역 중 하나이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공식적인 읽기상황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읽기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학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읽기의 궁극적인 목적은 읽기이해인데, 읽은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독과 언어이해능력이 필수적이며 동시에 다양한 상위인지기술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상위인지능력은 독자가 글을 읽으면서 그에 따른 행동을 계획하고 조직화하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 모니터링 하는 고차원적인 인지능력을 말한다(Flavell, 1979). 읽기에서의 상위인지능력은 독자가 읽기의 목적을 깨닫고 어떻게 읽을 것인가 독자 스스로가 계획하고 조직화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읽은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때 이를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전략을 세우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읽기를 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상위인지 전략에는 정교화전략, 정의적 전략과 이해모니터링 전략이 있다(Berthiaume, Lorch, & Millich, 2005)
그 중 읽기이해모니터링은 효과적으로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읽기이해모니터링을 살펴본 연구들에 따르면 모니터링의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은 읽기이해에서도 어려움을 보인다고 한다(Oakhill, Hartt, & Salmols, 2005). 그러므로 읽기이해모니터링은 읽기이해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Oakhill, Hartt, & Salmols, 2005).
읽기이해모니터링 능력을 살펴보기 위한 대표적인 평가과제는 오류확인(error-detection)과제이다. 연구자는 의도적으로 글에 오류를 포함시킨 후 독자에게 오류가 포함된 글을 읽도록 요구한다. 독자는 글을 읽다가 이해를 방해하는 오류를 찾아야 한다. 활발하게 자신의 이해과정을 모니터링 하는 독자는 오류를 확인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독자는 오류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읽기이해모니터링 과제에 포함되는 오류는 일반적으로 어휘지식과 관련한 어휘 비일관성(lexical inconsistency)오류, 글 속에 포함된 두 개의 문장의 내용을 불일치시켜 만든 내적 비일관성(internal inconsistency)오류, 배경지식에 반하는 내용이 포함된 외적 비일관성(external inconsistency)오류이다(김경선, 2014; Baker & Anderson, 1982). 이러한 이해모니터링 오류유형은 어휘나 문법 및 배경지식과 작업기억 능력과 관련되어 있다.
선행연구 보고들에 따르면 ADHD아동은 언어적 어려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읽기이해능력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Marinda, Sorino, & Garcia, 2006). 읽기는 학습에 중요한 도구로서 읽기의 어려움은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ADHD아동이 읽기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는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읽기이해모니터링은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유의한 요인이며, ADHD아동이 가지고 있는 작업기억 및 실행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된 상위인지능력이다. 하지만 ADHD아동이 글을 읽는 동안 위에서 언급한 상위인지전략을 어느 정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읽기이해모니터링을 하고 있는 지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ADHD아동의 읽기이해 어려움의 원인이 이해모니터링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를 먼저 살펴봄으로써 해당 주제에 관한 기초적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5학년 언어문제를 동반하지 않은 ADHD아동뿐 아니라 언어문제를 동반한 단순 ADHD아동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통제집단으로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을 선정하여 이 아동들의 읽기이해모니터링 과정에서 효율적인 전략사용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두 담화유형 모두에서 읽기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교과과정에 포함된 다양한 담화유형을 이해하는 것은 학업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읽기이해모니터링을 살펴본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야기담화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송영주, 1998; 남윤정,2007). 반면 설명담화는 초등 저학년 교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고학년이 되면 대부분의 교과 내용에서 사용되는 담화유형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초등 교과과정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이야기담화와 설명담화 모두를 사용하여 이해모니터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야기담화와 설명담화 내에 세 가지 오류유형(내적비일관성, 외적비일관성, 어휘비일관성)을 포함하여 이해모니터링과 관련한 능력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볼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including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with written storie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with ADHD have difficulty to understand text because of their behavior deficits such as carelessness, hyperactivity and impulsiveness. They are also likely to have difficulty to integrate and organize previous information with incoming information due to working memory and execution capabilities deficits. For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readers need to use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One of the strategies is comprehension monitoring skills. Comprehension monitoring is being aware whether the text makes sense. It’s occurs when the reader reflects on his or her own understanding. There were several studies that comprehension monitoring is one of the components to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comprehension monitoring for children with ADHD who are likely to have reading comprehension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for ADHD children with/without language impairment.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cores in narrative discourse?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cores in expository discourse?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cores among the three types(lexical inconsistency, internal -inconsistency, external inconsistency) of errors in the narrative discourse?
4)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cores among the three types of errors in the expository discourse?

Total 56 ADHD children with/without language impairmen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tudents from third, fourth and fifth gra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should have intelligence quotient score of 80 or above in K-CTONI-2 and obtain 10 perentile or above in word decoding test on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KOLRA).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DHD children without language impairment should obtain higher than –1 of standard deviation on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ADHD with language impairment should obtained lower than –1 of standard deviation on REVT. As well, all children have no history of neur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
The narrative and expository discourse are created for the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Because familarity would play important role in reading comprehension, all stories were created by investigators. All the stories have 13 sentences and contained grade appropriate vocabularies. In order to assess comprehension monitoring, stories contained three different type of errors. The errors which embedded within consisted of nonsense words (i.e. lexical inconsistency), violation of prior knowledge (i.e. external inconsistency) and internal inconsistency within the text.
The number of each error type was 3, so total number of error was 12.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s we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children were asked to find out errors in written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After finding out errors, children were asked to change appropriate word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in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s. ADH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had the lowest score followed by only ADHD childre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wo discourse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hildren with ADHD regardless of language problems would have difficulty to monitor their comprehension.
Second, internal inconsistency was the most difficult error to identify and correct and lexical inconsistency was the easiest error for all three groups.
In summary, ADH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id show difficultly in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s when compared to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only ADHD children without language impairment. The poor performance of monitoring tasks for two ADHD groups could be explained cognitive deficit such as working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As well, language deficit in ADH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may be more likely to influence negatively on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s than do only ADHD children. This results would suggest that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intervention would be initiated in an effort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ADHD.
Alternative Title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in third to fifth grade ADHD children with/without language impairment :Narrative and expository discourses
Alternative Author(s)
Kyungmin Park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언어치료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언어치료학과
Advisor
윤효진
Awarded Date
2018-08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 정리 5

Ⅱ. 이론적 배경 7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7
가. ADHD의 정의와 하위유형 및 인지적 특성 7
나. ADHD아동의 언어적 특성 10

2. 읽기와 이해모니터링 13
가. 읽기이해 13
나. 상위인지능력과 읽기이해모니터링 14
다. 읽기이해모니터링 평가방법 및 오류유형 16
라. ADHD아동의 읽기이해와 읽기이해모니터링 17

Ⅲ. 연구 방법 20
1. 연구 대상 20
가. 대상자 선정 20
(1) 언어문제를 동반한 ADHD아동 21
(2) 단순 ADHD아동 21
(3) 일반아동 21

2. 연구도구 23
가. 대상자 선정을 위해 사용한 표준화 검사도구 23
나. 읽기이해모니터링 능력 측정도구 제작과정 24
3. 연구절차 28
4. 자료의 통계처리 30


Ⅳ. 연구결과 31
가. 담화에 따른 세 집단 간 이해모니터링 점수 차이 비교 31
(1). 이야기담화에서 세 집단 간 이해모니터링 점수 비교 31
(2). 설명담화에서 세 집단 간 이해모니터링 점수 비교 32
나. 담화에 따른 세 집단 간 오류유형에 따른
이해모니터링 점수 차이 비교 34
(1) 이야기담화에서 세 집단 간 오류유형 점수 비교 34
(2) 설명담화에서 세 집단 간 오류유형 점수 비교 35


Ⅴ. 논의 및 결론 37
1. 이야기담화와 설명담화에서 세 집단 간 이해모니터링
점수 비교 37
2. 세 집단 간 오류유형에 따른 이해모니터링 점수 차이 39
(1) 이야기담화와 설명담화에서 세 집단 간 오류유형 점수 비교 39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3

참고문헌 44
부록 5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박경민. (2018). 초등3-5학년 단순 ADHD아동과 언어문제를 동반한 ADHD아동의 읽기이해모니터링 능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67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00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8-08-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