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 · 중 미각어의 의미 대조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학효파
Issued Date
2017
Abstract
Taste is one of indispensable five senses in human life. Also, food to tast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human survival. It means taste is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nd in this sense, taste can even affect human language life. Of course, tastes that human beings experience are universal, but in real language life, the meanings of tastes expand. For this reason, each cultural area has differences in meaning extension or utility. Based on this f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basic meanings with metaphorical meanings of five taste-terms from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시다/ 酸’, ‘달다/ 甜’, ‘쓰다/ 苦’, ‘맵다/ 辣’, and ‘짜다/ 鹹’. The discussion development processe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the study targets and the study methods and the previous studies were discussed. Also, it was mentioned tha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intention of the study was to study new meanings of Korean and Chinese taste-terms in real language life from a contrastive point of view, in addition to basic meanings and metaphorical meanings.
In Chapter 2, the concept of ‘taste-terms’ and ‘basic meanings’ and ’metaphorical meanings’ of taste-terms were considered. The concept of taste-terms was defined, on the basis of the meanings presented in the dictionary and the discussions in the preceding studies. Moreover, the basic meanings of the five taste-ter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metaphorical meanings were analyzed, from a perspective of cognitive semantics.
In Chapter 3, basic meanings of Korean and Chinese taste-terms in Korean dictionary and Chinese dictionary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basic meanings of taste-terms from the two languages were all similar to one another.
In Chapter 4, the metaphorical meanings of the five taste-terms in Korean dictionary and Chinese dictionary were compared to the new meanings in real language life. As a result, the examples provided by the corpus data of the two countries showed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in metaphorical meanings from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In Chapter 5, a conclusion was extracted from the discussion above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mentioned.
Although there have been a considerable number of comparative studies on meanings of taste adjectives from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there has been a relative lack of comparative studies on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in basic meanings and metaphorical meanings.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demonstrating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in basic meanings and metaphorical meaning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n taste-terms from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nd considering aspects of new metaphorical meanings of taste-terms in real language life and meanings of buzz words deriving from them.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study findings would help Korean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understand meanings of taste-terms in real language life and utility aspects accurately.
|미각은 인간의 삶에서 필수적인 오감(五感) 중 하나이다. 또한 맛을 느끼게 하는 음식은 인간의 생존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에 속한다. 곧, 미각은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미각이 인간의 언어생활에까지 스며들 수 있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인간이 느끼는 맛은 보편적이라 하더라도,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그 의미가 확장되어 쓰이는 것이 많기에 의미 확장이나 사용 양상에 있어 문화권마다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사실을 전제로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나타나는 ‘시다/ 酸’, ‘달다/ 甜’, ‘쓰다/ 苦’, ‘맵다/ 辣’, ‘짜다/ 鹹’ 등 다섯 가지 미각어의 의미를 기본 의미와 은유적 의미 두 가지로 구분하여 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의 전개 과정과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 대상 및 방법, 선행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한․ 중 미각어의 기본 의미와 은유적 의미 외에 실제 언어생활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의미를 대조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함을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미각어’의 개념 및 미각어의 ‘기본 의미’와 ‘은유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미각어의 개념은 사전에 제시된 의미와 선행 연구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다섯 가지 미각어의 기본 의미는 선행 연구에서, 은유적 의미는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사전에서 제시된 한 · 중 미각어의 기본 의미를 대조하여 분석한 바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두 언어 미각어의 기본 의미는 모두 유사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사전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미각어의 은유적 의미와 함께 실제 언어생활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의미를 대조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나라의 말뭉치 자료에서 제공되는 용례를 통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미각어의 은유적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었다.
5장은 결론으로,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본 연구의 의의를 언급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와 중국어 미각 형용사의 의미를 대조한 연구가 적지 않았지만, 그 기본 미와 은유적 의미를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나누어 대조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두 언어의 미각어에 대한 대조 분석을 통해 기본 의미와 은유적 의미 측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는 한편, 실제 언어생활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미각어의 은유적 의미 양상 및 이에 기반하여 파생된 유행어로서의 의미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어 학습자와 중국어 학습자 모두에게 실제 언어생활에서 나타나는 미각어의 의미와 사용 양상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lternative Title
A Contrastive Study of Metaphorical Extensions in Korean and Chinese 'Taste' Words
Alternative Author(s)
Hao Xiaobo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강희숙
Awarded Date
2017-08
Table Of Contents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연구 대상 및 방법
1.3. 선행 연구 검토
1.4. 논의의 구성

2. 미각어의 개념 및 의미
2.1. 미각어의 개념
2.2. 미각어의 의미

3. 한 ‧ 중 미각어의 기본 의미의 대조
3.1. ‘시다/ 酸’의 기본 의미 대조
3.2. ‘달다/ 甜’의 기본 의미 대조
3.3. ‘쓰다/ 苦’의 기본 의미 대조
3.4. ‘맵다/ 辣’의 기본 의미 대조
3.5. ‘짜다/ 鹹’의 기본 의미 대조

4. 한 ‧ 중 미각어의 은유적 의미 대조
4.1. ‘시다/ 酸’의 은유적 의미 대조
4.2. ‘달다/ 甜’의 은유적 의미 대조
4.3. ‘쓰다/ 苦’의 은유적 의미 대조
4.4. ‘맵다/ 辣’의 은유적 의미 대조
4.5. ‘짜다/ 鹹’의 은유적 의미 대조

5. 결론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학효파. (2017). 한 · 중 미각어의 의미 대조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34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46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